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성연 展
'Talking Doors'
A Few Specifc Things_60x80cm 8장_종이 위에 프린트_2013
갤러리 조선
2013. 9. 6(금) ▶ 2013. 9. 25(수) Opening : 2013. 9. 6(금) PM 6:00 서울 종로구 소격동 125 지하1층 | T. 02-723-7133
Lamp_스틸 이미지_비디오 프로젝션, 반복재생_2012
갤러리조선은 오는 9월6일부터 9월 25일 까지 박성연 작가의 “Talking Doors”전을 개최한다. 박성연은 본인 주변에 대한 관찰로부터 일상이라는 보편적인 소재를 담아왔다.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관계를 통해 평범한 것들을 특별하게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 공간을 닫힌 공간으로 보지 않고 유동적이고 살아있는 유기적인 공간으로 바라본 전시를 선보인다. 또한 털실로 만든 부드러운 오브제와 짧은 사운드를 함께 설치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다감각적인 경험을 체험하게 한다. 이때 관객은 작품 안의 주인공이며 작품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게 되며 관객이 작품 사이를 거닐며 공간을 느끼고 호흡할 때, 일상의 사소함이 사소함에 머물지 않게 되는 하나의 관계 맺음을 시작한다.
창문_스틸 이미지_비디오 프로젝션, 반복재생_2013
박성연은 보편적이지만 이론적으로 다 설명할 수 없는 우리의 매일과 공간 그리고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우리의 평범한 관계를 다루고 있다. 공간과 공간 혹은 공간에 있는 사람들, 오브제 등 세상의 모든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실체와 관계 맺음을 작가는 자신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표현한다. 이 관계 맺음에서는 일상의 소소함이 자연스레 묻어나게 되고 사람들은 자신만의 경험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한다. 박성연은 우리의 생활에 스며들어 있는 익숙함을 익숙하지 않게 자각하고자 하였다. 특히, 2010년부터는 그녀가 만난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이야기를 보편적인 언어로 이끌어내고 있다. 작가는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에서 듣는 사람과 말하는 사람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프로젝트, ‘Regular Cafe with Homemakers’는 지역 커뮤니티나 시인, 작곡가, 시각예술가 등과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중에는 각자의 생활이나 경험 그리고 이야기 중 나오는 소소한 요소들, 예를 들어, 머리카락을 귀 뒤로 쓸어 넘기기, 식탁에 턱을 궤고 앉아 반복적으로 턱을 만지는 손짓, 피아노 악보를 그리면서 손가락으로 리듬을 타기 등도 소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좋아하는 장소나 자신만의 공간에 대한 이야기, 작곡가가 곡을 쓰는 방식, 희곡 작가들의 작품이나 개인사 중 흥미로운 요소에서 작품이 시작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작품은 영상, 소리, 설치, 드로잉, 텍스트, 인터뷰 영상의 방식으로 관객에게 전달된다. 그러므로 박성연의 작업은 단단하게 고정된 실체가 없는 지극히 유동적인 사유를 통해 우리가 현실 공간을 생명력 있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작업을 보여준다. 구조적인 공간은 물렁하고 헐거운 공간이 되고, 말하는 사람의 목소리는 그의 작업은 현실 공간에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이 덧대어져 상상의 결이 넓어지는 경험을 유도하고 있다. 결국 사람들과 나눈 대화의 결과물은 실제 공간을 일부 재현하기도 하고 여기에 관람객의 상상이 더해져서 여러 개의 스토리로 이루어지었다. 최근 몇 년간 박성연이 보여준 일상의 울림과 떨림은 집안에서 반복되는 동선이나 행위를 흥얼거리는 공간적 허밍이었다. 그 허밍을 작가는 집의 일부를 재현하여 보여주었다. 단단한 집안의 구조물인 계단 난간이나 램프, 문손잡이는 털실로 짜여 마치 벙어리 장갑을 벗었을 때 손의 형태가 장갑에 남아있는 것처럼 허물을 벗은 부드러운 오브제가 된다. 여기에 실루엣만으로 모양을 만든 문과 문고리는 상상공간과 현실공간으로 저마다 다르게 섞이며 이야기를 만들고 있다.
이번 2013년도 갤러리 조선의 개인전 <Talking Doors>는 지금까지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일부를 정리한 전시이며 유기적인 공간이 강조된 전시이다. 희곡 작가와 나눈 대화 목소리를 분석을 하여 음표 드로잉으로 보여주고, 평범한 직장인이며 엄마들의 대화를 정리한 책 작업은 그들의 대화가 내포하는 소소한 삶을 그대로 보여준다. 또한, 전시 공간을 닫힌 공간으로 보지 않고 유동적이고 살아있는 유기적인 공간으로 바라보았다. 그 결과 단단한 벽은 문손잡이가 있는 열린 공간이 되기도 하고, 창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작품에서 보여주었던 털실로 만든 부드러운 오브제와 짧은 사운드를 함께 설치하여 관객은 다감각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작품은 보이지 않는 작은 요소-여백, 소리, 습기, 공기, 분위기 등-까지 합쳐져 비로소 하나의 작품이 되는데, 이런 점에서 관객은 <Talking Doors>에서 작품 안의 주인공이며 작품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관객이 작품 사이를 거닐며 공간을 느끼고 호흡할 때, 일상의 사소함이 사소하지 않는 하나의 관계 맺음이 시작한다.
박성연은 “누구와 누구, 무엇과 무엇, 누가 어디에서”처럼 평범한 서로의 관계를 통해 그저 그런 것을 특별하게 만들어내려고 했다. 작고 좁은 누군가의 방을 작고 좁다는 개념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거나, 신나게 이야기를 나눈 우리의 대화/목소리를 분석하여 악보로 나타내기도 했다. 작가는 이렇듯 전면으로 나서지 않고 주변부에 머무르는 대상에 주목하고 그것들을 주인공의 위치로 끌어오고 있다.
|
||
■ 박성연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회화판화 전공 석사 | 첼시예술대학 순수미술전공 석사, 영국 런던
개인전 | 2013 The Talking Doors, 갤러리조선, 서울 | 2013 The Hidden Space, Chashama 갤러리, 미국 뉴욕 | 2012 Bye for Now, Atelier am Eck, 독일 뒤셀도르프 | 2012 (Waving to her),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이화아트센터, 서울 | 2010 Humming for Days, Space 15, 서울 | 2009 still lives; small voices, 인사미술공간, 서울 | 2006 고객이 만족할 때 까지, 갤러리 The Space 기획 초대전, 서울 | 2004 Night,Night SweAt Dream!, BrainFactory, 서울 | 2004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갤러리 아트링크, 서울
단체전 및 프로젝트 | 2013 <역사 속에 살다>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 <릴리퍼트: 크기의 수사학> 스페이스 K, 대구 | <한국현대미술의 흐름 VI ? 여성주의>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김해 | < Dematerialization & Materilaization> 이영미술관, 용인 | <거울 사이: 무한가역성> 이화아트센터, 서울 | <신진기예> 토탈미술관, 서울 | <Interpenetrate>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창작스튜디오 | 2012 <International Streaming Festival> Het Nutshuis, 헤이그, 네덜란드 | <미술의 생기>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 <오픈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창작스튜디오, 고양 | <2012 아르코미술관 미디어 프로젝트: 언바운드 아카이브> 아르코 미술관, 서울 | <판타스틱 미술백서> 세종문화회관 꿈의 숲 아트센터, 서울 | <Kunstpunkte 2012, Offene Ateliers in du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 | <이미지의 역습>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창작스튜디오 전시실, 고양 | <크게 보기, 작게 보기> 광주신세계갤러리, 광주 | <Beyond the Art> 강릉미술관, 강릉 | <놀이> 이미지루트 상원미술관, 서울 | <감각의 정원> 문화숲프로젝트 가든파이브, 서울 | <인트로>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창작스튜디오 전시실, 고양 | <Old from New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rt Center at Kun Shan University | College of Creative Media, 타이난, 대만 | <아트앤쿡> 상상톡톡미술관, 서울 | <Light Fiesta> Barry Room in Taipei Artist Village, 타이페이, 대만 | 2011 <아트앤쿡>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 <에필로그> 경기도 미술관, 안산 | <오브제, 오브제, 오브제> Artspace H, 서울 | <EMAP: Ewha International Media Art Presen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Sublimation> Space CAN, 서울 | <Open Studio> 맥도웰콜로니, 피터보로, 뉴햄프셔, 미국 | <Outlines > Crandall Gallery, Mount Union College, 오하이오, 미국 | 2010 <Open Studio> International Studio & Curatorial Program(ISCP), 뉴욕 | <Open Studio> 아트오마이 레지던스, 뉴욕 | <신진기예> 토탈미술관, 서울 | 2009 <IASMedia 스크리닝 _ 서울문화의 밤> 제로원디자인센타, 서울 | 2008 <Stimulatives> KIMI, 서울 | <4482> Bargehouse, Oxo Tower, 런던 | <Sungyeon Park & Trevor Kiernander> Tenderpixel Gallery, 런던 | <여성 60년사, 그 삶의 발자취> 서울여성플라자, 서울 | <아티스트’s 가든, 어린이들의 정원>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 김해 | 2007 <MA Show-Having a Voice> Chelsea College of Art & Design, 런던 | <Minding the Gap> HairLine50, 런던 | <Documentary show> Water place, 런던 | 2006 <벽_그 너머의 이야기> 갤러리 잔다리, 서울 | 2005 <사이-공간> 이화여자대학교 미술관, 서울 | <세계여성학대회 Women's Worlds 2005>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 9th In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Congress on Women | "Embracing the Earth: East-West/North-South" Artists' Series 참가 | <포트폴리오 2005>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2004 <정상/일탈> 이화여자대학교미술관, 서울 | <광주비엔날레2004 - 비엔날레 에코메트로 ‘해우소 프로젝트’> 광주 | <오브제 회화 “사물로 그린 그림”> 갤러리조선, 서울 | <대한민국 청년비엔날레2004 ‘미술, 그 생명의 처소’>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 <2004아트서울> 예술의 전당, 서울 | <Making Money> 조흥갤러리 기획 공모전, 서울 | 2003 <시간의 결정> 덕원갤러리, 서울 | <bookproject-사람을 닮은 책> 금호미술관, 서울 | 2002 <대안공간 풀 여름 워크샵> 대안공간 풀, 서울 | 2001 <command "P"> 사간갤러리, 서울 | <대안공간 풀 여성작가 워크샵> 대안공간 풀, 서울 | 2000 <광주비엔날레2000 : '인간의 숲, 회화의 숲'> 광주 중외공원, 광주 | <제20회 현대판화공모전> 종로갤러리, 서울 | <제2회 공장미술제 ‘눈먼사랑’> 샘표공장 건물, 서울 | <THRU-THE BOOK 아티스트북전> there's 명동, 서울 | 1999 <EWHA?ACTION?VISION>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 <서울현대미술제> 서울시립미술관 600년 기념관, 서울 | <Extension of Print> 이화여자대학교미술관, 서울 | <ART/KIDS/WORKSHOP> 이화여자대학교미술관, 서울 | <셋으로 나눈 사과> 갤러리카페 봄, 과천 | <"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관, 서울 | 1998 <뉴 프론티어공모전> 경인미술관, 서울
레지던시 및 펠로우십 | 2012 뒤셀도르프 시 스튜디오, 뒤셀도르프, 독일 | 2012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창작스튜디오, 고양 | 2012 타이베이문화재단 아티스트 펠로우십, 타이페이, 대만 (기관후원) | 2011 Macdowell Colony Fellowship, 뉴햄프셔, 미국 (기관후원) | 2010 International Studio & Curatorial Program (ISCP), 뉴욕 (경기문화재단 지원) | 2010 Art Omi 레지던스 프로그램, 뉴욕 (파라다이스 문화재단 지원)
수상 및 기금 | 2013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 선정 | 2012 아르코 미디어 싱글채널비디오 선정 | 201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제레지던스 프로그램 참가 및 전시 지원 | 2010 경기문화재단 International Studio & Curatorial Program 참가 선정 및 지원 | 2010 파라다이스문화재단 Art Omi 레지던스 프로그램 참가 선정 및 지원 | 2010 경기문화재단 개인전 지원 | 2009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개인전 지원 | 2009 경기문화재단 개인전 지원 | 2008 갤러리 키미 작가 선정 | 2006 갤러리 더 스페이스 기획초대전 | 200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신진작가 지원금 | 2005 Women's Worlds 2005 - 제9회 세계여성학대회 Artists' Series | 2004 조흥갤러리 기획공모전 | 2004 Brain Factory 2004년 공모전 | 2004 벨트2004 공모전 | 2000 제20회 현대판화공모전 | 1998 제8회 뉴?프론티어전
|
||
vol.20130906-박성연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