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일섭 사진심리상담展

 

" 거울의 파편 "

 

 

 

사진위주 류가헌

 

2018. 6. 5(화) ▶ 2018. 6. 17(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106 | T.02-720-2010

 

www.ryugaheon.com

 

 

 

 

사진은 언어다?

사진은 나의 상태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그날 바람이 불었다. 햇살과 웃음으로 가득한 순간이었다. 사랑하는 딸과 존경하는 스승을 잃었다. 쏟아지는 피에 젖은 나와 한없이 눈물을 흘리는 아내는 뿔뿔이 흩어졌다. 산자와 죽은 자 모두는 병원으로 이송 되었다. 우리는 기약 없고, 깊이가 없는 어둠으로 떨어졌다. 한 명의 가족도 없는 곳에서 죽은 채로 살아야했다. 어떻게 해가 뜨고 지는지 모른 채 숨이 붙어있었다. 그러는 동안에도 아내와 내가 속한 세상은 멀쩡하게 흐르고 있었다. 세상엔 아무 상처도 없는 듯이 매일 맑은 햇살이 비추고 있었다.
바람이 불던 그 해는 우리 부부에겐 인생의 가장 황금기였다. 사진가로서의 성장도 진행되고 있었고, 무엇보다 중요하고 큰 것은 우리의 첫 아이가 태어났기 때문이었다. 누군가 행복에 대해 묻는다면 우리부부의 얼굴을 보고만 있어도 대답이 될 만한 시기였다. 갓 태어난 아기를 보며 매순간 존재의 신비와 위대함, 고마움을 느끼며 지냈다. 나의 삶에 중요한 질문을 던지던 스승과도 거의 매일 만나며 지내던 시기였다. 이때 바람이 불었다. 누구의 동의도 없이, 조짐도 없이.
바람이 지나간 후, 몸은 다 망가졌다. 정신이 나갔다. 매일 매일 울부짖었고 소리쳤다. 우리 인생의 황금기를 맞은 타국은 지옥으로 변해있었다. 짐승처럼 자고 벌레처럼 숨죽였다. 우리는 외부세계로부터 없는 존재가 되어가고 있었다. 끝없는 어둠의 시작이었다. 이 시기에 좋은 벗들과 스승들의 도움으로 한줄기 빛을 만났다. 이 사건으로 새롭게 보는 작업을 시작 하게 되었다. 다시 사진을 하며 조금씩 회복하게 되었고, 완전하지 않은 상태로 우린 한국으로 돌아왔다. 두 번째 아이가 태어났다. 귀국 후 4년 동안 외부활동은 거의 하지 않았다. 지금은 우리의 삶과 나의 삶, 잔인하고 아름다운 질서를 보는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이 내게 어떻게 작용하고 어떤 상태에 이르게 하는지도 보게 되었다. ‘나의 사진’에 대해 다시 정리하는 기간을 거쳐, 성취나 성과보다 치유의 기능을 하는 사진으로 방향을 전환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아동후원과 기부, 사진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여행과치유’를 만들었다. 사진이 타인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후, 한국사진치료학회가 설립되었고 함께 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살이를 정리하고 제주도로 이사했다. 아동후원과 기부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사진은 그의 언어’라는 믿음으로 타인의 사진을 읽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내게 사진은 셔터를 누르기 전, 누르는 순간, 그 이후의 시간이다. 이것은 사진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사진은 언제부터 사진인가. 카메라가 필요한가. 셔터를 누르면 종결되는 것인가 에 대한 나의 정의이다. 이번 전시는 셔터를 누르기 전의 상태, 셔터를 누르는 자와 대상과의 교감, 셔터를 누른 회복 불능의 시간과 이후에 관한 이야기다.
사진에는 과거가 없고, 미래가 없으며, 오직 지금이다. 또한 감정이 없다. 이는 존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래서 사진은 거울처럼 자신의 상태를 나타낸다. 깨진 거울은 여러 개의 이미지를 만들고 더러운 거울은 지금을 왜곡시킨다. 사진을 찍는 것은 자신의 거울을 보는 행위다. 그러니 사진에는 자신의 상태가 드러나기 마련이다. 거울의 존재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누군가에게 자신의 거울을 보여주거나 들키고 싶은 마음이 생기기도 한다.
사진이 언어라면 말하는 사람만 있어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니 누군가는 들어주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그의 사진을 읽어주고 그의 내면을 들어주는 역할을 잘 할 수 있다면 얼마나 귀한 경험일까 싶다.
2017년 15명을 대상으로 사진심리상담을 진행했다.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했다. 인터뷰이들에겐 상담이나 내담자, 상담사 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작했고 이어갔으며, 감정의 진행상황을 보며 셔터를 눌렀다. 모든 사람은 자신이 겪어온 파도와 바람에 대해 진솔한 사연을 들려주었다. 우린 서로 파도와 바람을 맞으며 살아왔고 살아가야하는 삶에 대해 깊이 교감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순간을 사진으로 남겼다.
나는 이러한 경험을 통해 사진이 언어라는 것을 다시 명확하게 실감하게 되었다.
그가 찍은 산과 바다, 돌과 나무, 타인과 가족, 사물과 흔적은 모두 그의 언어다. 우리는 여러 종류의 언어를 사용하며 하나의 사회를 구성하며 산다. 서로 다른 언어는 서로를 외롭게 한다. 더 정확하게는 서로의 언어를 읽고 들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진을 읽은 다는 것은 타인의 내면에 관심을 두는 아름다운 행동이다. 원치 않게 거울이 파편이 되는 경험을 하더라도 나는 저마다 거울을 발견하길 바란다. 풍요로운 여정을 만들어 가길 희망한다. 사진이 존재의 성장을 돕는 언어의 도구로 사용하길 마음 깊이 희망한다.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vol.20180605-이일섭 사진심리상담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