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지선 展
Somewhere, No-Where
Blue Fine Day III_40.9cm x 31.9cm_캔버스에 유채_2020
이유진갤러리
2020. 8. 20(목) ▶ 2020. 9. 12(토)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압구정로77길 17 | T.02-542-4964
www.leeeugeangallery.com
Blue Spring-Wind_97x130.3cm_캔버스에 유채_2020
나는 특정 공간에서의 기억을 바탕으로, ‘익숙하지만 낯선 공간’, 다시 말해 ‘어디엔가 존재할 듯 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공간(Nowhere)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한다. 나는 평면 안에서 풍경 인식에 관심을 갖고, 순간적으로 포착한 장소적 사실에 접근하는 방법부터 시작된다. 대자연의 여행뿐만 아니라, 길을 걷다가 만난 나무가 우거진 길에서 나는 바람소리, 나무가 우거진 한강, 우연히 발견한 내 집 뒤뜰 등 우연히 마주한 자연공간에서도 관심을 갖고 있다.
특정 장소로부터 작업실로 돌아와 빈 캔버스 앞에서 몸에 남아 있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감흥을 떠올리며 화면 속으로 그 정서, 감각을 담으려고 하고 있다. 자연 속을 배회하면서 나뭇가지 사이로 보이는 빛, 바람, 흔들리는 숲, 움직이는 물결 등을 기억하고, 캔버스 안에 내가 느꼈던 감정을 기록하려 한다. 내가 감각하였던 당시의 풍경이 화면으로 옮겨지면서 재구성되기 때문에, 누구나 볼 수 있었던 풍경으로서 재현하려는 것이 아니라, 내가 당시에 경험했던 기억에 현재 시점의 내면적 정서를 보태어 캔버스 안에 담으려고 한다.
캔버스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특정공간에서 며칠간 일기처럼 사운드를 녹음하고, 영상, 사진을 촬영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그 후, 내가 감각한 풍경을 캔버스 안으로 옮기는 과정은 먼저 나의 경험에 기초한(직접 수집한 이미지, 영상과 사운드) 여러 형상들을 기반으로 캔버스 안에 밑그림 없이 진행된다. 최소한의 구성도 없이 화면 안에서 아무 곳에서나 시작되는 그리기 과정을 ‘캔버스와의 면담’이라고 일컬으며 일단 시작된 그림은 시시때때로 기억에서 변해가는 인상을 담은 나의 다이어리가 된다. 하나의 시점으로 보이는 공간이 아니라, 다(多)시점으로 보이는 공간들은 내가 그 공간에서 느꼈던 감정들과 현재 심리상태가 뒤섞인 상태를 그대로 보여준다. 기억 속의 대상을 고정된 이미지로 표현하지 않고, 추상적인 형태로 변형시켜 새로운 시점을 확보한 정서적 상태로서의 풍경으로 재구성하려 한다. 평면 안 풍경들은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는 삭제되고, 구체적 대상이 지워진 공간은 현실에는 없는 곳이다. 따라서 내가 만들어낸 공간은 재현에서 멀어짐으로 이질적인 광경처럼 보이려고 한다. 결국에는 본래의 형태를 잃어가는 과정으로 작업을 한다.
Green foggy_193.9x521.2cm, 0.9x31.9cm_캔버스에 유채_2020
1. 특정 풍경을 포착-> 감각한 풍경을 기초로 평면 안에 그리기 -> Nowhere공간으로 변환하기까지의 과정에 집중한다.
2. 최근에 흥미로운 지점은 기억(경험)과 시간에 대한 관계이다. 기억은 시간과 비례하여 불안정하고 왜곡될 수 있고, 어떤 대상의 이미지는 희미해지며, 어떤 이미지는 더 또렷해진다. 현장에서 돌아온 시간이 길어질수록 어떤 부분은 점차 추상성을 띠며, 어떤 형상은 더 강렬해지는 지점에 집중하여, 기억의 왜곡 또는 형상들의 변형되는 과정을 연구한다.
3. 평면 안의 다양한 시간들을 설정하려 한다. 내 작업을 마주한 관람자들은 현실의 시간 속에서 내가 만든 가상의 다양한 시간들 속을 떠다니게 하려 한다.
4. 시각적 경험을 넘어 공감각적 경험을 캔버스 안에서 구현하려 한다. 정지된 이미지(사진)뿐만 아니라, 수집한 사운드 및 영상을 기반으로 새로운 공간을 재구성하고 있다. 시간이 지난 후 흐릿해진 기억의 장소를 떠올리며 작업하던 예전 방식과 다르게, 특정 장소에서 촬영한 영상과 녹음 기록을 사용해 풍경적 요소와 내면 감정의 균형을 맞춰 나가려고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하나의 고정된 시점에 머무르지 않고, 실재공간을 넘어서 다양한 층위의 시공간을 구축하려 하고, 그 공간의 시각적인 차원을 넘어 공기의 온도 등 공감각적인 영역으로 확장하려 한다.
5. 캔버스 안에 추구하는 다-시점을 공간화하려 한다. 단순히 공간 안에 이미지를 보여주는 형식이 아닌 캔버스 자체를 오브제처럼 설치하는 등의 설치방법 및 연출에 대한 고민하고 있다. 내가 본 것이 납작한 캔버스로 옮겨지고, 다시 이미지가 새로운 질량감을 획득하며 누군가의 눈으로 돌아올 때까지의 과정에 대해 다양하게 실험을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새로이 태어나게 되는 회화의 물성에 대해 질문하려고 한다. 더 나아가, 나의 기억의 파편을 현실의 공간 속에서 직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화면 안의 이미지에 대입되는 시간의 흐름을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을 실험하려고 한다.
Red-black Background II_37.9x45.5cm_캔버스에 유채_2020
Yellow Blocking II_130.3x162.2cm_캔버스에 유채_20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