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차정숙 展
내 마음의 노래
2층 전관
2025. 1. 22(수) ▶ 2025. 1. 27(월) Opening 2025. 1. 22(수) pm 4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4-1 | T.02-736-6347 주최·주관 | KSII 대표 이순영 | 후원·협찬 | (주)디티이큐시스
내 마음의 노래_Acrylic+mixed media on canvas_193.9x259.1cm_2024
차정숙 화백 “내 마음의 노래” 개인전이 2025년 01월22일(수)부터 01월 27일(월)까지 인사동 인사아트프라자 2층에서 열린다. 케이에스아이아이(대표 이순영 010-3226-1302) 초대로 차정숙 화백의 개인전을 개최하고 있고, 2024년 6월 2일(일)부터 6월 11일(화)까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3전시실에서 2024년 상반기 전시의 마침표를 찍고 하반기11월에는 서경갤러리와 시흥컨벤션센터에서 개인전을 마쳤다. 2023년 4월 경기아트센터에서 개인전을 시작으로 2024년 1월 수원시립 아트스페이스광교 개인전과 5월양평군립미술관에서 개인전으로 경기권 전시를 이어왔었다. 500호부터 대작 활동을 많이 하고 있으며, 작품 중 5점 연작 100호외 2점은 현재 국회의사당 소통관 외 2곳에 기탁 전시되어 있다. 차정숙은 49회의 개인전과 300여 회의 국내 외 그룹전에 참여하였고 대한민국미술대전, 구상전, 대한민국 여성미술대전 등에서 다수 입상하였다. 주요경력으로 구상전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환경미술대전 심사위원, 행주 미술대전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한강 미술대전 심사위원, 신상 미술대전 심사위원, 미술과 비평 운영위원, 서울 여성미술대전 심사위원, 경기여류화가회 회장, 구상전 수석부이사장, 평화문화재단 부이사장, 시아 자문의원, 현대작가회자문위원, 예원 대학원 수채화 전문가과정 지도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평화문화재단 부이사장, 경기여류화가회 고문, 한국전업미술가협회 자문위원, 한국미술협회, 구상전 수석 부이사장, 시아 자문위원, 현대작가회 자문위원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내 마음의 노래_Acrylic+mixed media on canvas_130.3x162.2cm_2024
차 화백은 자연을 주제로 줄곧 작업하고 있다. 자연은 우리들의 생명의 터전이고 삶의 본향이면서 존재의 근원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그의 화폭에는 자연에서 담아 온 색채와 의미 그리고 간혹 튀어나온 무성한 나무에서 생동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그의 점으로 그려낸 여정에서 자아 성찰과 살아 있음에 감사와 환희를 맛보게 한다. “ 차정숙은 소묘와 채색에 재능을 두루 갖춘 작가다. 초기작에서 주로 수채화를 통해 자신이 가진 묘사력과 색채 감각을 증명해 보인 작가는 한때 판화로까지 조형 탐구의 범위를 확장해 보기도 했다. 그리고 이어서 유화와 아크릴로 재료를 바꾸면서 작가의 작품 안에서는 묘사를 단순화해 가며 이미지의 요체(essence)만을 걸러내는 추상화 작업으로 향해가고 있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상(abstract)이라는 것이 원래 생선 살을 발라내듯이 먹을 수 있는 것, 본질적인 것만을 남기고 부수적인 것들을 걷어내는 과정이라고 하는데, 결국 예술 활동의 경력이 길어지고 조형적 사유의 깊이가 깊어지면서 작가의 작품이 이러한 추상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수 있다. 회화에 있어서 추상화 과정은 형태의 단순화와 색채의 평면화로 수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사실적 재현에서 시작하여 점차 변화 과정을 진행해 온 차정숙도 작품의 추상화 과정에서 묘사의 단순화와 색채의 단일화, 그리고 때로는 그리기가 아닌 뿌리기나 실크스크린 기법의 전사(轉寫) 등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실험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러고 나서 차정숙의 최근 작품에서는 다른 조형 요소보다도 화면 가득 색채의 향연이 벌어진다. 차정숙에게 색은 감정을 전달하는 기본적인 도구이자 비문자적 시각 언어다. 구상과 추상적 색상의 결합을 통한 색채의 변주, 색상의 심포니는 예술을 포함한 우리 삶의 핵심적 사유와 체험에 관한 불필요한 수사학을 없애고 직관적 깨달음으로 주제의 핵심에 다다르게 해준다. 그러므로 캔버스를 마주하는 작가의 색에 대한 감각은 대단히 예민할 수밖에 없으며 그 어떤 표현 재료보다도 공들여 작품 속에 자신의 감각을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내 마음의 노래_Acrylic+mixed media on canvas_112.1x162.2cm_2023
모든 요소를 배제하고 오로지 색(면)에 의해서 기본적인 인간의 감정을 전달하고 명상과 사유로 인도하는 작품을 구사하던 대표적인 작가들 가운데에는 1950년대 미국의 색면추상회화(colorfield painting) 작가들이 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작가로 꼽을 수 있는 마크 로스코(Mark Rothko)는 “색상은 표현의 언어이며 심리적, 종교적 경험으로서, 보는 이가 울음을 터뜨릴 수 있게 만들어준다”라고 했다. 이처럼 회화에 있어서 색채는 상징적 언어이자 정서적 흡인력(吸引力)이 강한 도구인 것이다. 먼 산을 배경으로 숲과 나무가 전경을 장식하고 그 배경에 하늘이 상부의 화면을 차지하고 있는 작가의 캔버스를 멀리서 바라보면 몇 개의 색면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화면이 읽힌다. 그리고 다시 화면에 한 발 더 다가가면 그 안에는 작가가 원색의 변주를 통해 조색(調色)해낸 색면을 배경으로 수많은 색의 파편이 공명하는 색상의 장이 펼쳐진다. 앞줄에 선 간략한 나무 형상들이 조금씩 크기를 줄이며 색점이 되어 뒤로 물러서는 형태 원근법적 표현을 제외하면 간략한 점묘법 형식으로 숲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대형 화면은 붓놀림이 힘차면서도 대담하다.
내 마음의 노래_Acrylic+mixed media on canvas_130.3x162.2cm_2024
색상 면에서 동일 계열의 미묘한 색들이 화면을 가득 채운 채로 병치 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를 통해서 작품을 바라보는 사람의 망막에는 전체 이미지가 깊숙이 스며들면서 마음의 눈을 자극하고 감수성을 잔잔하게 피어오르게 해준다. 사실 작가는 물리적 공간으로서 전면(前面)을 암시하는 화면 하단부의 나무들이 원근법적 깊이감을 느끼기보다는 화면 중심부의 색면에서 하단으로 파생되는 경계를 좀 더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임무를 부여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차정숙의 산은 세잔(Cezanne)이 바라보고 연구하여 자신의 작품에 담은 산과 조금 다르게, 입체감이나 색온도에 따른 원근법적 표현과는 거리를 유지하며 보다 평면화되고 추상화된 상징성을 띤다. 작품에서 작가가 산을 모티브로 삼게 된 계기는 여행 중에 우연히 바라본 작가의 시선이 산그늘의 이미지와 만남으로써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순간적으로 마주치게 된 우연한 인상은 작가의 어린 시절 고향의 산들을 떠올리게 해주고 그곳의 나무들에 얽힌 추억을 소환해 주게 된 것이다. 창작자에게 묘사 대상과의 관계에 있어서 감정이입이 주는 표현의 깊이와 설득력은 그 어느 것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가의 체험이 세련된 조형 어법을 통해 관람자와 성공적으로 공유될 때 작품은 더 소중한 가치를 지니게 되고 더 많은 사람으로부터 인정받게 되는 것이다.
내 마음의 노래_Acrylic+mixed media on canvas_91.0x116.8cm_2024
차정숙 작가의 화면에서는 넓은 색면을 배경으로 간략화된 수많은 나무의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표현된다. 작가에게서 이와 같은 반복은 무엇일까? 작가는 나무의 형상 하나하나를 표현하면서 삶과 예술에 대한 다양한 화두를 사유했을 수도 있고 때로는 무념무상의 경지를 경험했을 수도 있다. 나무를 통해서 자연에 내재한 정신세계를 경험하게 해주는 대상의 몰형식성이 시각적 표현뿐 아니라 우리의 정서와 추억 등 각종 정념(情念)을 촉발하게 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차정숙의 산은 작가에게 예술의 시작이자 전부인 존재가 되는 셈이다. 작가는 다시 산의 이미지에서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나무의 잎들까지 좀 더 근접 관찰하는 태도로서 새로운 모티브를 도입함으로써 화면에 변화를 주며 새로운 질감을 도입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도 작품의 기본은 색채에 있고 그러한 색채의 추상적 상징성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 차정숙의 작품에서는 작가가 숭고미를 의식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내면적으로 물든 색채와 작가의 정서의 결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칸딘스키가 말한 것처럼 “회화에서 대상의 본질을 드러내는 것은 재현이 아니라 추상”이라는 말은 마크 로스코가 말한 것과 같이 (예술가가 사용하는) “색은 객관적 맥락에서 벗어나 그 자체로 주제가 된다”라는 말과 함께 차정숙의 작품 읽기에 길잡이가 되는 참고 발언으로서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
하계훈(미술평론가,양평군립미술관 관장)의 평문
내 마음의 노래_Acrylic+mixed media on canvas_45.5x53.0cm_2024
새해를 맞이해 자연을 자연 그대로 자연의 속내까지도 아우르는 차정숙 화백의 인사동 인사아트프라자 개인전에 함께하여 자연과 합일하려는 작가의 마음과 소통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해 본다.
|
||
■ 차정숙 | Cha, Jungsook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개인전, 초대전, 부스전 | 2025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개인전, 서울시 | 2024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연수동&시흥시 컨벤션센터 개인전, 시흥시 | 2024 서경갤러리 개인전, 서울시 | 2024 갤러리 파랑 초대전, 경기도 파주시 | 2024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2024 양평군립미술관 | 2024 수원시립 아트스페이스광교 | 2023 경기아트센터 갤러리 개인전, 경기도 수원시 | 2023 대한민국 미술 박람회, 고양시 킨텍스 | 2023~현재 국회의사당 소통관 외 2곳 | 2023 제주 아트페스타, 제주컨벤션홀 | 2022 홈테이블데코페어 부스전, 서울 코엑스 전시장 | 2022 레드부 갤러리 개인전, 경기도 의왕시 | 2022 대구아트페어 부스전, 대구 엑스코 전시장 | 2022 조형아트페어 부스전, 서울 코엑스전시장 | 2022 파주문화원 초대전, 경기도 파주시 | 2022 레드부츠갤러리 개인전, 경기도 의왕시 | 2022 미니어처 박물관 초대전,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마을 | 2022 컴프에비뉴 초대전,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마을 | 2021 갤러리 103 초대전,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마을 | 2021 레오파드락 갤러리 초대전, 경기도 파주시 | 2020 홀리데이인리조트 초대전, 강원도 용평 | 2019 알파카갤러리 초대전, 강원도 홍천 | 2018 예술의전당 한가람미 관 개인전, 예술의 전당(서울) | 2018 마니프 국제 아트페어 | 2017 구상대제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예술의 전당(서울) | 2017 아트리에 갤러리 초대전 | 2017 올갤러리 초대 개인전, 서울 인사동 | 2017 교하아트센터 개인전,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 2016 올갤러리 초대 개인전, 서울 인사동 | 2016 갤러리 이앙 초대전, 서울 혜화동 갤러리 이앙 | 2015 올갤러리 초대 개인전, 서울 인사동 | 2015 남송아트쇼, 경기도 성남아트센터 | 2015 올갤러리 초대개인전, 서울 인사동 | 2014 상상갤러리 초대전, 서울 인사동 | 2014 대한민국미술제(KPAM), 예술의 전당(서울) | 2014 서울아트쇼, 코엑스전시관 | 2013 대한민국미술제(KPAM), 예술의 전당(서울) | 2013 아산병원 갤러리 초대 개인전, 서울 아산병원 | 2013 에이엔씨갤러리 개인전, ANC Gallerry(서울) | 2012 대한민국미술제(KPAM), 예술의 전당(서울) | 2012 인갤러리 초대전, 인갤러리(서울) | 2011 서산문화회관 초대개인전, 충남 서산시 문화회관 | 2011 대한민국미술제(KPAM), 예술의 전당(서울) | 2010 순천만 국제 환경아트페어, 전남 순천만 특별전시관 | 2010 대한민국미술제(KPAM), 예술의 전당(서울) | 2010 서산갤러리 초대개인전, 충남 서산시서산갤러리 | 2010 서울미술관 초대전, 서울미술관(서울 인사동) | 2009 신상갤러리 개인전, 신상갤러리(서울 인사동) | 2009 월산미술관 초대개인전, 월산미술관(경기도 분당) | 1997 개인전, 갤러리 파르티타, 갤러리 파르티아(경기도 포천) | 1996 개인전, 도올 아트센터, 도올 아트센터(서울 인사동)
강의 | 2013. 4 ~현재 경기도 파주시 파주문화원 문화학교 미술교실 강사(유화, 아크릴화, 수채화, 뎃생) | 2013 평화미술대학 서양학과 교수 | 2003 ~ 2011 경기도 양주시 은봉초등학교 교사동아리반 서양화 강사 | 2006 ~ 2009 경기도 양주시 광탄면사무소 주민자치센터 서양화 강사 | 2009 ~ 2010 예원예술대학교 대학원 수채화전문가과정 지도교수 | 2008 ~ 2010 경기도 성남시 야탑2동 주민자치센터 서양화 강사 | 2008 ~ 2009 서울시 강동구 길동 주민자치센터 서양화 강사 | 2003 ~ 현재 개인화실 운영
경력 | 운영위원, 자문위원, 심사위원, 초대작가, 위원장 등 | 2005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초대작가 | 2005 제4회 대한민국환경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경향신문사, 후원: 환경부, 환경문화재단) | 2006 제3회 서울여성미술대전 운영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후원: 여성부, 서울시, 환경문화재단) | 2006 제3회 서울여성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후원: 여성부, 서울시, 환경문화재단) | 2006 제5회 대한민국 환경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후원: 환경부, 서울시, 안산시, 환경문화재단) | 2007 2007대한민국 현대미술엑스포 운영위원(주최: 조선일보사,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 2007 제4회 서울여성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후원: 서울시, 환경문화재단) | 2007 제6회 대한민국 환경미술대전 운영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후원: 환경부, 산림청, 환경문화재단) | 2007 제6회 대한민국 환경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후원: 환경부, 산림청, 환경문화재단) | 2008 제2회 대한민국 한강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후원: 환경문화재단, 한강유역청) | 2008 제6회 도솔미술대전 운영위원(주최: 천안시,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천안지부) | 2009 평화아트페스티벌 운영위원(주최: 사단법인 평화미술협회) | 2009 제15회 행주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고양지부) | 2009 제38회 사단법인 구상전 공모대전 심사위원 | 2009 제8회 대한민국 환경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 후원: 환경부, 산림청) | 2010 제16회 행주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고양지부) | 2010. 4~2013.03 사단법인 한국전업미술가협회 재정복지위원회 위원장 | 2010 태산.한강 국제미술대전 조직위원회 운영위원(주최: 태산.한강 국제미술대전 조직위원회) | 2010 순천만국제환경아트페어 초대작가, 대한민국생태수도 순천 명예홍보대사(주최: 순천시) | 2010 제39회 구상전 공모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구상전) | 2011 현대미술작가연합회 자문위원 | 2011 제17회 행주미술대전 심사위원(주최: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고양지부) | 2011 제15회 대한민국통일미술대전 운영위원 | 2012 제1회 대한민국 명인미술대전 운영위원 | 2007~현재 미술과 비평 운영위원 | 2010 예원예술대학교 대학원 수채화전문가과정 지도교수 | 2007~2009 문화센터 회화과 강사(서울 강동구 길동 동사무소) | 2009~2010 문화센터 회화과 강사(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2동 동사무소) | 2010. 4~2013.3 사단법인 한국전업미술가협회 재정복지위원회 위원장 | 2007~현재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회원 | 2006~현재 사단법인 구상전 회원 | 2009~현재 현대사생회 회원 | 2009~현재 자연동인회 회원 | 2011. 10 사단법인 한국전업미술가협회 | 2011 KPAM 대한민국미술제 심사위원 | 2012. 10 대한민국명인미술대전 운영위원 | 2013. 3~2016. 2. 사단법인 한국전업미술가협회 서양화비구상 부이사장 | 2013. 4~2016. 3.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특별분과위원회(행정위원회) 운영이사 | 2013. 3~현재 평화문화대학 서양화과 교수 | 2013~현재 (사)평화미술재단 부이사장 | 2013. 국토환경미술대상전 운영위원 | 2013. 6. ~ 현재 전국장애인기능경기대회 그림 직종 과제검토위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2013. 현대미술작가전 자문위원 | 2013. 10 대전문화방송 2013 금강미술대전 심사위원 | 2013. 12~현재 사단법인 평화문화재단 수석부이사장 | 2014. 6. 2014년도 지방대회 선발전 회화 직종 과제 검토위원 | 2014년도 제31회 전국장애인기능경기대회 그림 직종 과제검토위원 | 2014. 7. 한국현대미술작가연합회 운영위원 | 2015. 4. 제9회 국제대회 선발전 회화 직종 과제 검토위원 | 2015. 6. 제32회 전국장애인기능경기대회 그림 직종 과제검토위원 | 2015. 6. 제9회 국제장애인기능올림픽대회 국가대표 선발전 회화직종 심사위원 | 2021. 2 사단법인 한국전업미술가협회 서양화분과 부이사장 | 2016. 4. 제35회 대한민국미술대전 비구상부문 심사위원 | 2016. 7.~현재 현대미술작가연합회 자문위원 | 2020 대한민국미술대전 수채화부문 심사위원 | 2022~현재 (사)전업미술가협회 자문위원 | 2021 ~ 현재 경기여류화가회 회장 | 2022 ~ 현재 (사)전업미술가협회 자문위원
수상 | 2004. 6. 17 제1회 대한민국 환경수채화공모전 우수상 | 2004. 10. 17 2004년 단원미술대전 입선(부문: 서양화 구상) | 2004. 10. 26 제33회 사단법인 구상전 장려상(부문: 서양화) | 2004. 11. 19 제3회 대한민국 환경미술대전 특선(부문: 서양화 수채화) | 2005. 5. 26 제9회 나혜석미술대전 입선(부문: 서양화-하모니) | 2005. 7. 6 제21회 한국수채화공모전 입선 | 2005. 7. 21 구상전 특선(부문: 서양화) | 2005. 8. 5 제8회 세계평화미술대전 특선(부문: 수채화) | 2005. 9. 2 제11회 행주미술대전 특선(부문: 서양화) | 2005. 11. 15 제30회 창작미술협회 공모전 입선(작품명: 흔적) | 2005. 12. 15 제42회 목우공모미술대전 입선(부문: 수채화, 명제: 믿음) | 2006. 7. 7 제9회 세계평화미술대전 특선(부문: 서양화 비구상) | 2006. 7. 12 제4회 겸재진경공모대전 입선 | 2006. 7. 22 제12회 한국수채화협회 공모전 입선(작품명: 보듬자! 작은합창) | 2006. 10. 18 제35회 구상전 특선(부문: 서양화) | 2006. 12. 7. 제25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분야: 수채화, 작품명: 고가) | 2015. 12. 19 표창장(지역 문화예술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 | 2023. 7 갤러리 루벤상 -선대작가회 | 2024. 3 골든아티스트어워드상 한국전업미술가 협회 | 2024. 10. 29 올해를 빛낸 인물 대상 - 대한민국 인물 대상 선정위원회 2024.12.19 표창장(전시⋅예술을 통해 국가 문화 발전에 공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Blog | https://blog.naver.com/chajs001 E-mail | chajs001@daum.net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0122-차정숙 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