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인갤러리 기획초대전

 

소리를 본다

 

 

 

 

2020. 6. 16(화) ▶ 2020. 6. 30(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령로 50 이화오피스텔 2F | T.064-747-1500

 

www.hyuninngallery.com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긴여행_110x50cm_알루미늄에 혼합재료_2020

 

 

초대의 글

 

그림은 고대에서부터 인류의 여러 문화산물 중 우리에게 가장 마음에 와 닿는 것이지요.

그동안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인류의 심금을 어루만지며 발전해 왔습니다.

동양화, 서양화, 조각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면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이제, 현대미술은 모든 장르를 초월하며 재료와 기법, 형식을 넘어 나름의 개성과 심미안, 철학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최소리 작가는 그 중 가장 독특한 자신의 영역을 구축하고 열정적으로 작품에 매진하고 있는 좋은 작가입니다.

최소리 작가의 작품들은 작품을 직접 눈으로 확인해야 그 진가를 느낄 수 있습니다.

모처럼 현대미술 감상의 행운을 누려보시기를 권면합니다.

 

- 현인갤러리 관장 김형무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움틈(Sprout1)_50x50cm_알루미늄에 혼합재료_2020

 

 

최소리-표면에서 울리는 소리의 물질화

 

소리(音)는 사라지는 것이 그 본질적인 속성이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잠시 머물다 이내 사라지는 것이다. 반면 미술은 일정한 시각적 구현물로 자립하거나 구체적인 물질이 되어 항구적으로 존재한다. 물론 미술작품도 시간의 지배 아래 서서히 소멸되어 가는 운명을 피해갈 수는 없다. 한편 소리가 무형의 것이라면 (물론 소리 역시 가시적 존재로 인지될 수도 있지만) 미술은 유형의 존재(미술 역시 가시성에 저항하는 다양한 흐름이 존재한다)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관계가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다. 20세기 들어와 현대미술은 미술이 오랫동안 가시적 세계의 재현에 저당 잡힌 것을 부정하고자, 그로부터 벗어나고자 비가시적 세계(추상)를 의도적으로 추구했는데 여기서 적극 참조한 장르가 바로 음악의 세계였다. 동시에 심리나 정신, 언어와 개념의 세계 내지는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을 겨냥한 작업도 가능해지는가 하면 미술과 비미술의 경계가 급격히 와해되는 과정을 겪어나갔다. 이처럼 미술이 시각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감각과 관여되어 있다는 사실, 그리고 이른바 ‘망막중심주의’에서 벗어나고자 한 부단한 시도는 현대미술의 중요한 특성중의 하나다.    

 

최소리는 타악기 연주자로 익히 알려진 이다. 그는 오랫동안 밴드 드러머, 타악 연주자로 활동했다. 그러니까 금속성의 드럼이나 가죽으로 이루러진 북의 표면을 두드려 소리를 내는 이다. 이는 대체로 둥근 원형의 공간, 그 화면 전체를 공략해가면서 스틱을 타격하여 원하는 소리를 길어 올리는 일이자 일정한 공간/화면 안에 몸을 실었다 빼내는 것이며 동시에 지속적으로 터치, 신체의 흔적을 남기는 일이다. 그래서 드럼이나 북의 피부에는 일정한 시간동안 타격을 받아 생긴 상흔이 비교적 선명하게 남아있다. 그것은 소리를 낸 후에 남겨진 사후적 결과물에 해당한다. 스틱/신체의 물리적 압력으로 인해 생긴 상처이자 특정 소리를 내기 위해 불가피하게 요구되었던 이 흔적도 일종의 회화적 이미지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최소리는 연주와 병행해서 오랫동안 그림을 그려왔고 근자에는 온전히 작업에만 전념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그 제작방법이 타악 연주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다. 그는 기존의 미술 어법을 익혀서 미술계 내부로 진입 하는 루트를 포기하고 자신이 악기를 다루는 익숙한 방법론을 통해 소리를 ‘보여주는 일’을 시도하고 있다. 스틱을 이용해 회화적 행위로 대체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실 그에게는 미술에 대한 교육이나 정보, 부채의식이 일절 없어 보인다. 오로지 악기를 다루었던 몸의 감각, 익숙한 방법론에 의지해 이를 물질화, 시각화시키고자 할 뿐이다. 그러나 동시에 그가 행위의 결과물로 남겨놓아 ‘작품’으로 제시한 것은 현대미술에서 추상/비재현적 회화에 유사하며 오브제를 다루는 작업이고 신체적 행위/퍼포먼스로 인해 가능한 작업에 다름 아니다. 결국 그의 작업은 색다른 방법론으로 도달한 현대미술의 익숙한 얼굴인 셈이다.

  

한편 나로서는 그것이 그의 연주에 비해 얼마나 더 효과적인지 알 수는 없다. 그가 평생을 다루었던 악기를 통해 원하는 소리를 내는 일보다 과연 스틱과 종이, 금속성의 물질을 통해 모종의 회화적 표면을 연출해내는 일, 그리고 이를 통해 소리를 보여주고자/그려보이고자 하는 일이 얼마나 효과적이고 가능한지 말이다. 그러나 최소리는 이 낯선 길을 극한까지 밀고 나가는 느낌이다. 자신이 악기를 통해 이루었던 것을 평면 안에서 어렵게 구현해보려는 시도!  

결국 최소리에게 음악이나 미술, 문학 등의 장르 구분이나 매체의 차이는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그에게는 그 모든 것이 분리될 수 없기에 이를 하나로 보고 작업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른바 총체적인 예술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을까?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움틈(Sprout2)_50x50cm_알루미늄에 혼합재료_2020

 

 

그림은 눈으로 보는 것이지만 동시에 그로부터 무수한 감각들이 발생하는 것을 경험하게 한다. 그러니 좋은 그림은 눈에 귀를 달아주기도 하고 보는 것을 걷게 해준다. 그러니 최소리의 시도는 일견 자연스러워 보인다. 악기를 다루어 소리를 내다가 이를 아예 그림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에게는 청각에 호소했던 것을 시각으로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는 믿음이 전제되어 있다.

 

그동안 금속(드럼)과 천의 피부(북)에서 다양한 소리를 뽑아낸 최소리는 아예 금속과 천의 표면 그 자체에 다양한 표정, 질감을 적극적으로 시술해놓았다. 그로인해 그 표정과 질감이 실질적인 소리를 대신하게 한다. 자신의 신체와 스틱 및 다양한 도구를 사용해 사각형의 평면 전체를 공략하면서 특정 지점에 타격을 해서 구멍을 내거나 스크래치를 발생시켰다. 악기의 원형 틀을 대신해 사각의 평면 안에서 무수한 소리/타격을 몰고 다니다가 결정적인 물리적 압력을 가해 표면을 내파하거나 주름을 잡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평면은 부조나 입체적 효과로 환생하면서 회화이자 동시에 요철효과로 자글거리는 일종의 조각이 되었다. 이른바 평면과 조각이 동시에 공존하는 피부, 화면이다. 이 주름과 결은 물리적 타격을 받아 생긴 상처이자 동시에 납작하고 편평한 표면에 시선을 집중시키면서 여러 표정을 풍경처럼 형상화하고 이것들이 다양한 음, 소리를 발생(상상하게)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화면은 보는 것이자 듣는 것이고 보여 지는 단서를 매개 삼아 소리를 발생시키게 하려는 것인데 이는 결국 망막을 빌어 청각을 자극하려는 회화에 해당한다.

 

본래 회화가 기생하는 표면은 상상의 공간이자 일루젼(환영)이 작동하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관념이 깨지면서 표면은 그 자체로 물리적인 실체이자 오브제 개념으로 바뀌게 되었고 이로 인해 화면 자체는 행위를 받아내는 장이자 다양한 물질적 실험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되었다. 1940년대 폴록은 바닥에 눕힌 캔버스 천위에 물감을 흘리는가 하면 이후 이브 클라인은 천위로 물감 묻힌 누드를 끌고 다니기도 했고 폰타나는 캔버스에 아예 구멍을 뚫거나 칼로 날카롭게 찢기도 했다. 또한 프레임 바깥으로 천은 확장되기도 했고 주름진 천이 그대로 전시공간의 바닥이나 천장에 개입되는 사례도 있었다. 오래 전의 일이다. 이러한 다양한 제스처는 화면의 일루젼을 부정하는 것이자 그 천이 지닌 오브제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이다. 따라서 화면은 물질 그 자체로서의 물성, 존재감을 극대화하면서 순수한 재료로서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최소리는 종이나 황동, 알루미늄, 구리 등의 재료를 화면으로 삼은 후 그 위에 스틱이나 기타 여러 연장들을 동원해 소리를 연주/이미지를 연출하는데 이는 표면을 두들기고 가격을 해서 상처(?)를 내거나 그 표면을 색채로 덮은 상태로 밀려나온다. 이 다양한 행위로 인해 재료의 피부들은 예민하게 찢어지고 구멍이 나면서 무척이나 다양한 표정을 지니게 된다. 그는 “두드리고 두드려서 소리를 그리고자 한다.”고 말한다. 압력이나 힘을 가하면 본래의 물질은 다른 표정을 짓는다. 물질의 성질이 바뀌지는 않지만 그 물체의 고유성이 다분히 와해되거나 약화되면서 미처 접하지 못한 물질의 또 다른 단면을 불현 듯 노정한다. 최소리는 그러한 물질의 변용을 적극 연출하고 있지만 그 핵심은 결국 ‘소리’의 가시화에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최소리의 작업은 그림을 그렸다기보다는 회화의 존재론적 조건이 되는 일정한 지지대/평면(표면)을 선택한 후 그 피부에 타악기 연주를 하듯 연주 도구(그 외에 다양한 매개들)를 이용해 소리를 내고 있다는 점, 표면에 무수한 굴곡과 주름을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물론 그 소리는 들을 수 있는 소리가 아니라 보이는 소리, 물질로 응고된 소리이자 상상을 통해 공명되는 그런 소리의 시각화다. 그리고 그 소리는 소리를 연상시키는 사후적 장면으로, 시각적으로 마감되어 화면 안에 담겨있다. 따라서 최소리의 화면은 분명 회화가 되어 존재한다. 색이 입혀지고 붓질이 지나가고 다채로운 질감과 물성의 맛이 우선적으로 자리하고 있는가 하면 빛에 의해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표면은 무수한 굴곡, 주름, 협곡을 만들어낸다. 최소리의 화면은 결코 단일하지 않다. 그것은 타격의 횟수, 시간, 신체적 힘의 강도에 따라 무수한 변화와 깊이를 지닌 표면이다. 따라서 이 얇은 단면의 피부 자체로도 소리는 생성된다.  물론 이 화면이 소리를 저장하고 있거나 특정 소리를 담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최소리 본인은 분명 그러한 소리를 만들어내고 이를 듣는 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자신의 경험을 우리에게 보여주고자 이 같은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우리의 갇힌 감각을 풀어헤치는 일이자 굳은 신경과 한정된 몸의 감각을 마냥 확장시키는 일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예술의 진정한 힘이기도 하다. 여기에 음악과 미술, 소리와 이미지가 곤죽이 되어 모종의 상태를 이룬 최소리의 화면이 지닌 의미가 자리하고 있다.

 

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가)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움틈(Sprout4)_50x110cm_알루미늄에 혼합재료_2020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와 에너지에는 각기 그들만의 소리가 있다.

나는 그 소리를 여러분께 전달하는 메신저이고 싶다.

그 소리에 나는 미쳐 있다.”

-----------------------------------------------------------------------------------------------------------------

나의 작품은

연주를 하며 춤을 추고

흥얼흥얼 노래를 부르며

신명으로

삼매에 들어

또 다른 나와

합작으로 완성해간다.

-----------------------------------------------------------------------------------------------------------------

연주와 춤, 노래, , 그림.

이 모든 행위는 나에겐 똑같은 하나이다.

그 하나가 되어

때로는 그림으로

때로는 음악으로 완성한다.

나의 모든 예술 행위는

이 모든 것이 하나가 되어 나오는 것이다.

음악과 미술을 따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는 것이다.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50x50cm_알루미늄에 혼합재료_2020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별그림자4_50x50cm_알루미늄에 혼합재료_2020

 

 

 

소리를본다(Seeing Sound)_별그림자1_112x112cm_알루미늄에혼합재료_2020

 

 

 

소리를본다(Seeing Sound)_Wave1_112x112cm_알루미늄_2020

 

 

 

 

 
 

최소리 | Choi sori

 

2020 5.1~30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Dark side of, 초대개인전, 사천 우주미술관 | 2020 2. 12~16 독일 칼스루에 아트페어 with Art Park gallery, 독일 | 2020 1.13~2.23 소리를 본다(Seeing Sound) 초대개인전, 포항문화예술회관 | 2019 12. 21~25 서울아트쇼_블루갤러리, 코엑스 | 2019 12. 1~31 YTN 아트스퀘어 초대전, YTN 상암 | 2019 10&11. 아트樂페스티벌, 스타필드 고양 | 2019 KIAF Art Seoul with Yang Gallery, 코엑스 | 2019 9. 20~10.20, 소리를 본다(Seeing Sound) 초대개인전, 횡성문화예술회관 | 2019 8. 1~12, 예술로써 세계인과 함께하기, 토포하우스 | 2019 6. 7~14 프론티어 프로젝트 2019展, 에코락갤러리x월간 미술세계, 갤러리미술세계 | 2019 4.26~29 2019 BAMA 부산 국제 화랑아트페어, BEXCO | 2019 4.17~22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打法, 두드림으로 그린 소리, 토포하우스 | 2019 3.19~26 “예술 또 다른 나를 만나다”, 금보성아트센터 | 2019 2.28~3.9 “3.1운동 100년!” 국제 초대전, 인사동 인사마루갤러리 | 2018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두드림으로 그린 소리, 익산 예술의 전당 | 2018 DMZ 아트&디자인 국제 초대전, 통일전망대 기획전시실 | 2018 동북아 문화재단 그룹전, 인사아트프라자 | 2018 소리를 본다(Seeing Sound) 초대개인전, 사천 리미술관 | 2018 소리를 본다(Seeing Sound)_두드림으로 그린 소리, 안동문화 예술의 전당 | 2018 소리를 본다(Seeing Sound) 초대개인전, 갤러리마레, 부산 |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성공기원 평창아트페스티벌(PO ARFE), 원주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개최기원 한/일/중 동방채묵 영월산수 남북미술전, 영월 | 2018 소리를 본다(Seeing Sound) 초대개인전, 잇다스페이스 | 2017 소리를 본다(Seeing Sound) 초대개인전, 금보성아트센터 | 2007 소리를 본다展, 초대개인전, 토포하우스

 

공연 연출 및 총감독 | ASIAN 최소리-소리를 본다(Seeing Sound) | 최소리와 자유인 콘서트 벽(癖) | 아리랑파티(Arirang Party) | 더 탈(The Tal) | 월드컵, 아시안게임, 올림픽게임 - 카타르, 광저우, 벤쿠버, 도하 등 | 세계 태권도 문화엑스포 | 문화체육관광부 지원 월드투어공연(The TAL) - 유럽(프랑스,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 아시아(일본, 중국, 몽골 등), 미주(미국, 캐나다),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 등 50여개국 200여개 이상 도시공연 | 대통령 취임식 | 세계태권도대회

 

음악감독 | 영화 '형제' | 드라마 '장길산'

 

E-mail | imsorida@naver.com

homepage | www.choisori.com

facebook | https://web.facebook.com/choisori4004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00616-최소리 초대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