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명희 초대展

 

“A little Song of Life”

 

A little Song of Life_116.5x91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장은선갤러리

            

2012. 11. 7(수) ▶ 2012. 11. 24(토)

Opening 2012. 11. 7(수) pm 4:00-6:00

서울 종로구 경운동 66-11 | 02-730-3533

               

www.galleryjang.com

 

 

A little Song of Life_162x130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수원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교수인 오명희 선생은 ‘A little Song of Life’ 라는 전시주제에서 느껴지듯이, 작품을 바라보기만 해도 사랑스러운 노래가 귓가에 울리듯, 행복함을 아름답게 묘사한 작품을 우리에게 선사한다. 주로 등장은 꽃과 나무 그리고 새인데 옛 선인들의 화조이미지를 빌어 음양의 조화, 사랑과 행복을 찬미한다.

 

 

A little Song of Life_130.5x162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오명희 작가의 작품에서는 산수화의 면모가 느껴지고 화려하면서도 여러 상징성을 다루고 있는 회화의 힘이 담겨진 작품이 대다수 이다. 산수화가 상징하는 유토피아와 동일한 맥락에서 작가만의 유일무이한 독특한 화조화를 그려낸 것이다. 민화에서 다뤄지는 화조화는 주로 부부금실과 부귀영화를 의미하는데 이처럼 인간 생의 욕망과 간절한 희구가 그림 속에 오롯이 스며들어 전통회화를 감상하듯 포근하면서도 정감이 느껴진다. 각자만이 다양한 삶을 지니고 있는 우리들은 저마다의 소망이 있듯이, 오래 살고 또한 변치 않는 사랑을 꿈꾸며 늘 부귀영화를 누리고 행복하고자 다짐한다. 이렇듯, 작가의 작품에서 보여주는 의도는 어쩌면 우리모두가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혹은 소망만 가득했던 이러한 욕망들을 꽃과 나무, 새 등의 이미지 힘을 빌어 우리의 눈앞에 구현하여 대신적으로 상징화하여 표현한것이다. 화면에 나타내어진 이미지는 화려함으로 치장하는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따뜻한 위로를 안겨주는 연민과 치유의 모티브 임이 틀림없다.

 

 

A little Song of Life_116.5x91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오명희 선생의 미적 회화 세계는 아름다운 회화의 이미지와 장식이 한데 어우러진 예술세계이다. 주요 형상인 새는 매우 정밀하게 묘사되었으며, 꽃의 형상은 얇은 자개를 오려 부착했다. 자개의 모양은 다양하며 약간의 채색을 얹혀서 변화를 주었는데, 빛을 받으면 마치 꽃이 더욱 예쁨을 뽐내 듯한 화려한 이미지로 변화되어 보여진다. 화려함을 안고 있는 꽃은 눈 내리듯 화면의 배경을 가득 채우며, 꽃을 캔버스에 겉에 걸쳐져 있는듯한 착각이 들 정도로 아름답게 표현하여 화면에 구도에 맞게 적절히 표현된다. 언뜻 자개장이 연상되는 화면은 일반적인 회화와는 달리 재료나 구성적인 면에서도 차별화를 두어 임팩트 있게 구성한다. 캔버스에 유채로 그려진 나뭇가지와 새, 꽃은 무한한 자연을 암시하듯 단일한 색채로 표현되었고, 뒷 배경은 현실적인 풍경을 담고 있다. 특히 옛 건물이나 작가의 일상적인 풍경사진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아득하게 사라지는 지난 우리들의 시간을 아련하게 추억하게 하는 심리적, 정신적 거리를 상징화 한다.

 

 

A little Song of Life_43x90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A little Song of Life_43x90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이번 전시에서는 화면을 통하여 더없이 강렬한 생명체의 환희와 화려함을 보여주며 더하여 그 안에서 자신의 내면을 바라볼 수 있는 따뜻함이 느껴지는 신작 20여점을 선보인다.

 

 

A little Song of Life_35x23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동양화가 오명희 선생은 세종 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일본 동경 예술대학 일본화과 객원 연구원, 21회의 개인전과 L.A 아트쇼 (L.A 컨벤션센터, 미국), 스푼아트페어_포스터작가 특별전 (홍콩), 아오키화랑(일본 동경,긴자) 등 70여회의 단체전에 참여하였고, 현재 수원 대학교미술대학 동양화과 교수 및,  서울미술협회 부이사장, 한국미술협회 이사등을 맡으며 왕성한 작가활동을 해오고 있다.

 

 

A little Song of Life_35x23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오명희, 내면을 비추는 새와 꽃

 

선인들은 화조이미지를 빌어 음양의 조화, 사랑과 행복을 찬미했다. 나뭇가지에 앉은 한 쌍의 새와 활 핀 매화나 도화는 지상에서 본 이상형이자 지극한 열락이 구현된 풍격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산수화가 상징하는 유토피아와 동일한 맥락에서 화조화도 그려진 셈이다. 민화에서 엿보는 화조화는 부부금실과 부귀영화를 의미하는데 이처럼 인간적인 생의 욕망과 간절한 희구가 그림 속에 오롯이 스며들어 있는 것이 우리네 전통회화이다. 그런데 그런 삶의 욕망에 대한 진솔한 이미지화는 역설적으로 현실계에서 그 욕망이 실현되기 어렵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유한하고 남루한 생에서 사람들은 저마다 오래살고 변치 않는 사람을 꿈꾸고 늘상 부귀영화를 누리며 행복하고자 다짐했던 것이다. 어쩌면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이루기 어려운 그 욕망을 이미지의 힘을 빌어 눈앞에 구현하고 소원하게 되었을 것이다. 또한 덧없고 슬픈 생을 이미지의 화려함으로 치장하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지상에서의 삶이 안겨주는 연민과 상처를 치유하려 했을 것이다. 따라서 산수화나 화조화는 일종의 주술적인 이미지이자 기복신앙적인 도상에 해당한다. 아니 우리네 전통미술이라고 불리는 모든 것이 그로부터 자유로운 것은 거의 없다. 순수한 장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전통미술에서의 장식은 공간을 무의미하게 채워나가는 선과 색채의 증식이 아니라 무수한 의미와 상징을 지닌 서사들이 촘촘히 박혀있는 언어이자 텍스트이다. 그러나 근대 이후 미술은 이제 그런 도상과 주술성에서 풀려나 순수한 미나 장식, 관념으로 몸을 바꾸었다. 현대미술이라 불리는 것들이 그런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미술은 한 개인이 꿈꾸는 유토피아나 인간적인 생의 욕망을 투영하고 반사한다. 그로부터 무관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결국 미술은 한 인간이 겪어내는 삶에 대한 하나의 반응이자 그에 대한 진술의 성격을 지닌다. 오명희의 그림도 그런 맥락에서 자리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A little Song of Life_50x100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오명희는 캔버스에 유채로 나뭇가지와 새, 꽃을 그렸다. 이른바 화조화인 셈이다. 무한한 자연을 암시하듯 단일한 색채로 마감된 배경과 현실풍경이 사진으로 프린트되어 자리한 화면이 공존한다. 색채추상처럼 단색으로 도포된 화면과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사진이미지가 올려진 화면이다. 그 위에 한결같이 나무와 새, 꽃의 형상이 눈이나 비가 내리듯이 가득하다. 새는 매우 정치하게 묘사했고 꽃의 형상은 얇은 자개를 오려 부착했다. 자개의 모양은 저마다 조금씩 다르고 약간의 채색을 얹혀서 변화를 주었다. 꽃의 아름다움과 매혹을 자개라는 재료의 물성으로 극대화하고 있다. 여기에는 필연적으로 빛이 수렴된다. 이 얇은 자개의 피부는 캔버스의 표면위에 약간의 높이를 부여하면서 촉각적으로 굳어있어서 그려진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면서도 하나의 물질로 자존한다. 이미지와 물질, 수공의 그림과 인공의 재료, 묘사와 빛, 회화와 조각, 사진 등이 서로 얽혀있다. 자개의 물성은 배경을 조금은 뒤로 하고 앞으로 돌출하면서 화면의 이중적인 구조로 만드는 편이다. 특히 옛건물이나 작가의 일상에서 취한 흑백의 풍경사진 위에 부착된 자개/꽃은 아득하게 사라지는 빛바랜 지난 시간을 아련하게 추억하게 하는 심리적, 정신적 거리를 부여한다. 더욱이 조명을 받으면 빛을 발산하는 자개는 그려진 그림과 슬그머니 분리되면서 앞으로 더욱 나아간다. 그 자개 꽃은 발처럼 걸려서 후경과 나뉘고 바탕색을 등지며 돌출한다. 그로인해 꽃의 존재감이 무척 강렬하게 부감되는 것이다. 아울러 작은 꽃들의 이 무한한 양은 화면을 전체적으로 통어하면서 단일하고 평면적으로 이끌어간다. 그 모습은 꽃이 피었다기 보다는 무너지듯 내리거나 패턴처럼 가득 채우고 있다. 따라서 그림이 전체적으로 과잉된 이미지와 색채, 화려함으로 가득하다는 인상이다. 전통적인 채색화와는 재료가 다르지만 여전히 소재나 구성에 있어서는 매우 유사한 느낌은 주는 한편 조선시대 민화, 자개장, 그리고 일본미술에서 엿보는 장식성도 혼재되어 있다. 사실 이 작업은 일정한 시간의 경과와 그로인해 겪는 퇴락과 마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엔틱’에서 풍기는 것과 동질의 격과 잔해에서 전이되는 미감이 묻어 있을 것이고 따라서 분명 우리네 조상들이 쓰던 오래된 자개장의 표면을 닮아있을 것이다.

 

 

A little Song of Life_116.5x91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작가의 이전 작업을 떠올려보면 꽃밭이나 들판 위로 항상 스카프가 바람에 날리고 있었다. 어디론가 부유하고 비상하는 그 가벼운 존재에서 연상되는 휘발성 강한 영혼이나 고독한 자아,  또는 무척이나 호젓하고 낭만적인 정서가 배어있는 그림이었는데 근작에서는 그 스카프 대신에 온갖 꽃이 가득 피어 있는 곳에 작가의 또 다른 분신으로 새가 나앉아있다는 생각이다. 잠시 가벼운 몸을 나뭇가지에 의탁해 지저귀다가 ‘포로롱’하고 느닷없이 날아가 버리는 생의 모습이나 이내 져서 떨어지는 꽃의 자태는 사실 무척 유사하다. 그래서 이 그림 역시 더 없이 아름답고 화려하지만 그 이면에는 어딘지 쓸쓸하고 덧없는 비애감 같은 것이 스며들어있다. 꽃이나 새는 일시적이고 찰나적인 존재들이다. 봄날, 그토록 화려하게 핀 꽃들은 며칠이 지나면 이내 저버리고 새 역시 나뭇가지에 잠시 앉아있다 순식간에 날아가 버린다. 사람들은 그 모습에서 유한한 목숨과 덧없는 생과 모든 것이 무로 돌아가 버리는 극단적인 허무감을 보았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저 화려함 속에 잠긴 것은 정작 고독과 쓸쓸함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따라서 오명희의 근작은 마치 하이쿠의 한 대목처럼 더없이 ‘아쌀’하고 그지없이 함축적인 장면으로 유한하고 찰나적인 생에서 접하는, 짧지만 더없이 강렬한 생명체의 환희와 화려함을 순간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안에서 문득 자신의 내면을 물끄러미 마주하고 있다.

 

박영택 경기대학교교수, 미술평론가

 

 

A little Song of Life_116.5x91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A little Song of Life_162x130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A little Song of Life_162x130cm_캔버스 위에 아크릴, 자개

 

 

         

 

 

 
 

 

■ 오명희

 

서울 예술고등학교 졸업 | 세종 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 일본 동경 예술대학 일본화과 객원 연구원

 

개인전 | 2007 제29회 新生堂 (동경, 일본) | 제30회 서호 갤러리 (서울) | 제31회 시드니 아트페어 (시드니-호주) | 제32회 파인아트쇼 (예술의 전당-서울) | 2008 제33회 시카고 아트페어 (시카고-미국) | 제34회 17회 한국미술 작가대상수상 기념전 (가나인사아트센터-서울) | 제35회 일본 뉴 오타니 호텔아트페어 (동경, 일본) | 제36회 울산 아트페어 (울산중공업 현대미술관)  | 2009 제37회 L.A 아트쇼 (L.A 컨벤션센터, 미국) | 제38회 북경 상상미술관 (북경 상상미술관, 중국) | 2010 제39회 L.A 아트쇼 (L.A 컨벤션센터, 미국) | 제40회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 제41회 서울모던아트쇼 (aT센터) | 제42회 중아갤러리 개인전 (서울) | 제43회 인터알리아 부스전 (서울) | 2011 제44회 L.A 아트쇼 (L.A 컨벤션센터, 미국) | 2012 제45회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 제46회 아오키화랑(일본 동경,긴자) | 제47회 L.A 아트쇼 (L.A 컨벤션센터, 미국) | 제48회 부산 국제 아트페어 (부산) | 제49회 스푼아트페어_포스터작가 특별전 (홍콩)

 

특별전 | 2012 - 7 뉴칼레도니아 아트페어 (뉴칼레도니아)

 

단체전 | 2007 일본 오브세 미술관 SHINPA展 (일본) | 2008 북동 아시아 아트페스티벌, NAAF 2008 (부산) | 현대판화의 흐름전 (경향갤러리, 서울) | 2009 제1회 클래식이 있는 미술투자 포럼 (힐스테이트 갤러리 ,서울) | 미술, 환영속으로 들어가다 (아카갤러리 ,서울) | 서스아트 - 자연의힘 (갤러리 마린 ,부산) | 화랑미술제 (부산) | 2010 제1회 대한민국 미술축전(KINTEX, 일산) | 2011 Unique & Useful전 (Interalia art company, 서울) | 2009-2012 로스앤젤레스 아트페어(미국, 로스앤젤레스) | 2012 7 뉴칼레도니아 아트페어 (뉴칼레도니아) 특별전

 

현재 | 수원 대학교미술대학 동양화과 교수 | 서울미술협회 부이사장 | 한국미술협회 이사 | 서울미술대상전 심사위원 | 대한민국 미술대전 운영위원 | 제20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 제7회 단원미술제 운영위원 | 소사벌 미술대전 심사위원 다수 역임 | 서울시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역임 | 서울시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3회 | 마포구청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vol.20121107-오명희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