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경남근현대작가조명전
여산 양달석 黎山 梁達錫 展
경남도립미술관
2021. 6. 25(금) ▶ 2021. 10. 10(일)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지로 296 | T.055-254-4600
https://gam.gyeongnam.go.kr
낙원 종이에 수채, 42×64cm, 1963, 개인 소장
“동화를 쓰는 기분으로 그림을 그린다. 마치 아픈 매를 맞으면서도 웃어야 하고 찢어질 듯한 역경에서도 마음만은 행복하게 즐겨야 하는 모순처럼...”
- 양달석 회고록(1975) 중에서
정치와 권력, 역사와 예술은 어떠한 관계 속에 있는가? 다양한 시대의 소음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 작용 되어 왔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우리의 삶과 역사를 되짚어 보게 한다. 한국의 근현대사는 치열하고 기이한 상황 아래에서, 이따금 우리의 울분을 깨워낸다. 그 안의 예술은 더욱이 그렇게 존재해 왔다.
여산 양달석은 1908년에 태어나 한국 근현대사의 질곡을 경험하며 살았다. 일제강점기, 해방공간, 전쟁, 분단국가와 강력한 이데올로기의 정권까지. 죽고 사는 것, 먹고 사는 것이 우선시 되었던 우리의 20세기는 그렇게 시대적 모순과 억압된 체제 아래서 모든 이의 삶을 처절하고 힘겹게 버텨내도록 만들었다. 전업화가, 그리고 일곱 식구의 가장으로서 살아온 여산의 삶은 어땠을까? 21세기 최첨단의 자본주의 속에 살아가는 우리가 그 모든 감정들을 이해할 수 있을까?
‘여산(黎山)’은 양달석 화백의 호다. ‘새벽녘의 희뿌옇고 어스름한 산’이라는 작가 자신의 설명은 그의 생과 시대적 배경, 또한 작품 속에 그토록 담고자 했던 가치들을 통해 다시금 그 의미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소와 목동, 낙원과 동심의 세계, 동화와 민요 화가,, 여산을 대표했던 이러한 단어들은 그의 작품 속 조형미와 일치한다. 그러나, 보다 깊숙이 그의 작품을 들여다보면 여산의 새로운 면모들을 느껴볼 수 있다.
자갈치 종이에 수채, 36×52cm, 연도미상, 개인 소장
실제 1950년대 이전 여산의 작품들은 한 예술가의 비폭력적 저항 의식이 느껴진다. 회색빛의 어둡고 애잔한 분위기가 감도는 농촌 풍경, 힘겹게 살아내고 있음을 가감 없이 드러내 보인 서민들의 생활상, 혹은 오히려 그러한 서민들의 삶에서 새로운 세상의 희망을 담아내고자 했던 농민들의 강인한 모습까지. 이렇듯 여산이 표현한 한국 사회의 단면과 새로운 희망들은 암울한 시대 속 한 예술가의 강한 사회적 의식이 담겨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산의 사회적 의식들은 소와 목동을 즐겨 그리던 1950년대 후반 이후 작품들에서 쉬이 찾아보기 힘들다. 혹은 그렇게 알려져 있다. 이 시기 작품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아이들과 자연, 목가적인 농촌 풍경들은 흔히 새로운 낙원, 동심의 세상으로 해석되어 진다. 그렇다면, 그러한 낙원은 암울한 시대를 넘어서고자 했던 새 세상으로의 희망과는 무관한 것일까? 여산의 유족과 화우의 증언, 작가 자신의 회고록과 기고문들은 그러한 의문을 풀어 주었다. 더불어 소와 목동을 즐겨 그리던 시기 역시, 안타까운 사회상에 대한 비판적 의식이 느껴지는 작품들을 함께 작업했던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렇게 다양한 그의 작품에서 무엇을 보아야 하는가?
푸른 색감이 감도는 생활 풍경, 강한 에너지를 지닌 농민들의 모습, 어두운 시대 속 힘들었던 서민들의 모습, 고통 없는 낙원 속에서 뛰노는 소와 어린 아이들의 모습이 은유했던 또 다른 의미들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다양한 그의 화풍과 숨겨진 은유들은 안타까운 사회 현실에 대한 작가의 시선, 이를 넘어서고자 하는 사회적 바람과 이를 진정으로 표현해 내고자 했던 작가의 의지를 짐작케 한다. 결국 작가는 어두운 밤을 걷어 내고 찾아온 새벽녘의 희뿌연 내일의 희망처럼, 암울한 시대를 넘어선 새로운 세상에로의 예찬을 끊임없이 표현해 내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여산 양달석의 삶과 예술을 통해, 사회를 향해 외치는 그의 강한 메시지를 느껴보고, 시대의 억압과 권력, 그 아래의 예술과 예술가의 삶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길 바란다.
소녀 합판에 유채, 67×55cm, 연도미상, 부산시립미술관 소장, 신옥진 기증
망향 종이에 콩테, 20×28cm, 1950년대, 개인 소장
무제 캔버스에 유채, 50×65cm, 1953, 경남도립미술관 소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