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지안 展

HUR JIAN

 

' 세상의 빛 Lux Mundi '

 

 

 

봉산문화회관

Bongsan Cultural Center

 

2017. 11. 15(수) ▶ 2017. 11. 19(일)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77 (봉산동) | T.053-661-3500

 

www.bongsanart.org

 

 

untitled_53.0x65.1cm_Acrylic on Canvas_2016

 

 

자연과 정신에 편재하는 빛

 

이선영(미술평론가)

 

허지안의 작품에서 추상적인 구조들은 창들을 연상시킨다. 그것들은 그림이라는 창속의 또 다른 창들이다. 그것들은 때로 십자가 모양으로 배열하기도 한다. 이번 전시 ‘세상의 빛’(Lux Mundi)은 색이 빛으로 승화한다. 이전 작품에서도 색은 빛으로 충전되어 있었지만, 최근 작품에서 색 속의 빛은 전면화 된다. 색은 창처럼 보이는 구조들과 그 사이에서 비쳐 나오는 빛처럼 제시된다. 구조들 안팎으로 나란히 또는 자유롭게 떠있는 색은 이 세상에 편재하는 빛을 표현한다.

빛으로 충만한 자연은 온 생명에게는 축복의 상황을 말한다. 색들은 대개 따스하고 화사하며, 생명의 온기로 가득하다. 작품 속에 충전된 색의 기운들은 계절로 치면 울긋불긋한 봄 같다. 그러나 단순한 자연 예찬은 아니다. 명시적/암시적으로 드러나 있는 뾰족한 지붕이나 작은 창문들로부터 시작된 사각 형태들은 정신에 의해 창조된 세계의 면모를 드러낸다. 빛으로 화한 색과 형태는 세상 구석구석을 환하게 비춰준다. 산란하는 빛의 입자처럼 보이는 둥그스름한 형태들은 사각 형태들과 함께 어우러져 마치 세포 속까지 들어찬 빛 에너지를 표현한다. 그것은 내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이다. 허지안의 작품에서 빛은 상징적 우주의 여러 차원을 횡단하며 비춰진다. 화면에 떠있는 것들은 사각형과 원을 원형으로 하여 다양한 변주를 보여주는 동질이상(同質異像)의 것들이다. 그것들은 추상적이지만 원근감을 가지고 있다. 크거나 밝은 것은 앞쪽에 있는 것이다.

사각형태가 내부로부터의 발산력이나 반사력이 강화되면 모서리가 둥글려지면서 다양한 도형으로 변화될 것이다. 작품에 퍼져있는 사각형과 그 변주들은 여러 작품에 등장하는 뾰족 지붕의 구조와 연관되어 빛이 쏟아지는 창이 된다. 그것들은 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창처럼 빛이 색을 입은 상태다. 전시부제 ‘세상의 빛’(Lux Mundi)은 예수가 한 말인 ‘Ego sum lux mundi’(나는 세상의 빛이다)와 관련된다. 신이 빛이라면 작품 속 빛 또한 그러하다. ‘세상의 빛’을 표현하기 위해 작가는 화이트가 많이 들어간 색들을 썼다. 화이트는 빛들을 섞을 때 나오는 색이기 때문이다. 그 외에 금색, 은색, 형광색 같이 직접적으로 빛의 느낌을 주는 자체 발광적 색도 있다. 이러한 색들은 소리나 빛이 공간에 퍼지는 느낌으로 배열된다.

 

 

untitled_90.9x72.7cm_Acrylic on Canvas_2017

 

 

허지안의 작품에서 창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빛에 대한 감수성은 지고한 실재와의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성스러운 장소와 연관된다. 빛이 쏟아지는 성당이 있는 그림들은 종교적 체험을 추체험하는 과정으로서의 작업을 생각하게 한다. 여기에서 빛은 조형적 요소이면서 상징이다.

종교를 포함한 형이상학적 사고에서 빛은 진리의 출현을 상징한다. 한스 블루멘베르크는 [진리의 은유로서의 빛]에서 빛이라는 개념은 원래 이원론적 세계관에 속했다고 말한다. 절대적 타자인 신은 인간과 구별되는 것이다. 한스 블루멘베르크에 따르면 진리는 존재 자체에 비춰지는 빛이며, 빛으로서의 존재이다. 그는 플라톤의 동굴비유를 든다. 거기에는 존재의 빛으로서 모든 것을 비추는 태양으로 형상화되는 선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선은 다른 모든 것들에 가시성과 대상성을 부여하지만, 그것 자체로는 어떤 대상으로서의 성격을 지닐 수 없다. 마찬가지로 빛은 그것이 가시적이게 한 것들을 통해서만 보여 질 수 있다. 즉  빛의 은유는 이미 그 안에 빛의 형이상학을 함축하며, 진리는 초월에서 자신의 장소를 얻게 된다. 허지안의 작품에서 빛 뿐 아니라 하늘을 향하는 뾰족한 지붕, 그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통해서 뭔가를 보게 하는 창 등의 비유는 초월적 기미를 띠고 있다. 세상 속 인간에게 초월이란 곧 초월에의 의지나 욕망을 말한다.

일상에 속하기보다 일상과 평행한 존재인 예술은 이러한 초월적 의지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예술 뿐 아니라 종교의 힘에 의지해 이겨낸 삶의 고난들은 초월을 단순한 정신의 유희에 머무르지 않게 한다. 허지안의 작품에서 색을 포함한 풍부한 상징을 담고 있는 빛은 부분적이지 않고 편재한다. 이러한 편재성은 단순히 추상적인 화면의 특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상은 참조대상으로부터 자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저런 명암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추상예술은 조형언어의 자율화에 큰 걸음을 내디뎠지만, 그 초창기 역사를 보면 종말론에서 신지학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세계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한스 블루멘베르크는 그리스 종교에는 자연신이 풍부하게 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빛의 신은 없음을 말하면서, 그것은 빛이 신으로 포착되기에는 너무나 포괄적이기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빛은 자연의 일부가 아니라 자연이 존재하는 어디에나 존재한다. 즉 편재(omnipresence)한다.

 

 

untitled_130.3x162.2cm_Acrylic on Canvas_2017

 

 

그러나 신화적, 종교적 사고는 결국 근대적 사고에 자리를 내준다. 한스 블루멘베르크에 의하면 계몽(enlightenment)과 함께 빛은 행해져야할 대상의 영역 쪽으로 비춰진다. 근대의 계몽주의 또한 빛의 은유가 있었지만, 이제 진리가 스스로 빛을 발하면서 침투한다는 생각은 변화한다. 이제 진리는 스스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드러내야 하는 것이 되었다. 근대의 극적인 명암법은 이러한 사고의 변화에 기초한다. 특히 전기의 발명 이후 인공적인 빛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말 그대로 편재하게 되었다. 빛은 길들여지고 통제되었다. 한스 블루멘베르크에 의하면 베이컨과 데카르트에서 시작된 방법의 이념에서 빛은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사고된다. 시점(원근법)의 제약성 및 이에 대한 의식, 나아가서 이 시점 선택의 자유가 이제부터는 본다는 개념을 규정한다. 근대의 과학사 뿐 아니라 미술사 역시 만물을 지배하는 매체로서의 빛이 목표가 정해져서 주사되는 조명으로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근대에 빛은 재현되어야할 대상을 확증하는 어떤 국부적인 요소로 변모된 것이다.

바로크 시대의 화가들이 연출했던 극적인 명암법은 항상 자연적인 상태로서의 어둠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의도적으로 목표하는 빛의 가능성인 조명(illumination)은 인공적인 빛을 강조한다. 이러한 빛의 조작은 주위를 둘러보는 자유를 배제시키며 강제적인 시각이 지배하는 상황을 만든다. [진리의 은유로서의 빛]은 시선의 고정, 시각의 조립이 지배하는 근대 세계는 그 구조상 다시금 동굴과 가까워진다고 말한다. 조명이라는 기술적인 빛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인간으로부터 타자적인 시각을 추방한다면, 그 인간은 고대의 저 ‘하늘을 명상하는 자’와 그가 갖고 있던 관조의 자유를 배제한다는 것이다. 때로는 추상적인 패턴처럼, 때로는 풍경처럼 보이는 허지안의 작품에는 국부적인 빛이 아니라, 편재하는 빛을 표현한다. 그것은 많은 진보와 더불어 많은 퇴보도 낳았던 근대에 대한 반작용을 말한다. 작가는 그 이전으로 소급해 올라가 진리의 자연적인 발산력을 확인하고 싶어 한다. 빛의 탄생처럼 세상이 시작되었던 순간의 신선함을 되찾고 싶은 것이다.

 

 

untitled_33.4x24.2cm(each pcs)_Acrylic on Canvas_2016

 

 

untitled_40.9x31.8cm(each pcs)_Acrylic on Canvas_2016

 

 

 

 

 

 

 
 

허지안

 

대구가톨릭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 계명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개인전 | 2017‘세상의 빛-Lux Mundi’(봉산문화회관, 대구) | 2016‘세상의 빛-Lux Mundi’(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갤러리, 영천) | 2016‘색의 울림’ 피아트갤러리개관초대전(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2015 ‘색의 울림’(범어도서관 Ars'S갤러리, 대구) | 2014‘talk in colors'(범어도서관 Ars'S갤러리, 대구) | 2013‘감각의 기억’(대구미술광장 창작스튜디오갤러리) | 2009 'with colors'(봉산문화회관, 대구) | 2005 올해의 청년작가 초대전(대구문화예술회관) | 1999 허지안전(대덕문화전당, 대구)

 

단체전 | 2017 Made by Artist(대구예술발전소) | 대구-암베르그 국제미술교류전(Gallery Kunstkombinat, 독일) | Buy, 예술가의 방(대구신세계갤러리, 대구) | 2016 대구. 경북미술 혁신프로젝트(대구문화예술회관) | 봉산아트길(이상숙갤러리, 대구) | 대구-인도 국제미술교류전(콜카타 Nandalal Bose Gallery, 인도) | 바람의 언덕(독립영화관 오오극장내 삼삼다방, 대구) | 2015 봉산아트길(이상숙갤러리, 대구) | 예술, 도시에 서다(대구문화예술회관) | 2014 봉산아트길(동원화랑, 대구) | 대구-인도 국제미술교류전(비스바 바라티대학교 난단미술관, 인도) | 1973년 8월13일, 종로에서 경상감영길까지(대구문화예술회관) | 2013 대구-위해 국제미술교류전(위해미술관, 중국) | 대구현대미술-예술, 창조공간에 들다(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상트 페테르부르크 미술교류전(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2012 현대미술을 담다(대백프라자갤러리, 대구) | 미술창작스튜디오 네트워크(봉산문화회관, 대구) | 2011 나는 현대 미술가다(대백프라자갤러리, 대구) | Home coming day(space gachang, 대구) | small size(space gachang, 대구) | 2010 Beyond 6171 (space gachang, 대구) | 역대 올해의 청년작가 초대전(대구문화예술회관) | 표현! 그 다양성의 접점(아양아트센터, 대구) | 2009 예술, 공간을 점령하다(KT&G 별관, 대구) | art synthe -two side one point(봉산문화회관, 대구) | 대구현대미술제(대구시민회관) | 2008 미술창작스튜디오 네트워크(봉산문화회관, 대구) | 대구현대미술제 (대구시민회관) | 남부현대미술제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 도시 디자인 프로젝트1 미술, 대구를 움직이다(대구문화예 회관) | 도시 디자인 프로젝트2 미술, 대구에 색을 입히다(Metro Plaza, 대구) | 2007 창작스튜디오만들기 프로젝트-작업실 들여다 보기(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현대미술제 (대구시민회관) | Art Synthe(대구문화예술회관) | 가창 스페이스 개관전(space gachang, 대구) | 2006 Navigate전(대구문화예술회관) | 문화예술회관 新소장작품전(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현대미술의 상황전(대구시민회관) | 2005 대구-밀라노 미술전(대구문화예술회관) | 전국 여류작가 100인전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광역시 여류작가 초대전(대구시민회관, 대구) | 두산아트센터 개관기념기획초대 ‘을유년 떡국전’(두산갤러리, 대구) | 2004 영남미술의 오늘전(대구문화예술회관) | 동시대 미술의 SUM전(대구문화예술회관) | 남부현대 미술제 (부산문화회관, 부산) | 2003 열린공간 열린의식전(Space129, 대구) | 대구-밀라노 미술전(대구문화예술회관) | New-Frontier(대구문화예술회관) | 2002 대구현대미술가전(대구문화예술회관) | Work on paper (Space 129, 대구) | 2001 대구현대미술의 시선(대구문화예술회관) | 2000 새천년 의식의 전환(대구문화예술회관) | 1999 삶의 언어, 미술의 언어 0.10(대구문화예술회관) | Millenium 쟁이 쑈(대구문화예술회관) | 1998 로케트 따라잡기(대구문화예술회관) 그 외 다수

 

경력 | 2017 대구문화재단 개인예술가창작지원 선정작가 | 2009 대구시 젊은예술가창작활동지원 선정작가 | 2005 대구문화예술회관기획 ‘올해의 청년작가’선정

 

레지던시 | 2016 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 8기 입주작가 | 2008~2009 가창창작스튜디오 3기 입주작가

 

작품소장 | 대구문화예술회관 | TBC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현재 | 한국미술협회 | 대구현대미술가협회

 

이메일 | hjian@hanmail.net

 

 
 

vol.20171115-허지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