|
|
|
하판덕 초대展
眞-백목지장 생의 가치에 주목하다
眞-백목지장_116.8x80.3cm_Acrylic on Canvas_2024
2025. 2. 5(수) ▶ 2025. 2. 20(목)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19 | T.02-730-3533
眞-백목지장_90.9x60.6cm_Acrylic on Canvas_2023
하판덕의 작업세계에서 일관성을 찾을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생의가치’에의 주목이라 할 수 있다. 그의 모티브들은 명상적인것,무속적인것.그리고예사로운것 등 꽤 광범위 하지만 그럼에도 어떤 존재론적 가치, 다시 말해 불변하는 가치를 표상하는 이미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판덕의 작품세계를 한마디로 ‘생의 가치에의 주목’이라 할 수 있다.
미술평론가 서성록의 개인전 서문에서
眞-백목지장_90.9x60.6cm_Acrylic on Canvas_2023
작가노트
나는 오랜시간 “생의 가치에의 주목”하여 불변하는 가치란 무엇이고 그것이 어디에 있는지 고민하였다. 대학 졸업 해 1990년 첫 개인전 그런 물음을 가지고 작업에 임한 나는 眞-다른상황이란 타이틀로 인간이 각각의 다른 상황에 놓여졌을 때 어떤 선택과 결정으로 다른 상황을 맞이 하게 된다는 주제로 물성을 강조한 작업을 했었고 민화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불변하는 가치의 표상을 찾아 작업을 진행하다 10여년 전부터 돌고 돌아 이제 소나무라는 사물에 귀착하여 백가지 나무 중 으뜸이라는 백목지장을 그린다. 수없이 겹쳐 있는 소나무 껍질의 한겹 한겹이 그냥 만들어지지 않았듯, 인간의 삶도 희로애락으로 단단해진다. 어떤 풍상과 역경에도 반응이 없는 소나무. 일비일희하지 않는 그 담담함이 좋다. 화폭 전면에 작은점들을 빽빽이 찍어 놓고 그 점을 다시 그리면서 점을 만든다. 그 작은 점들은 양자역학에서 나오는 6개의 퀴크와 6개의 랩톤처럼 개별입자로 존재 할 수 없고 관계성을 가지고 움직이는 느낌을 받는다. 이는 삶의 가치의 극점은 “관계성”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 소나무를 그리지만 생의 가치란 무엇인가를 찾는 여정의 작업이다.
眞-백목지장_72.7x60.6cm_Acrylic on Canvas_2022
어떻게 작업할 것인가? 기존 소나무의 표현방법과 형식은 다른 해석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속에서 공간에 대한 단순화와 이미지 구축에 있어 사실적인 표현에 대한 간결성은 민화의 오봉도의 차용과 곁가지의 버림으로 시작 했다고 볼 수 있다 . 비어 있는 하늘에 대한 해석이 중요한데 이는 공이 아니라 연결과 관계로 표현하며 핵심인 소나무 역시 물질의 최소단위 원자에서 핵으로 핵에서 양성자와 중성자, 인류가 증명한 최소단위 랩톤과 퀴크처럼 쌍으로 존재 하며 이들은 개별입자로 존재 할 수 없고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 이것이 있음으로 저것이 있으며 하나의 움직임이 다른 하나의 움직임을 만든다는 ERP실험처럼 천천히 만들어 가보자 배경에 등장하는 산 역시 기존의 원근법과 명암법을 벗어난 산이 아닌 광물로 이루어진 산의 느낌을 찾아 들어가 보았다.
혹자는 내 그림을 두고 ‘색감이나 조형미가 세다, ’광물 같은 소나무다‘ 라고 얘기하기도 하는데 불변하는 가치의 표상을 찾는 나의 의지가 투사된 듯하다. 내 고향 의령에는 600년이 넘은 소나무가 있는데 그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가 나를 소나무를 그리라고 명 한다.
하판덕
眞-백목지장_72.7x60.6cm_Acrylic on Canvas_2024
호서대 예체능대 학장인 하판덕 선생님은 소나무작가이다. 생의 가치를 탐구하며 소나무를 통해 인간 존재의 불변하는 가치를 표현하는 작업을 하는데 '생의 가치에 주목'이라는 주제의 이번 전시에서 하판덕 선생님은 나무 중에 으뜸이라 백목지장으로 불리는 다양한 소나무 작품을 선보인다. 하판덕 선생님은 소나무를 통해 인간 삶의 진정성과 불변의 가치를 탐색했다. 소나무 껍질의 수많은 겹겹처럼, 삶의 희로애락과 고난을 거쳐 단단해지는 인간의 내면을 상징한다. 소나무는 결코 흔들리지 않으며, 풍상과 역경 속에서도 ‘일비일희하지 않는 단단함’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자연의 묘사가 아니라, 인간 삶의 고통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진정한 가치를 상징한다.
하판덕 선생님의 작품은 화폭 전면에 작은 점들을 반복적으로 그리며, 이 점들은 개별 입자가 아닌 관계성을 가진 존재로 묘사된다. 소나무를 그리지만, 이는 단순한 자연의 표현이 아닌, '생의 가치란 무엇인가'를 찾는 여정의 일환이다. 선생님의 고향 의령에는 600년 된 소나무가 있어, 그 아우라는 작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판덕 선생님의 작업 세계는 불변하는 가치를 탐구하는 이미지를 담고 있으며 작품은 소나무와 뒷배경의 강렬한 색감과 조형미를 통해, 우리에게 인간 존재의 본질을 묻는다.
眞-백목지장_53x40.9cm_Acrylic on Canvas_2023
차가운 바람 속에서도 봄의 기운이 느껴지는 2월. 소나무의 다채로운 색감이 돋보이는 30여점의 작품들이 장은선 갤러리에서 선보인다. 하판덕 선생님은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및 대학원을 졸업. 24회의 개인전과 국제아트페어, 국제 비엔날레 특별전 등 많은 국제전과 그룹전에 참여했으며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대한민국미술대전 연속 특선 5회, MBC미술대전 장려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호서대학교 예체능대학 학장으로 재직중이다.
眞-백목지장_53x45.5cm_Acrylic on Canvas_2016
眞-백목지장_97x184cm_Acrylic on Canvas_2025
|
||
■ 하판덕 | 河判德 | Ha Pan Duk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 1990 제1회 개인전 수화랑, 서울 | 1991 제2회 개인전 갤러리Q, 서울 | 1992 제3회 개인전 홍익대학교현대미술관, 서울 | 1992 제4회 개인전 이콘갤러리, 서울 | 1993 제5회 개인전 이콘갤러리, 서울 | 1994 제6회 개인전 갤러리마을, 서울 | 1995 제7회 개인전 갤러리동주, 서울 | 1996 제8회 개인전 갤러리동주, 서울 | 1997 제9회 개인전 인사갤러리, 서울 | 1998 제10회 개인전 이콘갤러리, 서울 | 1999 제11회 개인전 동서화랑, 마산 | 1999 제12회 개인전 베를린기술대학교, 베를린한국문화원, 베를린 | 2002 제13회 개인전 대우백화점갤러리, 갤러리라메르, 마산, 서울 | 2004 제14회 개인전 거제문화예술회관, 거제 | 2004 제15회 개인전 갤러리나우, 오사카 | 2005 제16회 개인전 갤러리Tohrei, 오사카 | 2007 제17회 개인전 갤러리K, 서울 | 2009 제18회 개인전 서울무역전시관 | 2010 제19회 개인전 갤러리K, 서울 | 2014 제20회 개인전 갤러리각, 서울 | 2017 제21회 개인전 토포하우스갤러리, 서울 | 2020 제22회 개인전 갤러리 두, 서울 | 2024 제23회 개인전 구구갤러리, 서울 | 2025 제24회 개인전 장은선갤러리, 서울
국제전 및 그룹전 | 2001 서울아트페어 (예술의 전당) | 2004 제 46 오리진회화협회전(안산단원미술관) | 2005 한중미술교류전(가고파 갤러리) | 2006 한국의 미전(남송미술관) | 2007 제4회 타쉬켄트 국제 비엔날레 특별전(우즈베키스탄국립미술관) | 2007 일한현대미술전(후쿠오카현대미술관) | 2008 부산비엔날레 갤러리 페스티벌 (윤갤러리) | 2018 아시아호텔아트페어, 인터콘티넨탈 호텔 | 2019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벡스코 | 2019 취리히국제아트페어, 취리히 | 2021 이상향전 (갤러리팔레스) | 2024 지금의 경남미술-산 섬 들(경남도립미술관) 외 300여 회
수상 | 96.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중앙일보사 주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91.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한국미술협회주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94.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한국미술협회주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95.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한국미술협회주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96.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한국미술협회주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97.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한국미술협회주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93. MBC 미술대전 <장려상> (문화방송주최, 예술의전당 서울) | 94. MBC 미술대전 <특선> (문화방송주최, 예술의전당 서울) | 95. MBC 미술대전 <특선> (문화방송주최, 예술의전당 서울) | 99. 동서미술상 <수상> (동서화랑, 마산) | 90. 청년미술대상전 <우수상> (청년미술협회주최, 미술회관, 서울)
작품소장처 | 중앙일보사, 삼성문화재단, 송도비취호텔, 힐튼그랜드호텔, 롯데호텔, 선샤인아오야마호텔, 베를린기술대, 베를린한국문화원, 외교통상부, 행정안전부, 마산시의회,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부산시청, 거제시청, 천안시청, KT연수원,대전 선병원, 명문제약, 주)누가의료기, 주)진넥스, 주)제니스팜, 최민규약초학교, 아인병원, 경남도립미술관, 대동기어(주), 거명터빈파워(주) 등 다수
역임 | 충남문화산업발전위원회 위원 | 충남문화산업진흥원,기획, 심의, 자문위원 | 환경부 심사위원 | 서울미술협회 부이사장 |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역임 | 경기미술대전 운영위원 | 서울메트로 미술대전 심사위원 | 창신대학교 조형미술과 교수 역임 | 홍익대학교, 수원대학교 조교 | 홍익대학교 및 다수 대학 강사 역임
연구 보고서 및 기타활동 | 검정교과서 고등학교 국어 작품 수록 | 공공부문입체영상콘텐츠제작지원사업(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 극장용애니메이션 “파닥파닥” 산학협력지원사업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 극장용 애니메이션 “둘리”애니메이션 .제작지원사업 (충남문화산업진흥원) | 글로벌 3d입체영상콘텐츠제작지원사업 (문화체육관광부, 충남문화산업진흥원) | 현대미술과 애니메이션과의 조형적 조우 가능성 연구 | 한국기초조형학회 | 콘텐츠기술로드맵 및 문화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최종보고서 | 문화관광부 | 문화콘텐츠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의 연동에 관한 연구 | 한국디자인학회 | 문화콘텐츠에서 애니메이션의 역할과 감성기호의 변화연구 | 한국영상미디어학회 | 삶의 전형에 의한 표현성 연구 - 홍익대학교 | 디지털미디어 교수연수 최종 보고서 - 카이스트 | 천안시 케릭터송 애니메이션 제작 최종보고서 - 천안시 | TRITAS 기술지도 - 중소기업청
현재 | 호서대학교 예체능대학 학장
E-mail | hpd@hoseo.edu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0205-하판덕 초대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