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지연 展
영산강
영산강 Digital pigment print, 2020
류가헌 Ryugaheon
2021. 11. 2(화) ▶ 2021. 11. 14(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106-4 | T.02-720-2010
영산강 Digital pigment print, 2020
나는 영산강을 넓은 영역에서 다 살피지 못했다. 그것은 여러 곳을 두루 찾아다니지 못한 것도 있지만 내가 태어난 곳을 중심으로 그 유역의 땅을 다시 찾는 데 의미를 두었다. 광주지역으로 흐르는 영산강의 한 다리 옆에서 태어났고 지금 그 집은 강을 넓히면서 둑 아래로 사라졌다. 그 곳을 중심으로 내가 자라던 곳과 외갓집 동네 남평 정자교 주변과 아버지가 운영했던 중학교 터와, 외증조할머니의 조카가 살던 나주 배 과수원 주변에서 더 많이 서성였다. 나에게 중요한 것은 강의
근원지와 종착지가 아니라 내가 살던 곳의 강물이었다. 내가 태어난 곳 옆으로 흐르는 강이 영산강이라는 사실조차 오랫동안 몰랐었다.
영산강 Digital pigment print, 2020
그 근원지를 찾아 나설 것도 없이 강물은 예나 지금이나 같은 얼굴이 아니다. 그도 흐르고 나도 따라서 흐르고 있다. 영산강 유역의 기름진 평야는 이제 낯설게 느껴지고 강 건너 송정 비행장에서 이착륙하는 비행기 소음이 크게 들렸다. 여름 뙤약볕에 억새밭을 헤매이던 시간이 흐르고 어느새 억새는 은빛 비단결 같은 꽃잎을 강물 위로 날리며 그 근원을 생각하게 한다.강가의 포플러나무는 그 열렬했던 푸르름도 사위고 누르스름한 나뭇잎 몇 잎 남아 강물의 느린 흐름을 눈치채게 한다. 강으로서의 임무를 마치고 서해바다에 이르는 지점 목포 고하도에서 따뜻한 사람들을 만나기도 했다. 돌아오는 길에 함평을 지나면서 할머니의 댁호가 ‘함평댁’이었던 기억과 할아버지가 늘 부르시던 ‘함평천지 늙은 몸이’ 호남가의 첫 소절이 떠오르기도 했다. 영산강 곳곳을 다 전하지 못하는 까닭은 내가 한 작은 다리 옆에서 태어났기에 그곳을 못 벗어나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 생각이 나를 여기로 다시 돌아오게 한 것이리라. 영산강 근원지에서 서해바다에 이르기까지 내 혼을 실어 보낸다.
영산강 Digital pigment print, 2020
영산강 Digital pigment print, 2020
|
||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11102-김지연 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