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추미림 · 홍승혜 展
파트너스 데스크 Partners Desk
디스위켄드룸
2024. 4. 12(금) ▶ 2024. 5. 18(토)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42길 30 | T.070-8868-9120
추미림 作_무제 Untitled, 2024_single channel video, 2’ 25’’(loop, edition 1/3 + A.P 2)_Screenshot
파트너스 데스크는 두 사람이 마주 앉는 대면용 책상을 말한다. 이 사물은 추미림과 홍승혜가 오랜 시간 만나 각자의 세계를 꺼내어 늘어놓고 정해진 답이 없는 퍼즐을 맞추어보는 장면을 상상하게끔 했다. 둘은 모두 도시적 환경에 매료되어 조형적 실험을 이어가고, 디지털 툴과 친숙한 방식으로 작업을 구현한다. 또한 하나의 매체에 묶이지 않고 주어진 공간과 상황에 따라 능수능란하게 최적화된 형식을 고안한다는 점 역시 이들이 공유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기획의 초점은 두 작가의 관심사가 비슷하면서도 작업 여정의 출발과 방향이 사뭇 다르다는 사실에 있고, 전시라는 장치로 성사될 일시적 만남을 통해 두 주체가 갖는 시각과 태도의 단차를 현재의 중심으로 끌어오는 데 있다. 따라서 이 책상의 의미는 몇몇 느슨한 전략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추미림 作_Mirror pixel 004, 2024_pen on paper, mirror_59.4x42cm
전시에서는 접근법의 차이만큼이나 두 행위자가 공통으로 취하고 있는 태도 역시 어렵지 않게 발견된다. 특히 하나의 작품에 사용되었던 이미지 파편을 여러 지지체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되 각 환경에 맞는 역할과 관계를 재설정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마치 한 파일을 여러 확장자로 변경하며 이미지의 효용을 변환시키는 것과 닮았다. 이 사실은 굽어져 내려오는 철제 계단 아래 또 다른 공간을 채우는 작품들에서 선명하게 파악된다. 가까운 위치에서 각각의 소리와 속도를 갖고 재생되는 두 영상은 세계관의 접속과 비접속의 지대를 가감 없이 보여준다는 점에서 본 전시의 중심에 있다. 그들은 필요와 취향에 따라 상대방의 작업 속에서 닮은꼴과 다른 지점을 찾아 자신의 우주로 편입시킨다. 이 복사와 내보내기, 수정의 과정은 외부를 향해 일어나기도 하지만 독립된 개인의 차원에서도 중층적으로 일어난다. 가령 홍승혜의 <무제>에서 떠다니고 충돌하는 여러 모양 중 어떤 것은 추미림의 영상에 삽입된 형태를 빼닮았지만, 동시에 각 도형들은 색색깔의 부조로도 여러 차례 추출된다. 추미림의 <무제>는 작가의 나란히 플레이되는 홍승혜의 영상과 유사한 러닝 타임과 화면 비율, 제한적인 기하 요소 등을 공유한다. 뿐만 아니라 그의 치밀한 설계와 코딩 명령어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태어난 화면 구성은 정지된 드로잉 이미지로 그 존재 방식을 다각화하기도 한다.
글 | 박지형 (디스위켄드룸 큐레이터)
홍승혜 作_액자형 부조 Frame Type Relief, 2024_ melatone hpl + birch plywood_52x40x9cm(frame)_dimensions variable(objects inside)
홍승혜 作_액자형 부조 Frame Type Relief, 2024_melatone hpl + birch plywood_ 52x40x9cm(frame)_dimensions variable(objects inside)
|
||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40412-추미림, 홍승혜 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