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1c_Family Pictures 展
BBREKA(신재은, 최진연), 양은혜, 성희진, 황혜선
아트스페이스J
2021. 5. 11(화) ▶ 2021. 6. 29(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66 SPG Dream Bldg. 8층 | T.031-712-7528
BBREKA, 1인 가구 프로젝트, 2017
‘가족(家族)’. 주로 부부를 중심으로 한,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그 구성원. 혼인, 혈연, 입양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가족의 사전적 정의로 일반적으로 한 집에서 함께 살면서 끼니를 같이하는 사람인 식구와 유의어로 사용된다. 오늘날 우리나라 총 가구수는 2,309만 3,108가구이며 평균 가구원수는 2.4명으로, 이 중 1인 가구수는 39.2%를 차지한다. 한편 반려 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점점 늘어 604만 가구로 우리 국민은 4명 중 1명 비율로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전통적인 가족의 개념은 사회, 경제적 구조의 변화에 따른 개인의 취향과 기호, 그리고 가치관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변모해 왔으며, 그 의미와 관계에 대한 질문들 역시 예술계의 주된 화두가 되어오고 있다. 이에 아트스페이스 J에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른 동시대 한국 가족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사진, 회화, 그리고 설치작업으로 이루어진 < 21c_Family Pictures >展을 기획하게 되었다.
양은혜, 여름여자, 72.7x72.7cm, acrylic on canvas, 2016
그런가 하면, 사진가 성희진은 급격한 산업화와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룩한 한국이라는 사회에서 자라고 있는 21세기의 아이들과 이들을 위해 할머니와 엄마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이 시대 ‘할마’들의 모습을 <Busykid>와 <Grand-Mother>에서 보여주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지원을 받고 있는 오늘날 아이들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맞벌이로 인한 부모의 부재가 수반되며, 이는 자연스럽게 손주들을 위해 기꺼이 육아를 책임지는 할머니들의 황혼 육아로 이어진다. 그녀의 작품 속에는 ‘우리보다 더 나은 삶을 살게 하기 위해’라는 명목하에 오늘도 묵묵히 하루를 살아가는 원더 할마들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시선과 세대를 초월하는 공동체의 보편적인 가치가 담겨있다.
아트스페이스 J l 한혜원
성희진, BUSYKID_Ribbon Gymnastics, 56×76cm, inkjet print, 2013
황혜선, 가족, 57x120x0.3cm, 알루미늄 분체도장, 2020
|
||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10511-21c_Family Pictures 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