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희 展

 

Seo Myung Hie

 

" Remembering Absent Memories (부재하는 기억의 회상) "

 

The Robes of Angels 01415_ Cotton fabrics, Sewing, LED_58cm x 46cm_2015

 

 

토포하우스

 

2015. 11. 4(수) ▶ 2015. 11. 10(화)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84 | T.02-734-7555

 

www.topohaus.com

 

 

 

Remembering Absent Memories 01507_Mixed Media on Canvas_194cm x 131cm_2015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몸이 마음을 담는 그릇이라면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옷은 그 몸을 보호하는 그릇이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이번 내 작업은 유아용 원피스를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손수 제작하는 일이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작업은 무명천에 배접을 해서 한 땀 한 땀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손바느질로 완성을 하였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바느질은 나에게 설렘을 주었고,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유년의 상처를 치유하는 의식으로 느껴졌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피어나지 못한 생명들, 버려지고 방치된 아가들에게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엄마의 정성을 담아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손수 지은 옷 한 벌 입히고 싶은 마음을 담아 작업을 하였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지금의 이 시대는 급변하는 가치관으로 개인의 행복추구가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우선시 되고, 모성의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우리는 낙엽처럼 떨어져 바람에 이리저리 흩어지지만,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마지막 보루로 어떤 상황에도 따뜻하게 품어 줄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돌아갈 모성을 기대하고 있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엄마가 있어 주기를 모두는 바라고 있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God could not be everywhere and therefore He made mothers"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신은 모든 곳에 있을 수 가 없기에 그래서 엄마를 만드셨다."

 

-서명희 작가 노트 중에서-

 

 

 

The Robes of Angels 01510 (Contemplation on Cotton Clothes)_

Cotton fabrics, Sewing, Ceramics in glass box_63cm x 124.7cm x 33.5cm_2015

 

 

If body is a receptacle for mind, clothes are the one for the body. My work for this time is a hand-made one-piece type dress for children.

My work has been done by making a stitch by hand on the cotton cloth, after which has been put multiple clothes over. Sewing gave me throbbing and it came to be as a healing ritual for the old wounds from childhood. There has been a trial to embody my desire in my work that I wish to clothe the abandoned, neglected tiny small lives or even never blossomed lives in a suit of clothes, which I myself make with the heart of mother.

These days, values are rapidly changing, which though puts the priority on the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and also the shape of maternal instinct has been changing. We as fallen leaves are scattered by winds from place to place still we would not stop longing for the last redoubt, mother’s warm arms for us to be embraced in any circumstances.

"God could not be everywhere and therefore He made mothers"

 

-In the Artist’s Note-

 

 

 

The Robes of Angels 01512_Cotton fabrics, Sewing on wood board_100cm x 100cm_2015

 

 

서명희의 작업은 수공의 공예적, 부조적 작업과 손맛으로 채워진 회화가 공존한다. 두 작업 모두 간결하고 압축적이다 상당히 미니멀하다고 할까? 깔끔한 디자인적 감성과 정연한 구성이 돋보인다. 작가가 다루는 사각형의 박스형 딱지와 세일러복이란 두 이미지, 상징은 다르면서도 사실은 동질의 것으로 다가온다. 이 두 상징은 표면에 돌올하게 부풀어 올라 묘한 환영감을 불러 일으킨다. 세일러복 이미지는 흰 바탕면에 슬그머니 부조적을 올라가 있다. 그것은 부드럽게 촉각성을 자극한다. 아울러 외곽선은 그림자와 함께 은은하게 흔들리는 실루엣을 동반하면서 아득하고 아련한, 명료하지 않고 조금씩 지워지거나 사라지는 듯한 느낌을 자아낸다. 기억이나 회상이란 사실 그런 것이다. 그것은 명료성에 저항한다. 흔들리고 부유한다. 한때 존재했었지만 지금은 부재한, 그러나 없다고 말하기 어려운 기이한 시간대의 이미지다. 그것이 기억이다. 이 세일러복은 아마 작가의 유년시절을 회상하는 매개일 것이다. 옷이란 한때 내 몸을 감싸고 있었던 연장된 신체이자 취향, 기호, 신분, 정체성 등을 동반하는 기호이자 그 옷과 함께 했었던 모든 사연들을 간직한 매개다. 따라서 유년의 옷, 어느 한때 내가 입었던 옷이란 그 한 시절 나의 모든 것을 함축하는 핵심적 오브제다. 앨범이 간직한 그 시절의 사진 속에 내가 입었던 옷이란 무엇일까? 작가에게 이 뒷면의 세일러복이란 유니폼, 교복은 무엇이었을까? 앞면에 비해 뒷면은 보다 더 많은 사연을 품고 있어 보이고 정면보다 더 많은 말을 하고 있다. 소녀의 성적 정체성과 함께 그 옷이 부여했던 금기와 질서, 규범 그리고 은밀히 그로부터의 일탈을 꿈꾸던 시절의 사연들이 그 교복위로 넘나들었을 것이다. 교복, 유니폼이란 그렇게 금기와 위반의 욕망 사이에 있다. 반면 조각보나 방패연을 연상시키는 사각형의 딱지모양은 화면에 마치 타일처럼 부착되어 있다. 이 작품은 수공예적이고 부조, 조각적이다. 엄청난 시간이 요구되고 하나하나 손맛을 요구하는 번거롭고 집요한 작업이지만 작가는 무엇보다도 재미있는 작업이라고 한다. 본인에게 재미있고 감동적인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정성껏, 중심부위로 약간 융기되도록 조율해서 조심스레 접은 통통한 사각형의 단위들은 격자형의 무늬를 만들어 보이기도 하고 방사형으로 촘촘히 화면을 채우기도 한다. 이 요철효과는 종이의 질감과 물성, 그 위에 인쇄된 문자이미지, 기호 그리고 색상, 그리고 그 위로 스며든 물감에 의해 다양한 변화를 전체적으로 통일성 안에 잔잔히 심어놓고 있다. 여러 개별적 사연들이 모여 한 시간, 공간을 채우고 있다는 메시지 같다. 또한 소중하게 융기한 하나하나의 사연, 공간이 모여서 지난 시간대를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듯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사각형 역시 기억, 회상, 과거의 사연 등과 깊숙이 연관되어 있어 보인다. 이렇듯 고문자가 인쇄된 종이를 딱지로 접어 화면에 부착한, 일종의 저부조, 입체적이며 촉각적인 작업과 함께 소녀들이 착용하는 세일러복만이 돌올하게 그려진 회화작업은 다소 상이하면서도 공통적으로는 기억, 회상, 빛바랜 추억들과 같은 회고적 감정과 연관되어 있어 보인다. 훈민정음의 문자꼴들이 인쇄된 종이와 세일러복은 전통, 개인사적인 내력을 품고 있는 상징들이다. 고문자가 인쇄된 종이나 하얀 한지는 그 종이자체의 색감과 물질감을 고스란히 살리면서 그 위로 부분적으로 물감을 적시고 스며들게 해서 이룬 도포효과로 아롱져있다. 기존에 존재하는 이른바 레디메이드이미지인 문자가 인쇄된 종이, 한지라는 오브제는 복수의 존재들이 집적과 결합이란 구성적 체계 속에서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일일이 손으로 접고 물감을 적셔서 이룬 작은 사각의 단위들이 하나의 화면을 만들고 그 하나의 평면 안에는 또 다른 작은 평면의 세계가 채워져 있다. 부분과 전체는 그렇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어쩌면 이 작은 단위는 개별적인 사연, 기억의 단위일 것이다.

작가는 자신의 내밀한 사연, 아득한 시간의 흔적, 그리고 형상화될 수 업고 가시적 존재가 되지 못하는 막막한 것들을 사각형의 딱지형태와 세일러복이미지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이렇듯 작가의 작업은 도상적 연출을 통해서 사적인 이야기를 구성하고 그리기와 만들기, 회화와 조각, 공예를 넘나들면서 화려한 매체연출과 집요한 노동을 통해 지난 시절을 은유화 해내고 있다.

 

박영택 (경기대교수 , 미술평론)

 

 

Remembering Absent Memories 01103_Mixed Media on Canvas_194cm x 131cm_2011

 

 

Craft and relief co-exist with hand-painting in Seo Myung Hie’s work. Both works are simple and compact. I would say they are very minimal. Neat design-sensitivity and ordered structure are distinguished. Two images worked by the artist, which are quadrangular box-type label and sailor suit, stand for different symbols but represent the same. Those two symbols billow thickly on the surface causing strange illusion. Sailor suit image softly comes on the white base in relief. It tenderly touches tactile sensation. Outlines accompany with silhouette that is softly-wobbling with its shadow, seeming to be far, dim, unclear, blurring or disappearing little by little. Those are all for memory or recollection, in fact. They are against clarity. They shake and float. It is the image of weird time which existed once but is absent now, while we can hardly say that it does not exist. It is memory. This sailor suit may be a medium to recollect the artist’s childhood. Clothes are an extended body which once wrapped my body, a symbol to accompany my taste, favor, status, and identity, and a medium containing every stories with them. Therefore, childhood clothes which I wore during a certain period of my lifetime, is an essential object to contain everything of that times. What would be the clothes I wore in the photo stored in an album? What would this school uniform sailor suit on the back mean for the artist? Back side seems to bear more stories than front one, and talks more. Along with the girl’s sexual identity, taboo, order, regulation, and story of the time when she dreamt of departure from those, would come in and out of that school uniform. School uniform, the uniform is between the desire of taboo and violation like that. On the other hand, quadrangular label is attached on the canvas as if it were a piece of tile, reminding us of patchwork or shield-shaped kite. This work is handicraft, relief, and sculpture-like image. It demands tremendous amount of time and hand skills one by one, but the artist says it is funnier than anything else. She says that any work interesting and impressive for herself is the most important of all. Thick quadrangular units carefully that is folded after being tuned to uplift in the middle part, display grid pattern sometimes, or dense radial work to fill the canvas. This uneven effect has quietly planted various changes in the overall unity through colors that are permeated on the texture, material features, as well as letter images, symbols and colors printed on the paper. It is like a message where individual story gathers to fill in one time and space. It also looks like to show each story and space which is preciously uplifted, to show consisting of the past time. In that sense, this quadrangle also seems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memory, recollection, and stories of the past.

Such a painting where only girl’s sailor suits are discerningly painted with low-relief, cubic and tactile work and where the paper printed with old letters is folded as a label and is attached on the canvas seems to be tied with memory, recollection, and faded reminiscence in common, although they are somewhat different from one another. Sailor suit and the paper printed with Korean script Hun-Min-Jeong-Eum letters, are symbols for traditional and individual history. The white Korean paper or the paper printed with old letters fully reveals its own color and texture, applied with wet and permeated colors. The paper where current so-called ready-made image letters are printed, the object named Korean paper Hanji, fills the canvas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where multiple existences gather and is united with each other. Small quadrangular units which are folded by hand one by one and drenched in colors, make one flat screen which is filled with other small flat ones. Part and the whole are so organically connected like this. This small unit might be and individual story, the unity of memory.

The artist seems to show her own secret story, trace of remote time, and dim things which can neither be figured out nor exist visually, through the quadrangular label and the image of sailor suit. Like this, the artist is making a metaphor of the past time through splendid medium performance and persistent labor, hanging over painting, sculpture, and artcraft, and consisting of private stories by figurative display.

 

Youngtaik PARK  (Art Critic)

 

 

Remembering Absent Memories 01104_Mixed Media on Canvas_194cm x 131cm_2011

 

 

Memory(~수록 추억은 선명해진다.)_Mixed Media on Canvas, Korean paper_115cm x 115cm_2013

 

 
 

서명희 | Seo Myung Hie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졸업

 

개인전 | 2011 조선일보 미술관(서울) | 2010 갤러리봄 기획초대(과천) | 2010 하미강 화랑 기획초대(서울) | 2009 갤러리호(서울) | 2008 Geneva Palexpo(스위스) | 2007 Art Center Berlin(베를린, 독일) | 2007 갤러리 가이아(서울) | 2005 인사아트프라자(서울) | 2005 코엑스(서울) | 2003 구미 문화 예술회관(구미) | 2003 인사갤러리(서울)

 

국제 아트페어 | 2013 K.I.A.F(COEX) | 2013 홍콩컨템퍼러리13 | (엑셀시어,홍콩) | 2012 K.I.A.F(COEX) | 2012 ART KYOTO(교토, 일본) | 2011 K.I.A.F(COEX) | 2010 상하이 아트페어(상하이, 중국) | 2009 C.I.G.E(베이징, 중국) | 2009 국제라인 아트페어(젠트, 벨기에) | 2008 유럽 아트페어(제네바, 스위스)

 

단체전 100여회

 

E-mail | sh3377@empas.com

 

 
 

vol.20151104-서명희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