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락 展

Lim Hyunlak

 

The Moment | 1 초 수묵

(A stroke, Duration : ‘1 second’)

 

The Moment_1 초 수묵 (A stroke, Duration: ‘1 second’)_Ink on canvas_4 pieces, per 91x91cm_2017

 

 

Gallery Aso

 

2017. 6. 20(화) ▶ 2017. 7. 22(토)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동 청수로9길 40-31

 

blog.daum.net/galleryaso | www.limhyunlak.com

 

 

The Moment_1 초 수묵 (A stroke, Duration: ‘1 second’)_Ink on canvas_65x100cm_2017

 

 

수묵의 붓길에 실린 카이로스(Kairos)의 시‧공간

 

              - 임현락의 일초(一秒) 수묵, 아소(Aso) 갤러리 -

 

여름 한가운데 아소에서 임현락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이 작가가 아소 공간에 또 한 획을 그려 넣었다. 기원전 7세기, 그리스의 한 시인은 물리적이고 수평적인 시간(크로노스 Chronos)과는 다른 차원의 정신적‧수직적인 시간을 카이로스라고 명명한 바 있다. 미적체험의 순간이나 완상‧직관의 순간처럼 문득 시간의 흐름을 인식하지 못한 채, 정신이 집주(集注)되고 수직적으로 지펴 오르는 시간을 일컫는다. ‘일초 수묵’, 혹은 ‘순간에 머물다’라는 전시 타이틀이 예시하는 것처럼, 이 작가는 줄곧 수묵의 한 획이 품고 있는 잠세태를 즉발적인 신체행위로 풀어냄으로써 정신과 붓길, 그리고 우주 대자연의 기운을 일체화시키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이 번 아소갤러리의 전시(2017. 6.20 - 7.22) 역시 이 같은 작업의 연속선상에 있다. 알고 보면 일초도 너무 긴 시간이다. 찰나가 0.1초의 마이너스 24승 정도라는 시간개념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무심코 한 호흡 안에 품고 뱉을 수 있는 우주의 기운은 광대하고도 깊기 때문이다. 작가는 수묵으로 할 수 있는 최대치의 흔적들을 가장 최소의 호흡으로 품어내면서 보는 이들을 흔들리게 한다. 이 작가의 작품을 대할 때마다 느끼는 점은 전율이라기보다 역시 ‘존재의 흔들림’이다.

 

 

The Moment_1 초 수묵 (A stroke, Duration: ‘1 second’)_Ink on canvas_2 pieces, per 91x91cm_2017

 

 

이현재 선생의 작품인 아소갤러리는 공간의 닫힘과 열림을 용의주도하게 운용한 아주 미니멀한 누드콘크리트 건축물인데, 바람과 햇빛, 하늘, 그리고 넓은 수조의 물까지 끌어들여 대자연의 소통이 남다른 데가 있는 공간이다. 여기에 수묵화 열 네 점이 전시되고 있는데, 상향 획과 하향 획의 50호 두 점이 한 벽면에 설치되어 에네르기의 긴장과 확장에 있어 한 덩어리를 이루고 있으며, 수조에 비치는 맞은편 벽면에는 묵획이 품을 수 있는 점‧선‧면의 밀도와 운동감이 집약된 50호 네 점이 시‧공간을 시방세계로 확장하며 걸려 있다. 나머지 한 쪽 벽에는 6호의 화포에 바람결과 들풀들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일곱 점의 작품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맞은편에는 복도같이 좁고 어두운 공간을 열고 나아가려는 듯이 90도로 꺾인 한 획의 작품이 걸려 있다. 이 같은 공간적 배치 역시 매우 민감하여, 보는 이에 따라서는 사면의 벽에 마치 네 덩어리의 작품이 서로 밀고 당기며 확장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고, 시간적으로는 긴장과 이완의 한 호흡 속에 우주의 기운이 모두 흡수되고 있는 듯한 느낌도 받을 만큼, 작품 배열의 치진포세(緻陳布勢)가 마치 한 화폭 속에서 일어난 것처럼 포치되어 있다. 오래 전 같은 장소에서의 전시에서는 야트막한 수조 속, 투명한 PET에 한 획을 길게 끌어올려 하늘을 향해 설치한 ‘호흡 – 1 초’도 선보인 적이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입체적인 그런 작업이 없이, 면천 캔버스에 수묵으로 그어진 획들이 그대로 물의 표면에 반사되어 깊이 있게 연출된다. 설치미술이 공간의 확장 개념이라고 한다면, 이번엔 평면 수묵화 열네 점만으로 갤러리 공간의 확장과 심화를 도모한다. 특히 나무와 꽃 전문가인 갤러리 관장의 감각이 더하여져 이끼 낀 수조 옆의 속새(마디풀)와 안쪽 공간의 겸양옻나무 선들이 수묵의 점획과 어우러지면서 예술과 자연이 하나로 조화되는 흐름을 감지케 한다.

 

 

Wild herbs_들풀_Ink on canvas_7 pieces, per 41x32cm_2017

 

 

감상하는 동안 수조에 빗방울이 떨어져 점점이 퍼져가는 물이랑 사이로 묵흔의 자취가 흔들리고 흩어지는 정경을 음미할 수 있었던 것도 이 번 전시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작품형성의 ‘두 가지 본질관계’에 대하여 일찍이 하이데거는 “영원히 비대상적인 하나의 ‘세계’(Welt)가 작품 가운데 건립되어, ‘나타나면서-감추는’ '대지'(Erde, physis)에 귀속된다”고 설파한 적이 있다. 나아가 작품이 자기 스스로를 대지와 자연으로 되돌려 내세우고 이끌어내는 일이 바로 작품을 형성시키는 것이며, “예술의 본질은 존재자의 진리가 작품 속에서 스스로를 정립하는 것”이라고 한 바 있다. 동양의 전통매체인 수묵 작업을 음미하면서 하이데거의 예술본질론과 작품형성론을 떠올리게 된 점도 우연은 아닐 것이다. 모든 색과 만물의 근원, 그리고 태현(太玄)의 우주기운까지를 스스로 품고 있는 수묵의 경계는 작가가 매체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대지 위에 하나의 세계를 일으켜 세우고, 또한 존재자의 진리를 개시하며 작품을 형성시켜 간다.

 임현락의 모든 작품들은 작가자신도 특별한 마무리를 예측할 수 없을 만큼 진행형의 ‘형성’ 속에 있다. 그동안 작가는 국악과의 콜라보를 통해 즉흥적인 운필 설치작업을 한 적도 있고, 낙동강변에 광목천을 수 십 미터 깔아 놓고 그 위에 일 획을 치며 끌고 가 강물 속에 담금으로써 먹과 영혼을 함께 물속에 풀어낸 적도 있다. 또한 베니스 비엔날레의 일환으로 초청된 전시에서는 펠레스트리나의 긴 방파제 위에서 한 획을 풀어 아드리아해의 바닷물에 닿게 하기도 했다. 이런 일련의 퍼포먼스를 돌아보더라도 작가의 지향점은 수묵을 매개로 하여 일종의 근원형상(Ur-Bild)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다분히 직관적인 사유를 풀어놓는 데 있는 듯하다. 그러므로 그의 작품 속 필획들은 나무나 풀 등을 상형했다기 보다는 생성을 품고 있으면서 늘 우주적 과정 속에 있는 존재자의 진리를 개시(開始)하는 데로 향해 있다고 할 만하다. 2차원의 평면 작업에서도 필획들은 상하 좌우로 확산하면서 공간을 확장하고 있으며, 한 묵점들이 농묵과 담묵, 파묵, 발묵, 갈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필흔을 품고 생성, 소멸의 순환구조를 보여준다. 이 번 전시에서 수조 속에 비치는 획들이 물의 미세한 결에 따라 흔들리며 부서지는 모습까지 고려했던 점도 작가의 예술의지와 부합된다. ‘진리의 개시’라고 하지만, 그 진리 자체가 끝내 불가지적(不可知的)이고 불확정적인 한, 실로 작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의 흔적과 그 과정들을 ‘힐끗’ 암시할 수밖에 없다.

 

 

Wild herbs_들풀_Ink on canvas_7 pieces, per 41x32cm_2017

 

 

동양의 전통 화론 속에는 무묵구염(無墨求染)이라는 말이 있다. 먹이 없는 곳에서 색을 구한다는 뜻인데, 사의화(寫意畵)의 여백사상에서 나아가 공즉시색(空卽是色)의 철리(哲理)로도 읽히는 측면이 있다. 이 전시에서 작가는 최소한의 묵필흔적들만 보여주고 많은 것들을 건드리지 않고 남겨두고 있지만, 오히려 많은 말들을 함축하고 있으며, 수묵을 통해 부단한 생성 소멸의 순환 속에 있는 대자연의 순리와 미완(未完)의 삶, 미결(未結)의 예술이 품고 있는 비밀과 암호를 얼핏 엿보게 하는 단서를 던져준다. 또한 한 순간에 머무는 몸의 긴장과 이완이 결국 영혼의 긴장과 이완에 맞닿아 있으며 찰나의 편린들이 궁극의 영원과 맞닿아 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시간과 공간의 네트워크 속에 이 작가는 ‘그림 이전의 그림’, 즉 원형상의 경지를 문득 떠올려 보여주면서도, 또 한편 그리는 행위 ‘이후의 그림’을 하고 있다고도 할 만하다. 역시 “뜻이 그림에 있지 않아서 오히려 그림을 얻었다”(당대 장언원의 <역대명화기> 속 오도자 그림에 대한 품평에서).

장미진(미술평론가)

         

 

 

Exhibition view_전시전경

 

 

The Moment - 선으로 긋는 순간들

                        -나의 작업, 1 초 수묵에 대하여

 

삼 년 만에 이 장소에서 다시 개인전을 열게 되었다. 참 특별한 인연이다. 지난 번 전시 중에 문득, 기회가 되면 이 공간을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여기에 있으면 햇빛과 물, 바람과 콘크리트 그늘에 담겨진 공기의 흐름과 결들이 만드는 기운이 내게 들어와 몸과 마음이 차분해진다. 이십 년을 넘게 살아온 개옻나무와 마디풀 분재의 단정한 선들이 갓 태어난 나의 ‘1 초 수묵’ 필획 옆에서 지긋이 서 있다. 오십 중반의 나이, 삼십 년이 훨씬 넘는 내공이 담긴 순간의 격한 필흔들 사이로 은근하게 들어와 같이 호흡하며 공간을 오롯이 조율한다. 가만히 구석에 앉아 열려진 공간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나도 모르게 눈시울이 촉촉해지는 건 무엇 때문일까?

 

과학자들은 우리가 보는 물체의 색은 본래의 색이 아니라고 한다. 각 물체가 빛을 흡수하여 반사하는 것을 보고 그것을 자체의 색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런데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지 않아서 색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 있다. ‘블랙 바디’라고 불리는 완벽하게 타버린 재이다. 그런데 이것을 다시 태우면 온도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변화한다고 한다. 수묵화에서 모든 색을 함축한 먹색 하나로 사계절의 다양한 색과 풍정을 담아낸 동양의 우주관이 과학적으로 증명되는 대목이다. 다 타버린 재가 다시 불타서 온갖 색으로 변화하는 이 ‘재의 부활’은 화가의 손에 의해 다시 생명으로 태어나는 순환의 과정이기도 하다.

 

삶이라는 시공간 속에서 만나는 잠시 동안의 기억을 간직하려는 이 본능적인 행위는 몸으로 실현된다. 대상을 재현하려는 몸에 배인 표현 관습을 떨쳐내고자 ‘1 초’라는-어쩌면 누군가에겐 엄청나게 긴 영겁의 시간일지도 모르는- 분절된 시공간의 밀도 안으로 들어가 오히려 긴 찰나에 머물고자하는 행위를 통해 나는 과연 무엇을 만나는가?

 

행위는 과정으로 지나가고 흔적은 결과로 남겨진다. 이것은 의도적인 표현이 매우 힘든 ‘1 초’라는 시간적 한계상황을 통해 무위적 행위를 실현해보려는, 다분히 모순되며 인위적으로 의도된 역설적 장치이기도하다. 여기에서 나는 비의도적 행위의 결과가 도리어 기존의 의도적 행위의 성과를 뛰어넘는 것을 발견하면서 매순간 예측하지 못한 수많은 경우의 공간적 변수들을 만난다. 이 비의도적 결과의 생경함은 이미 과정 속에 내포된 필연이지만 그것을 온전하게 파악하고 받아들이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삶이 곧 예술이고, 예술의 이치가 삶의 이치와 서로 통하지만 기다림이 필요한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나는 대상을 그리지 않는다. 호흡을 그린다. 왜냐하면 호흡은 곧 생명이기 때문이다.

 

먹물이 ‘후두둑’ 떨어진다. 바람이 ‘휙~’ 지나간다. 살아있는 모든 것은 ‘순간’이다.  

 

- 아소갤러리 개인전 중에, 2017. 6. 28. 임 현락

 

 

 

Exhibition view_전시전경

 

 

 

 

 
 

임현락

 

1987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B.F.A) | 1994 |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M.F.A)

 

개인전 | 2017 갤러리아소, 대구 | 2015 갤러리분도, 대구 | 2014 갤러리아소, 대구 | 2013 아트팩토리서울, 서울 | 2011 봉산아트센터, 대구 | 2010 렉서스갤러리, 대구 | 2007 갤러리분도, 대구 | 2003 창동미술스튜디오, 서울 | 2003 갤러리현대 윈도우갤러리, 서울 | 2002 금호미술관,서울 | 2002 갤러리우덕, 서울 | 2001 갤러리아트사이드, 서울 | 1999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 1998 아르코미술관, 서울 | 1996 갤러리보다, 서울

 

주요 전시 | 2017 | 귀국 보고전-DNA of Coreanity (우양미술관, 경주) | 2016 | DNA of Coreanity (Millad Tower, 테헤란) | Made in Korea (Cite International Art, 파리) | 2015 | 거시와 미시-한국·대만 수묵화의 현상들 (서울대학교미술관 Moa, 서울) | Art Busan (BEXCO, 부산) | 56회 베니스비엔날레 병행전‘Jump into the unkown’(Palazzo Loredan dell’Ambasciatore, 베니스) | 2014 | Seeing & Beeing (스페이스 k, 대구) | 한국국제아트페어/KIAF(아트팩토리, COEX, 서울) | Asian&Afrian&Mediterranean International Modern Art Exhibition (Luo Qi Museum, 항저우) | 2013 | 몸의 현재 (대구미술관, 대구)  | 대구아트페어 2010 / 2013(EXCO, 대구) | 2012 | 강변랩소디-강정대구현대미술제 (강정보, 대구) | 윈난의 하늘, 대구의 바람(Yuan Xiao Cen Art museum, 쿤밍) | 춘풍-나가사키로부터 (경북대미술관, 대구) | 2010 | 아트로드77 ‘11인의 발견’ (아트팩토리 등, 파주 헤이리) | 2009 | 원더풀 픽쳐스 (일민미술관, 서울) | 퍼블릭 아트 2009-Running City (중구 도심, 대구) |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 2009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 Similarity & Non Siimilarity (Brick hall, 나가사끼) | 2008 | THINK/Da'ak-설치미술, 드로잉퍼포먼스 (주영한국문화원개원기념, 런던) | 동아시아작가초대전 (대한민국 상해영사관, 상하이) | 아트인 대구 2008-이미지의 반란(대구광역시, KT&G) | ‘한글 피어나다’전 (국립국어원, 서울) | 2007 | ART ROTTERDAM 2007 (Canvas International Art, 로테르담) | 아트 인 대구-분지의 바람(대구광역시) | ‘바람이 일다’-복합예술 프로젝트 (떼아뜨르 분도, 대구) | 2006 | ‘다악’ 설치미술, (CINARS 2006-Monument National, 몬트리올/프랑스문화원, 뉴욕/선재아트센터, 서울) | Sounding around 38N (Canvas International Art, 암스테르담) | 자연의 숨결, 생명을 노래함 (갤러리분도, 대구) | Aestheicism & Communication (경북대학교미술관, 대구) | 2005 | A Parallel History (시안미술관, 영천) | 2004 |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추임새’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전주) | 한국의 정신 (아트파크, 서울) | 2003 | 일탈의 미학-붓길(공평아트센타, 서울) | 2002-3 | 창동미술스튜디오 개관기념전&오픈스튜디오 (창동미술스튜디오, 서울) | 2002 | 동양화 새천년 (공평아트센타, 서울) | 개관 5주년 기념전 (갤러리 우덕, 서울) | 2000 | 수묵화-새 천년의 오늘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1999 | NICAF, 한국우수작가 9인 특별전 (Tokyo International Forum,도쿄) | 서울국제아트페어-신진작가 11인 특별전 (예술의 전당 미술관, 서울) | 한국화 어제와 오늘전 (한국미술관, 용인) | 1998 | 부산국제아트페스티발(PICAF) - 한국 현대미술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 기타 | 200여회 국내외 단체 및 초대전

 

수상 & 레지던시 | 1993 | 제16회 중앙미술대전 ‘최우수상’ (중앙일보사) | 1999 | 국제화 지원 ‘우수작가 11인’ 선정 (한국화랑협회 & 문화관광부) | 2002 | 창동미술스튜디오 1기 입주작가 (국립현대미술관, 문화관광부)

 

공공 소장처 | 영종도 파라다이스 시티 | 중앙일보사 | 삼성문화재단 |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 금호미술관 | 한국산업은행본점 | 한국야쿠르트 | 우덕문화원 | 경북대미술관 | 국립국어원 | 대구광역시 | 원암문화재단 등

 

현재 |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한국화전공 교수

 

Homepage | www.limhyunlak.com  

 

E-mail | hyunlak@knu.ac.kr | hyunlak123@gmail.com

 

 

 

Lim, Hyun Lak

 

Education | 1987 | Graduated from Collage of Fine Arts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 of Korea (B.F.A) | 1994 | Graduated from Graduated School of Fine Arts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 of Korea (M.F.A)

 

Solo Exhibitions | 2017 | Gallery Aso, Daegu, Korea | 2015 | Gallery Bundo, Daegu, Korea | 2014 | Gallery Aso, Daegu, Korea | 2013 | Art Factory Seoul, Seoul, Korea | 2011 | Bonsan Art Center, Daegu, Korea | 2010 | Lexus Galley, Daegu, Korea | 2007 | Gallery Bundo, Daegu, Korea | 2003 | Gallery Hyundai Window Gallery, Seoul, Korea | 2003 | Gallery of Changdong Art Studio, Seoul, Korea | 2002 | Kumho Museum of Art, Seoul, Korea | 2002 | Gallery Wooduk, Seoul, Korea | 2001 | Gallery Artside, Seoul, Korea | 1999 | Seoul Arts Center, Seoul, Korea | 1998 | Arko Art Center, Seoul, Korea | 1996 | Gallery Boda,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 2017 | DNA of Coreanity (Wooya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Kyeongju, Korea) | 2016 | DNA of Coreanity (Millad Tower, Teheran, Iran) | Made in Korea (Cite International Art, Paris, France) | 2015 | Visions of Macro and Micro: Phenomena in Korean and Taiwanese Ink Paintings (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 Art Busan International Art Fair 2015 (BEXCO, Busan, Korea) | ‘Jump into the Unknown’, Collateral Event for the 56th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56th Venice Biennale (Palazzo Loredan dell’Ambasciatore, Venice, Italy) | 2014 | Seeing & Beeing (Space k, Daegu, Korea) | KIAF (Art Factory, COEX, Seoul, Korea)  Asian & Afrian & Mediterranean International Modern Art Exhibition(Luo Qi Museum of International Modern Art, Hangzhou, China) | ‘Ashamed and a crowd of people in a beautiful house’ (Gansong Foundation of Culture / Ara Art Center, Seoul, Korea) | ‘Since the Stroke’ (Chosun Ilbo Art Museum, Seoul,, Korea) | 2013 | ‘Body, being here’ (Daegu Art Museum, Daegu, Korea) | Daegu Art Fair 2013 (EXCO, Daegu, Korea) | 2012 | ‘Riverside Rhapsody’-Gangjeong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Gangjeongbo, Daegu, Korea) | Sky of Winnan, Wind of Daegu (Yuan Xiao Cen Art Museum, Kunming, China) | ‘Wind’-from Nagasaki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Daegu, Korea) | 2011 | Capturing Contemporary Art (Esya Gallery, Daegu, Korea) | 2010 | Art Road 77-The Discovery of the 11 Artists (Art Factory etc. Paju, Korea) | Digital ArTexModa 20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Daegu, Korea) | Daegu Art Fair 2010 (Exco, Daegu, Korea)2009 | Wonderful Pictures (Il-min Museum of Art, Seoul, Korea) | Public Art 2009-Running city (Daegu City, Korea) | Contemporary Transformation in Korean Painting (Seoul Arts Center, Seoul, Korea) | Similarity & Non Similarity (Brick Hall, Nagasaki, Japan)2008 | Korean Cultural Center UK Opening Ceremony-Tea Music/‘Da-ak’ (Korean Cultural Center, London, UK) | ‘The Painters of East Asia’ (Korean Cultural Center, Sanghai, China) | ‘Uprising of the Images’-Art in Daegu 2008 (KT&G, Daegu, Korea) | ‘Hangul come into blo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eoul, Korea) | 2007 | ‘The wind of a basin’-Art in Daegu 2007 (Daegu, Korea) | ‘The wind is rising’ / Multi-performance Project of Art (Theater Bundo, Daegu, Korea) | 2006 | Art Rotterdam 2006 (Canvas International Art, Rotterdam, Netherlands) | Aestheticism & Communi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Daegu, Korea) | ‘A breath of nature, A song of life’-Ink Painting of 4 Artists(Gallery Bundo, Daegu, Korea) | Sounding around the 38N-Contemporary Art from North and South Korea (Canvas International Art, Amsterdam, Netherlands) | Installation of Multi-performance Project-Tea Music/‘Da-ak’ (CINARS 2006-Monument National, Montreal, Canada | French Institute Alliance Francais Florence Gould Hall, New york, USA | Seonjae Art Center, Seoul, Korea) | 2005 | A Parallel History(Cyan Museum of Art, Yeongcheon, Korea) | Performing Art Market in Seoul-The Tea Music/Da-ak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seoul, Korea) | 2004 |  ‘Chuimsae’- The Project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of Korea  (Sori Art Center, Jeonju, Korea) | The Spirit of Korean (Art Park, Seoul, Korea)2003 | Aesthetics of Deviation-A Brush Stroke (Kongpyung Art Center, Seoul, Korea) | Inaugural Exhibition of Changdong Art Studio (Changdong Art Studio, Seoul, Korea) | Installation of Multi-performance Project/‘Dongdasong’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eoul, Korea) | 2002 | New Millennium of Korean Painting (Kongpyung Art Center, Seoul, Korea) | The 5th Anniversary Exhibition of Gallery Wooduk (Gallery Wooduk, Seoul, Korea) | From Korea to Japan (Chuwa Gallery, Tokyo, Japan) | 2001 | The Exhibition of Korean Painting Group ‘Hangukhwahwe’ | 2000 | Korean Ink Painting, The Present of the  New Millennium (Seoul Metropolitan Museum of Art, Seoul, Korea) | 1999 | NICAF TOKYO-Korea Festival, Special Exhibition of 9 Artists (Tokyo International Forum, Tokyo, Japan) | Seoul International Art Fair (Art Center of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Seoul, Korea) | Korean Pain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Hanguk Art Museum, Yeongin, Korea) | A Stroke-Undaunted and Unreserved Expression (Kongpyung Art Center, Seoul, Korea)1998 | Busan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estival-Exhibi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Busan Metropolitan Museum of Art, Busan, Korea) etc.

 

Selected Awards & Residency | 1993 | The 16th Joongang Grand Art Exhibition ‘Grand Prize'(The Joongang Newspaper co.) | 1999 | Selected an Excellent Artist Competition for Globalism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Rep. of Korea) | 2002 | Changdong Art Studio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Rep. of Korea)

 

Public Collections | Paradise City | The Joongang Newspaper co. |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Art Bank | Korea Development Bank | Korea Yakult | Kumho Museum of Art | Wonam Foundation of Culture |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 Daegu City, etc.

 

Present | Professor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ine Arts)

 

E-mail | hyunlak@knu.ac.kr | hyunlak123@gmail.com

 

Homepage | www.limhyunlak.com

 

 

 
 

vol.20170620-임현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