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계식 展

 

상품리 추억_160x130cm_수묵담채_2021

 

 

갤러리 라메르 1층 1관

 

2024. 6. 19(수) ▶ 2024. 6. 24(월)

Opening 2024. 6. 19(수) pm 4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5길 26, 홍익빌딩 | T.02-730-5454

 

www.gallerylamer.com

 

 

가을의 정_137x35cm_수묵담채_2024

 

 

강계식의 수묵산수

수묵담채와 고운 마음결이 지어낸 소소한 자연미

 

신항섭(미술평론가)

 

그림을 보면서 그림의 정서와 작가의 마음이 일치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반드시 그렇다고 할 수는 없을지언정 작가에 따라서는 성품이 작품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정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예술가의 미적 감수성이 창작에 어떤 식으로든지 영향을 미치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일이다. 색채를 다루는 그림에서 감정 표현은 창작의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기술과 감정 표현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이상적인 조형의 세계일 터이다.

심원 강계식의 수묵산수를 보면서 곱고 맑으며 밝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수묵과 담채를 적절히 조화시키면서 마주하는 대상에서 받아들인 인상을 담백하게 풀어내는 감각이 아주 안정적이다. 잘 숙련된 필치임에도 조심스럽게 한 획 한 획 그어나가는 절제된 붓질에는 결코 감정이 넘치지 않는다. 더구나 담백하고 맑은 담채가 지어내는 정서는 아릿한 서정미를 불러들인다. 무언가 시각적으로 인지되지 않는 따스한 감정이 녹아든 서정성은 지난 시절의 아련한 추억을 소환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개심사의 봄_46x35cm_수묵담채_2023

 

 

수묵산수 작가들 대다수가 그렇듯이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골고루 담아냄으로써 산수를 사랑하는 작가로서의 면모를 여실히 드러낸다. 그 가운데서도 봄이 많은 건 여성적인 감수성 때문이지 싶다. 물론 누구에게나 화사한 봄꽃은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지만 그래도 여성의 감수성은 한층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마련이다. 그래서일까. 꽃을 대상으로 하는 봄날 풍경은 유난히 아름다워 수묵화라는 사실을 잠시 잊게 만든다. 그만큼 곱디고운 담채 이미지가 지배하는 화면은 봄의 기운을 고스란히 옮겨온 듯싶다.

그의 작업 가운데 설악산이나 북한산과 같은 장엄한 바위산도 있지만 대다수는 키 낮은 산들이 줄을 잇는 듯한 한국 특유의 산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적지 않다. 한국 산수화에서 산이 없는 자연풍경은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산 중심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실제로 그의 작품에서도 낮은 산이 둘러선다. 지붕 개량을 한 농촌 가옥이나 기와를 얹은 고택을 중심으로 하는 풍경 대다수는 그 뒤쪽에 산이 자리하고 있다. 어쩌면 이는 특정의 소재를 중심으로 하는 근경 중심의 풍경이 아니고서야, 산을 피해 구도를 잡는 건 매우 힘들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내소사_70x46cm_수묵담채_2023

 

 

그의 산수화는 소소한 시골 풍경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아기자기한 계단식 논과 아름다운 곡선을 이루는 밭 이랑 뒤쪽으로 자리 잡은 나지막한 농촌 가옥과 듬직한 담장 너머로 고개를 내미는 기와지붕의 고옥 그리고 경승지의 누각과 고택 풍경 등이다. 순수한 자연풍경도 아름답지만 이들 인간이 거주하는 주거 공간과 조화를 이룰 때 더 아름답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나지막한 가옥들과 낮은 산이 조화를 이루는 풍경은 평화롭기 그지없다. 시각적인 평화만이 아니라 마음의 평화를 가져온다. 그의 시선이 어루만지는 듯싶은 온기가 그림 속에 녹아들고 있음을 증명하려는 듯싶다. 

산수화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기암괴석의 바위산과 단애의 해변이나 강변의 절벽에 자리한 정자 및 누각이 있는 절경을 말한다. 이에 비해 그의 산수는 이와 같은 일반성을 의식하지 않은 채 시골로 나서면 흔히 만나는 소소한 풍경에 시선을 멈춘다. 그림이 될 성싶지 않아 하찮아 보이는 시골 풍경인데도 절경 못지않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풍경일지언정 애정이 담긴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아름다운 산수로 바꾸어 놓는 것이다.

 

 

능내리 여름_70x46cm_수묵담채_2023

 

 

거대한 바위로 이루어진 산 풍경은 근경 중심의 구도를 택함으로써 시각적인 압박감과 함께 장중하고 힘이 느껴지는 바위산의 기세가 명료하게 드러난다. 강직한 필선은 바위산이 가지고 있는 무게감과 힘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다. 기술이나 필선의 기교를 의식하지 않은 채 담담하게 전개하는 필치는 확신에 차 있는 듯이 보인다. 이는 오랜 시간 실력을 다지는 과정에서 체득한 필치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되는 것일 수 있다. 폭포에서도 마찬가지 바위 사이로 힘차게 내리쏟아지는 힘찬 물의 속도감이 시각적인 쾌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인상은 실사에서 느낄 수 있는 시각적인 이미지 및 감정 표현이다,

수묵산수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익히는 실경 감각, 즉 실재하는 풍경에서 가져오는 실사 정신을 중시한 결과이다. 이전의 누군가가 걸어간 길을 좇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자기 눈으로 본 사실만을 표현한다는 정신이야말로 실사의 힘이다. 이를 통해 자연을 관찰하는 눈이 확립되고 자기 노력 및 실력에 대한 믿음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의 산수에서 나타나는 필선의 명료함은 이러한 과정에서 비롯되었다.

 

 

모악산 산사_70x46cm_수묵담채_2022

 

 

실사는 실제 풍경을 앞에 두는 상황을 말하기에 공간적인 표현에서 심도가 깊게 마련이다. 다시 말해 소재 및 대상과의 거리에서 오는 공간감을 은연중에 반영한다. 이러한 공간감은 사실성을 강화하는 요인이 된다. 눈으로 익힌 산수화의 개념에서 벗어나 직접 체험함으로써 실감이 나는 표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의 산수화가 취한 공간적인 심도는 여기에서 비롯한다.

그의 그림이 추구하는 세계는 자연의 실체와 마주했을 때 받아들이는 미적 감수성을 그대로 담아내는 데 있다. 감각적이지 않을뿐더러 감정에 치우치지 않은 차분하고 자분자분한 필치로 전개되는 산수는 잔잔한 울림을 전한다. 이러한 시각적인 이미지 및 정서의 근원은 그 자신의 심성에서 비롯된다고 보아야 한다. 오랜 실사를 통해 몸에 익힌, 자연을 응시하고 관조하는 겸허한 자세와 애정이 담긴 시선으로 바라보는 자연미가 그대로 녹아들어 있는 것이다.

 

 

백운대_70x46cm_수묵담채_2023

 

 

설후_70x46cm_수묵담채_2023

 

 

유채꽃피는 봄_40x37cm_수묵담채_2021

 

 

임한리 솔밭_92x67cm_수묵담채_2023

 

 

적설_46x38cm_수묵담채_2023

 

 

 

 
 

강계식

 

E-mail | kskang1122@naver.com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40619-강계식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