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원 展

 

1부 : 공생 - Stone +지의류

2부 : 춘천 - 흐르는 빛과 색

 

공생(共生) 6_Acrylic+Paper_50x27x25cm_2024

 

 

 

2024. 9. 13(금) ▶ 2024. 9. 18(수)

작가와의 만남 | 전시기간 중 매일 오후 2시 - 4시

작가와의 대화 | 2024. 9. 18(수) 오후 2시

강원도 춘천시 서부대성로 71 | T.033-241-1856

 

http://ccart.or.kr

 

 

공생(共生) 5_Acrylic+Paper_237x91x12cm_2024

 

 

익명적 텍스트들의 물성과 초(超)물성

 

■ 이 땅에 종이작가들이 무수히 많지만, 전태원의 작업은 친숙하면서도 대단히 유니크한 데가 있다. 일찍부터 어떤 텍스트들이 인쇄된 종이들을 과립 상태로 잘게 세절 분해시켜, 화면에서 전혀 예상 밖의 컨텍스트와 형상으로 재탄생시킨다는 점에서이다. 초현실주의의 맥락에서 보면 실제 사물이 예술적 컨텍스트로 진입하는 경우 오브제라 부른다. 추상적인 예술적 맥락이 실제 사물의 기능과 인덱스를 변질시킨다는 점에서 구분상 굳이 불어로 부르고 있다. 그의 종이 자체가 기능이나 표지(標識)를 달리한다는 점에서는 오브제가 맞다.

그러나 작가의 경우 그 변화의 폭이 상당히 커서 오브제라는 개념으로 포섭될 수 있는지는 단정지어 말하기 힘들 것 같다. 방법적으로는 분명히 종이 작업인데, 한지의 물성적 탐구와는 결이 다르다. 그의 종이는 이미 한번 문서나 도서로 ‘용도가 종료된’ (secondhand) 종이, 즉 오브제인 것이다. 아동미술에서 신문지를 물에 풀어 조형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하면 되겠다. 하지만 단순한 폐지 활용 차원과 작가의 ‘텍스트 이후’라는 모티브 사이에는 커다란 의미론적 차이가 있다. 중요한 것은 오브제이기도 하고 오브제를 초월한 초(超)오브제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작가의 종이 시대의 전기와 후기를 상징하는 양식적 특징이기도 하다.

 

 

공생(共生) 7_Acrylic+Paper_43x33x17cm_2024

 

 

전기에는 어떤 서류 같은 지면들을 파쇄시켜 나온 그래뉼들에 어느 정도 글자가 보이는 상태로 많이 사역되었다. 그렇게 만들어진 문자 알갱이들이 모자이크처럼 합성되어 아주 사실적인 인물 이미지로 표현된다. 물론 페인팅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과립화된 종이 알갱이들이 주를 이루며, 무언가 의미의 해체와 재구성이라는 담론의 양상을 띠게 된다. 이웃들의 초상이라지만 그것들이 보통의 안료로만 그려진 것들과는 많이 다른 서사의 문맥을 띠게 된다. 모델링의 완성도가 높은 상태이면서도, 언젠가는 흔적도 없이 사라질 덧없는 존재, 즉 실존을 내포하는 문맥도 감지된다.

한편 후기에는 물결과 돌 입체 이미지의 양식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종이 오브제의 과립들이 더 잘게 분쇄되고, 다시 반죽되어 사역된다. 그렇다고 글자가 완전히 소멸된 것은 아니다. 그나마 모자이크를 이루던 글자 알갱이들이 이제는 완전히 의미와 기능이 소거당해 색 기능으로 환원되는 듯한 양상이다. 무채색조 재현성을 강하게 띠지만, 근작으로 오면서 색조가 더 짙어지고 있다. 주로 반입체(물결 연작) 내지는 입체(돌)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공생(共生) 8_Acrylic+Paper_70x60x10cm_2024

 

 

■ 물결과 돌 작업을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작가는 이렇게 피력하고 있다. “그동안 제작해온 ‘돌과 물결’ 작품들은 주로 파쇄 종이에 인쇄된 글자와 이미지를 살린 무채색 계열이다. 시간의 추이에 따라 기존의 요철 물결 위에 흐르는 빛을 색조로 표현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계절과 날씨의 변화, 낮과 밤, 여명과 노을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빛을 색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는 내가 지금까지 살아왔고 앞으로도 살아갈 춘천에 바치는 마음을 담은 애향의 헌정작(獻呈作)이다”(작가노트) 작가는 소양강의 흐르는 물, 의암호반의 잔물결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또한 춘천으로 환원되어야 할 그 무엇이라 역설하고 있는 듯하다.

이 대목에서 작가의 화면은 재현이면서도 침묵(沈默)과 명상의 세계로 인도한다. 물이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움직이면서 만든 흔적의 ‘결’은 그 자체로 추상적 완성도를 충분히 보여준다. 이렇듯 미니멀한 화면에서 문득 돈오(頓悟)냐, 점수(漸修)냐로 묻는다면, 작가는 점수의 작가인 셈이다. 우연성이 작용하는 짧은 순간 점 하나 찍고서 어떤 세계나 미의 완성을 이루는 작가와는 달리 오랜 시간 수행과도 같은 인고의 프로세스를 거쳐 완성해나간다는 점에서다. 많은 요소와 조건들을 경험적으로 다스리고 제어하면서 가까스로 어떤 향유의 거리를 이루는 것이 작가의 작업이다.

 

 

공생(共生) 9_Acrylic+Paper on  Monitor_41x43x18cm_2024

 

 

2018년 이상원미술관 초대전에서부터 선보인 입체작품들에서 작가의 심미적 감각이 번득이고 있다. 잘게 세절된 글자 알갱이들의 반죽을 통해 돌이나 석상 같은 입체 성형을 한 것이다. 돌 자체의 질감은 말할 것도 없고, 오랜 세월의 흔적인 지의류나 선태류들이 덮고 있는 모습까지도 리얼하게 구현된다. 태고로부터 시작된 영겁의 시간성이나 성불의 염원과 혼이 담긴 석상들의 시간성에 작가의 글자 알갱이들은 어떤 의미론적 연관성을 가질까. 가끔은 작가의 작품들을 대할 때 영상 속에서 어떤 이미지가 점으로 해체되다가 완전히 허공 속에서 사라지는 그런 그래픽 같은 것들이 연상된다. 우리의 문명이란 것도 자연으로 흡수 매몰될 운명이라는 인식을 피력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시작도 끝도 알 수 없는 우주의 나이 앞에서 그저 한 줌의 흙에 불과하다는 세계관의 표현일까. 그의 바위 작품들 앞에서 우리의 상상과 사유는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재언 (미술평론가)

 

 

흐르는 빛과 색  2_Acrylic+Paper on canvas_73x61cm_2023

 

 

작가노트

 

나는 종이에 인쇄가 된 책의 문자와 이미지들을 잘게 부신 후 그들을 다시 켜켜이 쌓아 올려 돌(Stone)을 만드는 작업을 20년 이상 해왔다. 돌이 간직한 오랜 시공간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최근엔 그 돌의 표면에 지의류(地衣類)를 올리고 있다.

뿌리 부분과 영양 공급을 해주는 상부가 전혀 다른 종이면서도 공생을 하는 지의류는 대기오염에 아주 민감하다. 작고 조용하지만 지구의 마지막 환경 지킴이다.

 

 

흐르는 빛과 색  3_Acrylic+Paper on canvas_73x61cm_2023

 

 

흐르는 빛과 색  6_Acrylic+Paper on canvas_45.5x53cm_2024

 

 

 

 

 
 

전태원 | Jeon Tae Won

 

1975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졸업-서양화 전공

 

개인전 | 2024 “공생-共生” 갤러리그림손, 서울, 강원갤러리 선정작가 | 2024 “공생/춘천,흐르는 빛과 색” 춘천미술관, 춘천문화재단 원로예술인지원사업 선정작가 | 2021 “영겁의 단편” 춘천문화예술회관 | 2021 “영겁의 단편” 아트나인갤러리, 서울, 정수아트센터 초대 | 2018 “시작도 끝도 없는-The Wave” 이상원미술관, 춘천, 강원문화재단 원로예 인지원사업 선정작가 | 2006 “THE STONE-MOMENT” 갤러리상, 서울 | 2006 “THE STONE-MOMENT“소나무갤러리, 춘천 | 2003 “THE STONE-영겁의 단편” 춘천미술관 | 1989 “산과 강” 선 갤러리, 춘천

 

단체, 초대전 | 환경그룹전 | 한국청년작가전 | 아트인강원전 | 한국현대미술방법작가회전 | 강원갤러리특별초대전 | 힘있는강원전 | 강원트리엔날레 | 강원미술대전초대작가전 | 한국미술협회전 | 강원도미술협회전 | 춘천미술협회전 | 50인100선전 | 춘천뿌리전 | 춘천모두의미술전 | 원주아트갤러리개관기념초대전 | 사북항쟁40주년기념전 | 포스트아방가르드전 | 명상과힐링전 | 세대교감전 | 더클래식전 | 프랑스 파리 | 일본 도야마현, 돗토리현, 호후시 | 중국 길림성, 요령성, 다렌시 |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등 국내외 단체 초대전 400여회 출품

 

역임 | 한국미술협회강원도지회장 | 한국미술협회춘천지부장 | 한국예술인총연합회춘천지회장 | 아트인강원이사장 | 강원미술대전 운영위원장/심사위원 | 박수근미술관 건립추진위원 | 신사임당미술대전운영/심사위원

 

수상 | 강원미술대전대상-문공부장관상 | 국무총리표창-85강원전국체전카드섹션총지휘 | 강원도문화상-현대예술

 

작품소장 | 국립춘천박물관, 박수근미술관, 일본토야마현립미술관, 한국전력횡계연수원, 춘천MBC, 이외수감성마을, 강원특별자치도 청소년수련원

 

E-mailstone5234@naver.com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40913-전태원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