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보성 展

 

한글 展

 

 

 

잇다스페이스

 

2018. 12. 15(토) ▶ 2018. 12. 30(일)

인천 중구 참외전로 172-41

 

 

 

 

한글 50회 개인전을 잇다에서 하는 소견

2015년 4월 19일 문화 주주 선포 날이다.

목가구 정희석 작가의 초대로 내려 간 동인천 싸리재 가구 골목 초입의 풍경은 빛바랜 소도시 같았다. 숲을 살며시 들추듯 골목 안쪽 구부정 쓰러질 듯 허약해 보이는 건물은 전자 제품 빈 박스처럼 소심해 보였다. 건물의 이력을 듣는데 내가 보기엔 낡고 수리가 안 된 고장 난 시계처럼 세월이 멈춘 무덤 같았다. 전등 없어도 햇살이 들어 온 곳을 올려다보니 양철 지붕이 구멍 난 바지처럼 삭아서 햇살이 쏟아져 내리기도 하였고 오늘은 폭포처럼 건물 중앙으로 비가 내렸다. 툭 치면 주저앉아 버릴 건물을 세 얻은 용감한 정희석 작가와 인연은 금보성아트센터 개관전 초대를 하였던 이전부터 인사를 나누었다.

“제가 도시로 도망치지 않고 인천 싸리재로 온 것은 문화와 예술이라는 경계에서 지켜보는 이론적인 삶이 아닌 행동으로 옮기는 일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누군가 뿌리 내리고 정착하면 분명 하나 둘 찾아오는 생활 속의 문화 도시가 될 것 입니다”

가까운 동인천 배다리와 싸리재라는 이름이 아직 낯설지만 문화와 관광의 보물창고라고 확신하는 정작가의 말에 문화 오감을 자극시켰다. 서울 인사동 성수동과 문래 창작촌 그리고 창원시의 창동 예술 촌에서 느끼지 못한 싸리재를 직접 가서 보니 문화벨트가 그려졌다. 다만 의욕과는 달리 집을 짓는 것 이상의 구조 변경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울 거 같아 걱정 됐다. 그 후 저는 싸리재 문화주주 운동을 SNS에 알리기 시작했다. “동인천 싸리재 건물 시설비용에 힘을 실어 주고자 SNS 통해 ‘싸리재 문화주주운동’은 정말 기적같이 많은 분들이 기부 해주시고 동참 해주셨다.

 

 

 

 

동인천 싸리재 잇다스페이스는 전국의 예술가들이 자발적으로 지원해 만든 공간이다. 싸리재에 다양한 문화공간이 자리 잡길 소망하는 마음이 컸다. 국내 화랑과 미술대학의 대안공간, 레지던시, 창작촌 등의 환경이 조성돼 동인천 싸리재가 문화 끝자락이 아닌 시작점이 되길 기대했다.

인천 중구 잇다 스페이스는 문화주주들이 이룬 결과이다.

목가구 정희석 작가가 피폐하고 버려진 곳에 돌과 자갈을 걷어 내고 굳은 땅을 개간하여 문화 옥토를 만들자 일본 호주 전국의 지자체 등 도시재생. 환경 관련 단체에서 몰려왔다. 기대이상으로 해냈다. 그래서 저는 정희석씨를 문화용병 또는 문화농부라고 한다. 처음 보시는 분들은 더 걷어내고 뜯어내고 칠해야 한다고 하지만 여기까지 입니다.

첫 개관 전에 정기호.김종원.황문성.김기로.김석영.이은호.남궁원.고영우.이지숙.양수균.도문희.이목일.박양진.조영선.박재동.김두환.장창익.이승철.홍차.정순구.정철용 .이성원.김종우.금보성.정희석.

그 후 3년 8개월이 지나는 동안 잇다스페이스는 전시. 공연. 강연. 세미나. 다양한 문화컬쳐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으로 뿌리내렸다.

지역을 변하게 하는 전초기지가 되었고 문화를 갈망하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문화용병이 문화농부로서 성실하게 살아 온 정희석을 만나러 간다.

2018년 12월 15일 토요일 6시

 

 

 

 

한국의 오팔카 ,문자 리얼리스트- 금보성

금보성 작품의 출발은 문자, 즉 한글이다. 그 한글을 모티브로 예술작품으로 만들고자 한 것이 금보성작가의 조형세계로서의 콘셉트 즉 문자예술이다. 그를 부르는 또 다른 별명 ‘한글 작가’라는 수식어가 이를 가장 잘 상징적으로 말해준다. 자음과 모음으로 만들어진 문자에는 기본적으로 기하학적 형태가 존재하고 있어 그의 작품은 본래부터 몬드리안 같은 도형적인 인상은 불가역적이다.
그렇게 시작하여 출발한 50여회 가까운 작품전에서 그의 작품이 기하학적 혹은 구성주의 회화 작가들과 확실한 변별성을 주는 이유는 바로 그 문자의 언어, 텍스트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시각적인 이미지의 형태로 볼 때 일견 그의 작품은 형태를 중시하는 구성주의 회화의 현대미술 맥락에 서있어 보인다.

신조형주의자들이 조화와 질서가 담긴 새로운 이상을 표현할 방법을 찾은 것처럼 금보성은 문자로 어떻게 높은 회화성과 예술성을 가질 언어가 가능한가를 오랫동안 그의 예술에 절대적 이상향으로 설정했다. 색면과 조형주의자들은 형태와 색상의 본질적 요소로 단순화 되는 순수한 추상성과 보편성을 지지하며 수직과 수평, 시각적인 구성을 단순화 하는데 할애했다. 이러한 조형적 의도는 자연적인 형태와 색상을 무시 했고 반면 형태와 색상의 추상화로 원색을 통해 고유한 표현을 찾아야만 했다.

금보성 작품에도 이러한 요소가 부분적으로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는 철저하게 문자의 형상을 바탕으로 회화에 응용하고 있다. 그러나 신조형주의 작가들이 원색과 무채색, 정사각형과 직사각형 등 수직, 수평인 직선으로 요약 했던 것에 비해 금보성의 조형적 스타일은 대칭과 비대칭을 자연스러우며 복합적으로 구성하거나 결합한다.

직선과 정사각형등 기하학의 기초적인 바탕 위에서 형태의 배열을 문자에 기초하면서 조화롭게 구성주의 어울림을 충실하게 보여주는 형식이다. 그래서 금보성의 회화는 일정한 법칙성 안에서 질서를 가지며, 기하학적 조형미에 안정적으로 도달 해 있다. 특히 조형성에서는 큐비즘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은 말레비치처럼 순수한 형태에 의한 화면구성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시각적인 질서의 배치로 문자의 생김새와 색채로 그 도상(Icon)의 하모니를 조화롭게 연출한다.

우리가 그에게 주목하는 것은 예술가로서 어떻게 문자가 예술이 혹은 그림이 될 수 있겠는가에 대한 물음일 것인데 이제 그 물음에 매우 구체적이고 명확한 형식을 입체로 제시한다. 평면에 그치지 않고 입체적인 조형작업을 치열하게 해온 그가 아름다운 한글로 시각적이며 고요한 조형언어로 가치를 확보하고 있다. 특히 작가는 평면이라는 캔버스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장르를 넘나들며 6미터가 넘는 최근의 컬러풀한 테트라포트 입체작업에서 그 평가는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발표한 입체 작업 <방파제>의 모티브가 바로 한글의 그 문자 형태에서 뛰어 나왔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그가 수시로 자신의 예술철학과 이념을 인터뷰에서 명백하게 밝힌 의지에 연속이라는 점이다. “문자에 그치지 않고 입체에서도 그 심장 소리를 들려주겠다”는 작가의 그 변함없는 인간적인 소신은 참 아름답기까지 하다. 마치 절대적인 명제처럼 자음과 모음의 이야기를 넘어 예술작품으로 최고의 예술적 가치를 보여 주겠다는 예술가로서 평생의 화두가 아닌가?

회화에서 구성주의는 오직 물질의 세계와 대결하여 '현실의 사물을 현실의 공간에' 두고자 하는 것이 구성주의자들의 모토인데, 금보성은 문자의 공간에 현실을 그리고 승화된 문자의 감동을 따뜻한 사람들의 심장에 들려주겠다는 경의로운 예술가다운 멋진 발상이다. 이러한 예술의 궁극적 의지에서도 그의 작품은 그와 표현의 맥락을 흐름을 같이하는 작가와도 구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예를들면 평면에서 입체로 세잔느의 이후의 공간 탐험을 지켜온 김재관 작가나 색은 커뮤니케이션이고 기운이며 메시지라고 주장하는 김봉태의 색면과 입체와도 그 궤도를 달리한다. 다만 이들과는 일탈이나 초월이 아니라 서로 다른 별에서 출발하여 예술이란 우주에서 만나 동행하는 또 다른 별로 항해하는 같은 유형의 우주인들이라는 점이다.

명백하게 금보성의 작업은 한글이 단순한 도형으로 이루어진 상형문자를 넘어 구체적인 휴매니스트로서의 조형언어가 된다는 점이다. 이것을 인정한다면 '절대주의란 비구상적 제작에 의한 새로운 리얼리즘이다'라고 한 것처럼, 금보성 작가는 세계 3대 발명품 한글을 문자로 예술화 시킨 금보성은 로만 오팔카처럼 자신의 회화에 개념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지속적인 실험과 초월적인 작업을 통해 장르와 재료를 초월하며 한글 텍스트와 한글의 정신을 작업으로 추출해 내는 최초의 <문자 리얼리스트> 일 것이다.


김종근 (미술평론가)

 

 

 

 

 

 

 

 

 

 

 

 

 

 

 
 

■ 금보성 | kim bo seong | 金宝星

개신대학원대학교(철학.신학) | 금보성아트센터 관장

주요 개인전(50회) | 1985한글展. 동원 갤러리, 인사동, 서울 | 1989한글展. 동원 갤러리, 인사동, 서울 | 2000한글展. 포아트, 성남, 경기도 | 2001한글展. 동원 갤러리, 인사동, 서울 | 2002한글展. RO갤러리, 논현동, 서울 | 2004한글展. 포아트, 성남, 경기도 | 2005한글展. 니브박갤러리, 성남, 경기도, 3회 | 2006한글展. 관훈 갤러리, 인사동, 서울 | 2007한글展. 학고재, 인사동, 서울 | 2008한글展. 디사모빌리, 역삼동, 서울 | 2008한글展. 한미리, 역삼동, 광화문, 2회 | 2009한글展. 해금강 박물관, 거제 | 2009한글展. 선화미술관, 대전 | 2009한글展. 예술의 전당, 대전 | 2009한글展. 아폴로갤러리, 평창동, 서울, 2회 | 2010그릇展. 라마다프라자 호텔, 제주 | 2010한글展. 성남아트센터, 성남, 2회 | 2011한글展. 송은 갤러리, 남원 | 2011한글展. 목아박물관, 여주 | 2011한글展. 북촌갤러리, 여수 | 2011한글展. 거제해금강테마박물관, 거제, 3회 | 2012한글展. 충무아트홀, 서울 | 2012한글展. 갤러리 평창동(그로리치), 서울, 3회 | 2013한글展. 리서울갤러리, 서울 | 2013한글展. 국회의사당.여의도, 서울 | 2014한글展. 금보성아트센터(김흥수미술관), 서울 | 2014한글展. 진주100주년 기념관, 진주 | 2015한글展. 금보성아트센터.평창동, 서울 | 2015한글展. 계룡대, 대전, 3회 | 2016한글展. 화인갤러리.여수미술관, 여수 | 2016한글展. 교보문고, 광화문, 서울 | 2017한글展. 딜라이트 스퀘어, 합정.서울 | 2017한글展. 테트라포트展, 영일대해수욕장,-호미곶 , 포항.경상북도 | 2018한글展. 테트라포트展, 호미곶 , 포항.경상북도 | 2018한글展. 한글과 자두展, 금보성아트센터, 서울 | 2018한글展. 하늘을 나는 방파제展, 서서울호수공원. 서울문화재단, 서울 | 2018한글展. 금보성아트센터, 서울 | 2018 한글展. 잇다스페이스, 인천

2018 대표 그룹전시 | 2018 명동국제아트페스티벌, 서울.명동 | 2018 포항문화재단,포항.경상북도 | 2018 영등포 롯데백화점, 서울 | 2018 100aibums100artists, 에비뉴엘 아트홀,서울,한국 | 2018 기억의 상상展, 양평군립미술관,양평.경기도 | 2018 신소장품展, 교동미술관,전주,전라북도 | 2018 신작중심展, 금보성아트센터,서울.한국 | 2018 청주공예비엔날레.청주 | 2018 포항문화재단,포항.경상북도 | 2018 하남국제페스티벌, 하남문화예술회관.하남 | 2018 상해아트페어

테트라포트(방파제) 전시 | 횡성웰리힐리CC, 강원도 , 횡성 | 여수바다미술제, 여수, 웅천공원 | 바다의 날 , 여수바다 | 여수국제요트대회, 여수바다 | 청주공예비엔날레, 청주 | 영일대해수욕장, 포항문화재단, 포항 | 입주작가 레지던시, 금보성아트센터, 서울 | 다카르비엔날레, 아프리카.세네갈 | 국제사진축제, 우크라이나 | 포토닷, 담빛예술창고, 담양 | 호미곶, 포항.경상북도 | 하남국제페스티벌, 하남문화예술회관.하남 | 서서울호수공원 , 서울문화재단, 서울 | 그라운드 뮤지엄, 용인

시집 7권 상재



Kim Bo Seong

Education | Reformed Graduate University

Main Solo Exhibitions - 50 times | 1985 Hangul Solo Exhibition, Dongwon Gallery, Insadong, Seoul | 1989 Hangul Solo Exhibition, Dongwon Gallery, Insadong, Seoul | 2000 Hangul Solo Exhibition, 4ART Gallery, Seongnam, Gyeonggi | 2001 Hangul Solo Exhibition, Dongwon Gallery, Insadong, Seoul | 2002 Hangul Solo Exhibition, RO Gallery, Nonhyeondong, Seoul | 2004 Hangul Solo Exhibition, 4ART Gallery, Seongnam, Gyeonggi | 2005 Exhibition, Nivbak Gallery, Seongnam, Gyeonggi | 2006 Hangul Solo Exhibition, Kwanhoon Gallery, Insadong, Seoul | 2007 Hangul Solo Exhibition, Hakgojae Gallery, Insadong, Seoul | 2008 Hangul Solo Exhibition, Disamobili, Yeoksam-dong, Seoul | 2008 Exhibition, Hanmiri, Yeoksam-dong and Gwanghwamun, Seoul | 2009 Hangul Solo Exhibition, Haegeumgang Theme Museum, Geoje | 2009 Hangul Solo Exhibition, Sunhwa Art Museum, Daejeon | 2009 Hangul Solo Exhibition, Daejeon Arts Center, Daejeon | 2009 Hangul Solo Exhibition, Apollo Gallery, Pyeongchang-dong, Seoul | 2010 Pottery Exhibition, Ramada Plaza Hotel, Jeju | 2010 Hangul Solo Exhibition, Seongnam Arts Center, Seongnam, Gyeonggi | 2011 Hangul Solo Exhibition, Songeun Gallery, Namwon | 2011 Hangul Solo Exhibition, Mok-A Museum, Yeoju | 2011 Hangul Solo Exhibition, Bukchon Gallery, Yeosu | 2011 Hangul Solo Exhibition, Haegeumgang Theme Museum, Geoje | 2012 Hangul Solo Exhibition, Chungmu Art Center, Seoul | 2012 Hangul Solo Exhibition, Gallery Pyeongchangdong, Seoul | 2013 Hangul Solo Exhibition, Leeseoul Gallery, Seoul | 2013 Hangul Solo Exhibition, National Assembly, Seoul | 2014 Hangul Solo Exhibition, Kim Bo Seong Art Center, Seoul | 2014 Hangul Solo Exhibition, Jinju Centennial Memorial Hall, Jinju | 2015 Hangul Solo Exhibition, Kim Bo Seong Art Center, Seoul | 2015 Hangul Solo Exhibition, Gyeryongdae, Daejeon - three times exhibited | 2016 Hangul Solo Exhibition, Hwain Gallery, Yeosu Art Museum, Yeosu | 2016 Hangul Solo Exhibition, Kyobo Book Centre, Gwanghwamun, Seoul | 2017 Hangul Solo Exhibition, Delight Square, Hapjeong, Seoul | 2017 Exhibition, Tetrapod Exhibition, Youngildae, Homigot, Pohang, Gyeongsangbuk-do | 2018 Hangul Solo Exhibition, Tetrapod Exhibition, Homigot, Pohang, Gyeongsangbuk-do | 2018 Hangul Solo Exhibition, ‘Hangul and Plum’, Kim Bo Seong Art Center, Seoul | 2018 West Seoul Lake Park,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FAC, Seoul | 2018 Hangul Solo Exhibition. ‘Hangul and Couple’, Kim Bo Seong Art Center, Seoul | 2018 Hangul Solo Exhibition, itta space Gallery, inchan

Group Exhibitions - Listed representing in 2018 | 2018 Myeongdong International Art Festival, Seoul | 2018 Pohang Art Center, Pohang, Gyeong Gyeongsangbuk-do | 2018 Group Exhibition Lotte Department Store Yeongdeungpo, Seoul | 2018 100 Albums 100Artists, Avenuel Art Hall, Seoul | 2018 ‘Imagination of Memory’, Yangpyeong Museum of Art, Yangpyeong, Gyeonggi | 2018 'New Collection', Kyodong Museum of Art, Jeonju, Jeollabuk-do | 2018 ‘New Work Centered Exhibition’, Kim Bo Seong Art Center, Seoul, Korea | 2018 Pohang Culture Foundation, Pohang, Gyeongsangbuk-do | 2018 Hanam International Festival , Hanam Culture and Arts Center.

Exhibition for Installation Art | Hoengseong Wellihilli ParkCC, Hoengseong, Gangwon-do | Yeosu Sea Art Festival, Ungcheon Park, Yeosu | Day of Sea, Yeosu Sea | Yeosu International Yachting Competition, Yeosu Sea | Cheongju Craft Biennale, Cheongju | Yeongil Beach, Pohang Culture Foundation, Pohang. | Residency Artist, Kim Bo Seong Art Center, Seoul | Dakar Biennale, Senegal, Africa |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Ukraine | Photo Dot, Dambit Arts Warehouse, Damyang | Homigot, Pohang, Gyeongsangbuk-do | Hanam International Festival, Hanam Arts Center. | West Seoul Lake Park, Seoul,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FAC, Seoul

Publication | Published 7 books of poetry.

Awards | 1985 Publication of Poetry Books - 7 volumes | 1995 Poetry Artist of the Year 2008 | 2009 Elected ‘Person of the Year’ | 2011 German Critics Awards | 2012 France International Exhibition, Silver Prize | 2012 San Francisco International, Gold Prize | 2013 Korea Contemporary Art Prize, Minister Prize | 2013 Korean Culture and Art Prize, CEO & Journal | 2013 Customer Impression Brand Prize, Sports Dong-A | 2014 Korea Leading Innovative Leader, News Maker | 2014 Korean People Grand Prix | 2015 The Korean Museum Association (KMA), Advisory Committee | 2015 Cheongju International Art Fair, Cheongju Craft Biennale, Special Prize | 2015 Innovative Korean & Power Korea Grand Prize, Sports Seoul | 2015 Completion of CEO Course in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 2016 Korean Parliamentary Grand Prize & Korea Power Leader Award , Yonhap Daily | 2018 Cheongju International Art Fair & Cheongju Craft Biennale, Special Prize | 2018 Received the Alumni Award for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Present | Member of Korea Art Association | Representative of Korean Artist Award | Jikji Korea International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 SNS Art Fair Chairman |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Foundation | Yeosu Museum, Deputy Director | Kim Bo Seong Art Center Director

E-mail | kimboseong66@naver.com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vol.20181215-금보성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