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의 정체 展

 

(Mental Operation)

 

 

             

화이트블럭 갤러리

 

2013. 5. 3(금) ▶ 2013. 6. 30(일)

Opening : 2013. 5. 10(금) PM 5:00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72 | T. 031-992-4400

기획 | 김최은영 Guest Curator

 

 

참여작가 | 구성연 | 김도균 | 박승훈 | 원성원 | 이원철 | 이지연 | 장승효 | 한성필

 

구성연_pp01_light jet c-print_120×150cm_2011

 

 

Collaboration 의상디자이너 서휘진(장승효작가와 Collaboration)

 

기록의 역사를 넘은 사진은 이제 완벽한 재현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사진작가들은 대상을 기록하거나 정확하게 복원하기 위한 기술적 작업 너머 예술로서의 창조를 그 의미로 담고 있다. 하여 이들의 작품을 보다 선명하게 이해하고자 포착(catch)이 아닌 조작(operation)으로 전시를 구성했다. 전시는 대상의 기계적 기록(카메라)이 아니라 외부 대상에 대한 상(像)을 예술적 창조성(조작)에 의해 탄생됨에 주목한다.

 

조작의 정체1. 정신적 조작(mental operation)

조작의 정체2.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조작의 정체3. 예술적 영감(artistic inspiration)

조작의 정체4. 창조 : 有에서 有를 창조하다.(make something out of something)  

 

 

김도균_b.mon.g2sel-01_180×290cm_C-Print Mounted on Plexiglas_2012

 

 

전시 작가들은 보다 적극적,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예술작품을 창조해 낸다. 정신적 조작으로 파악한 대상을 물리적 조작으로 결과 짓게 된다. 때문에 이들의 사진은 무엇도 사실 아닌 것이 없고, 무엇도 사실 그대로인 것도 없다. 우리가 지금 목격하는 것은 기록과 재현이라는 학습된 개념적 범주에서 벗어나 현실로부터 찾아낸 픽션(fiction)의 합리적 창조다.

 

뷰파인더를 통해 대상을 목격하는 이들의 임의 외부 자극들은 의미있는 구조를 지닌 대상으로 지각된다. 예술가들은 직접 봄으로써 구성 요소들간의 관계를 의도된 의미가 적절하게 표현되도록 카메라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조작한다. 이들의 개입은 단순한 기술적 조작 이전에 능동적 탐색, 선택, 추상, 핵심의 파악, 단순화, 분석과 통합, 완성, 정정, 비교, 문제해결, 종합과 같은 정신적 조작(mental operation)이 포함되어 있다.

 

有에서 有를 창조한 조작 8인의 작가

사탕을 꽃을 만들어 찍는 조작의 사진작가 구성연

암막커튼의 작은 구멍을 180x290cm의 밤하늘 풍경으로 조작한 김도균

대형필름을 찍은 후 가늘게 잘라 직물처럼 씨실, 날실로 엮는 조작을 한 박승훈

나룻배, 소녀, 산동네, 개울, 종이배…사실를 찍은 후 새로 조작한 소설 같은 원성원

같은 공간, 다른 시간, 다른 사람들이 오고가는 찍어 모은 후 붙이는 조작을 거친 이지연

시계의 바늘을 장노출로 없애고 차와 사람의 흐름으로 시간의 시각화 조작을 해낸 이원철

3D 콜라주라는 레이어가 있는 사진의 조작으로 공간을 유영하는 장승효

장승효작가와 Collaboration 의상디자이너 서휘진

낮의 빛과 밤의 빛, 벽화와 사실벽 사이를 가림막과 현실 사이를 조작해 낸 한성필

 

Making Film과 동영상

-Music Video : 김도균과 허밍어반스테레오의 결합

-Video Art : 이지연, 장승효의 움직이는 사진, 비디오아트

-Making Film : 이원철, 한성필의 메이킹 필름

-Collaboration : 장승효와 서휘진의 의상과 사진의 결합

 

평면의 사진을 너머 새로운 장르의 결합까지 볼 수 있는 다양한 전시 풍경.

 

 

박승훈_TEXTUS 076-1_Digital C Print_93cm×153cm_2011

 

 

조작의 정체 (Mental Operation)展

 

김최은영(미학, 펄벅재단 운영위원)

 

기록의 역사를 넘은 사진은 이제 완벽한 재현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사진작가들은 대상을 기록하거나 정확하게 복원하기 위한 기술적 작업 너머 예술로서의 창조를 그 의미로 담고 있다. 하여 이들의 작품을 보다 선명하게 이해하고자 포착(catch)이 아닌 조작(operation)으로 전시를 구성했다. 전시는 대상의 기계적 기록(카메라)이 아니라 외부 대상에 대한 상(像)을 예술적 창조성(조작)에 의해 탄생됨에 주목한다.

 

 

서휘진-나비레이져-레이디가가

 

 

조작의 정체1. 정신적 조작(mental operation)

창작자는 자신이 의도한 의미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이를위한 사유는 기존의 지식을 이용한 체계적인 논리적 탐색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창조적 사고는 과거의 경험이나 습관적이지 않은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사고함을 선행 조건으로 갖는다. 즉, 기존의 인식방식과 다른 정신적 변형을 수행할 인지적 조작이 필요하다. 고정된 사실 대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관점은 논리적 도약을 바탕으로 창조적 행위 이전의 행태다. 창작자들은 시각적 대상의 구성을 보다 의도가 있는 표현으로 새로운 설정을 시도한다. 이들의 개입은 단순한 기술적 조작 이전에 능동적 탐색, 선택, 추상, 핵심의 파악, 단순화, 분석과 통합, 완성, 정정, 비교, 문제해결, 종합과 같은 정신적 조작(mental operation)이 포함되어 있다. (이모영, “예술적 창조성에 대하여 '시각적 사고'개념이 지니는 함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 『미학,예술학연구 12』부분 인용, 참조한 표현이다.)

 

 

원성원_움직이는 내일_C-Print_125×164cm_2012

 

 

조작의 정체2.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전시의 작가들은 첨예한 감각의 시선을 가졌다. 주어진 일상적 사물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음에 이들의 시선의 주목이 시작된다. 날카롭게 바라보고, 미묘한 감정을 먼저 포착해 낸다. 익숙한 풍경이, 사물이, 사건이 이들의 시선을 만나 기묘하고, 찬란하며, 극적인 사유로의 전환되는 상황으로 치닫는다. 작가의 시선에서 포착된 일상의 날 것은 그들의 관찰을 통해 미분화되고, 그들의 감정을 통해 예리하게 분석된다. 단순한 ‘보기’가 아닌 뷰파인더(viewfinder)를 통해 ‘목격’한 것은 이미 그것을 물상 자체로 이해하기 보다 ‘자극’ 또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 구조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이러한 지각이란 일상의 무수한 시각 이미지를 보았음에도 기억하지 못하는 것과 기억하는 것으로 나뉘는 것의 차이와 유사하며, 같은 대상과 상황에도 개인적 경험에 따라 다르게 기억되는 감정적으로 의미를 부여되기 때문에 ‘보기’에서 ‘알다’로 치환되는 과정과도 흡사하다. 미묘한 인식차이에 불과할 수 있는 이 치환의 과정은 사진작가들이 인식의 차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조작, 개입함으로 보다 선명해 진다.

 

 

이원철_TIME Praha, Czech_Pigment Print with Wood Frame_120×154cm_2011

 

 

조작의 정체3. 예술적 영감(artistic inspiration)

창조적 과정에는 합리적인, 정신적 조작과 선택적 주의 외에 영감(inspiration)과 직관의 과정이 관여한다. 직관적 사고는 즉물로 드러난 여러 가지 상황들의 요소와 상관관계를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이다. 이는 전체와 개체를 동시에 파악하는 시각적 사고의 정보처리특성에 기인한다. 이러한 과정은 역설적이게도 인식주체, 즉 창작자에게는 의식되어지지 않는 특수성을 갖는다. 예술적 영감과 직관으로 획득된 독창적이고 새로운 결과물은 갑자기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보다 면밀히 그 내적 과정을 분석해보면 지속적인 사유를 통한 통찰의 과정을 거쳐야만 발생된다. 이때 대상과 원하는 결과를 추구하는 형상의 핵심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은 시각적 추상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고 무의식적 추론의 과정으로 나타나게 된다. 대상을 바라봄에 있어 심상으로 작용되는 시각적 추상과정을 잠재되어 있기에 가능한 일이고, 그러한 비연속적 반복으로 획득된 감각은 결론적으로 영감, 직관을 통해 예술작품이라는 결과물로 발현된다.

 

 

이지연_untitled_Mulasec on archival pigment-print_120×120cm_2013

 

 

조작의 정체4. 창조 : 有에서 有를 창조하다.(make something out of something)  

전시 작가들은 보다 적극적,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예술작품을 창조해 낸다. 정신적 조작으로 파악한 대상을 물리적 조작으로 결과 짓게 된다. 때문에 이들의 사진은 무엇도 사실 아닌 것이 없고, 무엇도 사실 그대로인 것도 없다. 우리가 지금 목격하는 것은 기록과 재현이라는 학습된 개념적 범주에서 벗어나 현실로부터 찾아낸 픽션(fiction)의 합리적 창조다.

 

실존하는 것들에 대한 사진 작가들의 시각적 반응은 단순한 ‘보기’의 문제를 너머 심미적 본체까지 관통했고, 동시에 이들이 포착한 현상은 심미에 의한 광경까지 포괄한 찰나적 직감을 지닌다. 사진작가, 즉 창작자의 시각적 감각은 사실 막연한 허구라고 보기엔 너무도 완벽한 대상, 즉물이 존재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시대의 사진작가들은 왜 현실이나 즉물을 곧이 곧 대로 담아 내지 않는가는 이렇듯 창조라 명명할 수 있는 예술 본위의 그것으로 귀결된다. 사진이 예술로 승격된 이후에도 다양한 변화와 시도들을 거치며 작가의 작위가 창조라는 역할로 자연스럽게 사진이라는 매체에 녹아 작품으로 변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이 창조한 환영에 가까운 풍경은 실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에 낯설지만 익숙한 이야기며, 이들의 카메라는 혹자의 붓이거나, 흙이며 이들이 바라보는 대상 역시 사실에 근거하나 사유라는 과정을 거쳐 형성된 조작된 사고의 풍경이다.

 

 

장승효_Stage of CulminationⅡ_dragon, episode_3Dimentional Mulasec Collage,

pigment print_300×125×15cm_2012

 

 

구성연

꽃은 피어있는 동안 눈부시게 아름답지만 이내 지고 나면 자취, 향기도 사라진다. 사탕 역시 달콤하지만 결국 혀끝에서 녹아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꽃과 사탕의 황홀과 달콤은 구성연의 사진으로 미묘한 교집합을 이루며 아름다움과 허무함을 동시에 보여준다. 이들의 속성적 연합은 그들이 낱개의 개체로 존재할 때보다 더욱 크고 방대한 해석을 가능케 한다. 거창하게는 예술종말론으로부터 작게는 시대 욕망의 나약함을 제시한다. 구성연이 제시한 방식은 우리시대의 동의를 가능케하며 이러한 인정함은 그의 조작에서부터 비롯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김도균

검은 하늘, 별, 유성. 영락없는 밤하늘을 촬영한 사진처럼 보인다. 하지만 단 1점을 제외하곤 모두 거짓이다. 우리가 밤하늘의 무언가라고 인식하고 바라 본 것은 사실 고장난 모니터 화면, 햇살이 비치는 암막 커튼의 구멍, 조각 작품의 디테일이다. 이쯤 고백하면 허구나 조작으로 짐작하기 쉬우나 김도균은 다시 반전을 말한다. 조작이 아닌 일상 사물의 실존 모습 중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사실들. 사물과 사물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유기적 미감. 창작자인 그가 먼저 발견하고 우리에게 사진작품으로 알려준 아름다운 정보다.

 

박승훈

'텍스투스(TEXTUS)’ 시리즈는 text의 어원이 되는 textus(직물)를 이미지화한다. 조각난 형태로 촬영된 이미지들이 수작업으로 해체되고 다시 엮인다. 하나의 이미지가 박승훈의 손으로 조각나고 그것들은 마치 직물의 씨줄과 날줄이 합쳐져 옷감이 되듯 재구성되면서 하나로 완성된다. 필름자체를 직조하는 과정 속에 완성된 작품은, 사진 작품이라면 꼭 맞아야 할 것 같은 색상과 명암도 달라져 버렸다. 그렇게 구성된 실존의 건물과 풍경은 새롭고 날 것이 되어 우리의 미감을 자극한다. 낯설지도 익숙하지도 않은 전혀 새로운 관점으로.

 

원성원

소설 같은 풍경이다. 마치 창조된 풍경 같은 원성원의 작업은 계절을 기다리고, 장소를 찾는 품을들여 만들어 낸 사실들이다. 원성원은 자신의 개념과 심상 속 이미지를 현실에서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이 끝난 후 그의 조작은 마치 소설의 작법처럼 새로운 이야기로 허구적 풍경을 형성한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한 점의 사진인 동시에 한편의 동화도 되고, 방대한 서사적 시어도 된다. 그림으로 그렸으면 보다 흘려 보내기 쉬웠을 수도 있으나 분명한 사실인 사진으로 엮은 새로운 이야기는 우리의 시선을 붙들고, 우리의 사고를 깨운다.

 

이원철

시간의 시각화.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는 시간. 그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장치였던 시계, 그 속의 시계바늘에 의존하지 않고 이원철은 시간을 시각화하고 있다. 장노출을 통한 촬영으로 흐르는 시간의 흔적을 화면에 잡았다. 인공의 것만 남은 풍경은 인간의 유한함을 드러내기 위함이 아닌 시간이라는 자연적 대전제 하에 변화하는 삶과 죽음, 공간과 역사를 상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창출하기 위해 그가 택한 것은 사실의 그것을 약간의 셔터타이밍 조작으로 변이시킨 것.

 

이지연

공공의 공간에서 익명의 우리는 일상으로 시간을 공유한다. 그러나 서로의 존재는 의미가 부여 되지 못함으로 인해 공유라 칭할 수 없는 매우 사적인 풍경을 초래한다. 이지연의 조각난 풍경은  정(靜)이며 동시에 동(動)이다.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와 또한 의미 없이 기호처럼 등장하는 인물들의 관계가 생성과 소멸이 공존하는 유기적 환경을 조성한다. 화면에 등장하는 여러 가지 표징들은 도시의 상징이지만 시각 결과물에서는 거꾸로 매우 인간적인 예민한 감정선을 만들어 낸다. 작가는 인식이 갖고 있는 대상이나 공간에 대한 편견들로부터 직감적으로 느끼는 실체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여 창조적 조작으로 완결한다.

 

장승효

기억의 편린, 사실의 단면을 하나의 풍경으로 담지 않음은 우리의 기억이라는 장치가 얼마나 복잡다단한 지에 대한 창조적 고찰이다. 사실이라 믿었던 기억은 편린의 극단적 왜곡이나 무수한 단편적 인식의 혼합일 수도 있다. 거꾸로 개인적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평이한 단상은 실제의 그것보다 과장되게 기억되거나 축소되어 치부되기도 한다. 장승효의 시각적 직감은 결코 단순하지 않은 우리의 시각적 사고를 실제적 레이어(layer)를 통해 3D사진 콜라주를 형상화한다. 그의 조작은 이미지 조각으로 시작하여 입체와 평면, 사진과 조각을 넘나들며 구획된 틀을 거세함으로서 일단락된다.

 

한성필

사진 속 가림막의 정체는 한성필의 조작에 의해 그 한계와 의미가 달라진다. 작가의 눈엔 단순한건물 공사용 가림막이 그 자체로만 인지되지 않았다. 그는 이미 그것을 보며 자신이 창조할 새로운 이미지와의 결합과 현실과 환상을 경계를 허무는 빛, 스크린 너머 공사가 진행중인 실제건물과 그 건물의 완공 후의 모습을 동시에 감지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한 조명, 시간, 공간 등의 조작을 통해 기록이라는 사진의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실재와 이미지 사이의 혼동의 재미를 이끌어내어 새롭고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한성필_La Grand-Place_Chromogenic Print_178×243cm_2012

 

 

 
 

 

■ 구성연

1997 서울예전 사진과 졸업 | 1994 동국대 인도철학과 졸업

개인전  | 2009 사탕, 트렁크갤러리, 서울 | 2007 팝콘, 갤러리 쌈지, 서울 | 2005 화분, 프로젝트 스페이스 집, 서울

 

김도균

2009 아카데미브리프,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 | 2006 마이스터쉴러 (토마스루프),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 | 1999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졸업

개인전 | 2012 b, 갤러리 2, 서울 | 2011 Facility Skins, 마이클슐츠갤러리, 베를린, 독일 | 2010 Line up, 갤러리 2, 서울 | 2006 SF,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 Images of Speed, 서미앤투스, 서울

 

박승훈

2009 서울 중앙대 일반 대학원 사진과 순수사진전공 졸업 | 2006 성남 신구대 사진영상미디어과 졸업 | 2004 서울 한양대 관광학과 졸업

개인전 | 2012 박승훈 개인전, 표갤러리, 서울 | 2011 박승훈 개인전, 표갤러리LA, 표갤러리사우스, 서울 | 2010 ‘TEXTUS’박승훈개인전, 사라리아트웍&프로젝트, 산타모니카 | 2010 박승훈 개인전, B’one 갤러리, 서울 | 2009 박승훈 개인전, Space355, 동경

 

원성원

2005 아카데미브리프, 쾰른미디어 예술대학, 쾰른, 독일 | 2002 마이스터슐러,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독일 | 1995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조소과 졸업

개인전 | 2012 Character Episode 1, 아트사이드, 서울 | 2010 1978년 일곱살, 가나 컨템포러리, 서울 | 2008 Tomorrow , 대안공간 루프, 서울 | 2005 Galerie Gana-Beaubourg,파리 | 2002 Digitalart,프랑크프루트

 

이원철

200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사진디자인 전공 졸업 | 2002 RMIT University, Photography 전공 졸업 | 1999 서울예술대학 사진전공 졸업

개인전 | 2009 Industrial Starlight, 갤러리 진선, 서울 | 2006 Epiphanie Landscape, 가나포럼스페이스, 서울 | 2005 교차하는 시선_2인전, 대림미술관, 서울

 

이지연

2010 골드스미스  파인아트 석사, 런던, 영국 | 2005 홍익대학교  조소과  학사, 한국

개인전 | 2011 ‘Private Public’, Salon de H, 서울, 한국 | 2011 벨트 선정작가 전시, 유아트 스페이스, 서울, 한국

그룹전 | 2012 코리안 아이, 사치 갤러리, 런던, 영국 | 벨트 파이널 셀렉션 사진부분 최우수 선정작가, 서울 | 베이징 아트페어, 이마주 갤러리, 베이징, 중국

 

장승효

2008 뉴욕대학교 조소과 석사졸업 | 2001 홍익대학교 조소과 석사졸업 | 1997 홍익대학교 조소과 학부졸업

개인전 | 2012 임태규, 장승효-a Landscape, 인터알리아 아트컴퍼니, 서울 | 2010 장승효, 이세현-New Landscape, Salon de H, 서울 | 2008 Dedicated performance, 아트 스페이스 H, 서울  | 2007 APOLLO & DAPHNE, 33본드 갤러리, 뉴욕, 미국  | 2004 KOREAN 12 MUSE, 세종 문화회관, 서울

 

한성필

2004 Kingston University, London | Curating Contemporary Design 석사 (MA) 과정 졸업  | 199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개인전 | 2012 Dplopia, 아라리오갤러리 청담, 서울 | 2006 The Sea I Dreamt 제16회 포토포 국제 사진 축제(브라티슬라바 사진의 달), 슬로바키아 | 2005 My Sea, Goethe Institute, 프랑크푸르트, 독일 | 2004 The Sea I Dreamt : 제10회 국제 사진, 영상 비엔날레 ‘Houston Fotofest

 

 
 

vol.20130503-조작의 정체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