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6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귀국전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展
아르코미술관
2019. 3. 27(수) ▶ 2019. 5. 26(일)
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3 | T.02-760-4850
https://www.arko.or.kr
아르코미술관에서 선보이는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은 2018년 제16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에서 선보인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전의 귀국전시로, 한국의 현대 건축과 국가의 복잡한 관계에 대해 질문한다. 서울의 도시 구조를 비롯해 여러 제도와 체제의 가까운 기원이 되는 1960 년대 말은 국가의 계획 이데올로기가 건축가의 비전이 뒤엉켜 있던 시대였다. 억압적인 발전 국가는 역설적으로 유토피아적 이상을 꿈꾼 건축가들이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했다. 이번 전시는“국가”와 “아방가르드”라는 형용 모순적인 단어의 병치를 통해 권력과 상상력 사이의 교차점, 정치체제와 유토피아적 이상이 빚어낸 모순적인 결과를 드러내기 위해 한국관은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이하 기공)에 주목한다. 1965 년 설립된 국영 건축 토목 기술 회사인 기공은 항만, 수도, 교량 같은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세운상가, 박람회 파빌리온 등의 건축물에 이르는 국가 주도 개발프로젝트를 담당했다. 뿐만 아니라 김수근, 윤승중, 김석철, 김원, 유걸, 김원석, 전상백, 기흥성 등 이후 한국 건축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이들이 모두 거쳐 간 기공은 당대 최고의 용역 설계회사였다. 동시대 서구의 급진적 건축 실험과 유사하게 몽상적이기도 했고, 개발 계획에 맞추어 대단히 현실적이기도 한 이들의 작업은 서울의 하부 구조이자 한국 도시 계획의 원형이 되었다. 초기 도시화와 산업화를 주도했고 여러 건축가와 엔지니어들을 배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기공의 역사와 활동에 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채 기억의 파편으로 남아 있다. 이 쓰이지 않은 역사, 기록되지 못한 기억에서 전시는 출발했다.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은 어긋난 시간의 중첩을 무대화했다. 체계적으로 수집되고 분류되지 못한 과거를 소환하는 동시에 이제는 잘 묻지 않는 미래를 흐릿하게나마 그려보려 했다. 충실한 아카이브가 부재하는 가운데 한국 현대 건축의 신화적 기원과 파우스트의 거래 사이를 오가는 기공의 작업을 이 전시는 유령 또는 귀신으로 호명했다. 유령은 현재에 영향을 미치지만 포착되지 않는 과거, 불현듯 출몰하지만 실체가 명확치 않은 존재를 지칭한다. 유령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서, 그리고 동양의 유교적 전통에서 유령의 존재를 호출하는 것은 과거에 대한 현재의 책임을 묻는 일이다. 이를 위해 한국관은 1960 년대 기공의 프로젝트에 내재해 있는 모순과 역설에 주목했고, 이를 오늘의 문제를 대면하기 위한 거울로 삼았다.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정체성을 물었던 엑스포 70 한국관은 더 이상 단일 민족국가를 유지할 수 없는 한국에서 국가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묻는 기회를 제공한다. 유토피아적 이상도시와 군사 퍼레이드를 위한 극장 사이를 오간 여의도에서는 근대화 과정에서 사라진 공공 공간의 가능성을 되묻는다. 입체 슬럼과 젠트리피케이션을 막는 방파제, 재생의 본보기를 거쳐, 다시 을지로 재개발의 한가운데 서 있는 세운상가는 도심 내 재생과 재개발의 방법을 묻는 시험대이다. 그리고 박람회 가설 구조물이 사라진 곳에 들어선 공단과 벌집촌, 다시 테크노밸리로 탈바꿈한 구로에서는 한국 자본주의를 가장 낮은 곳에서 지탱해온 이주노동자들의 궤적을 추적한다. 2018년 한국관은 이를 통해 획득한 파편적인 단서를 단순히 기록하거나 회고적으로 상찬하는 대신, 문제의 기원을 경유해 내일을 모색하기 위한 근거로 삼고자 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