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정재철 展
<SILK ROAD PROJECT>
기록, 광장, 아테네(그리스)_2010
김종영 미술관 사미루 전관
2011. 5. 13(금) ▶ 2011. 6. 16(목)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453-2 | 02-3217-6484
기록, 바라나시, 인도_2005
정재철의 ‘실크로드 프로젝트’는 2004년 3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시작되어, 영국 런던을 종착지로 한 7년여의 대장정을 마치고 2011년 4월 마무리 된 한 개인의 여행사이자 폐현수막을 활용한 미술프로젝트이다. 정재철의 실크로드 프로젝트는 1-3차에 걸친 매 프로젝트의 종료 후에 그 과정 및 성과가 보고전의 형태로 공유되어, 지금까지 여덟 번의 개인전과 50여회의 단체전 및 기획전에서 가리개와 같이 폐현수막을 재활용한 오브제들과 기록 사진 등 작업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소개된 바 있다. 이번 김종영미술관에서 열리는 2011 오늘의 작가 정재철의 <실크로드 프로젝트>전은 형식적으로는 1-3차에 걸친 프로젝트를 총괄하여 보여줌으로써, 작가가 궁극적으로 보여주고자 한 실크로드 프로젝트가 걸어온 수행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뉴 실크로드 프로젝트 기록, 바자르, 이스탄불_2008
이 과정의 문제는 결국 “정재철이라는 작가는 왜 실크로드로 갔는가”, “이 프로젝트의 성격은 어떠한 변화의 과정을 보이는가”,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전시장에 놓여진 결과물들- 사진, 지도, 드로잉들에서 보이는 변화상이 정재철의 작업이라는 맥락에서 갖는 의미를 살피는 것으로 귀결된다 하겠다. 정재철 작가의 지난 7년간의 작업을 총망라하는 이번 전시는 작가가 수행해 온 ‘7년의 여행’이 미술로 승화되는 과정과 미술이 과연 어떠한 실천적인 삶의 형태와 연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작가의 진지한 고민의 흔적을 따라가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전달, 뷔허보겐, 베를린(독일)_2010
이 프로젝트는 "삶이 예술이고 여행이 미술이다."라는 생각을 실행한 것으로 서울에서 런던에 이르는 육로 여행과 사잇길 여행들로 이루어졌다. 교역과 전쟁, 화해와 평화의 길이자 문명의 이동로였던 실크로드의 동단에서 서쪽 끝에 이르는 구간을 관통하는 여행을 통해서 동과서, 중앙과 주변을 연결하고, 국경으로 단절된 경계를 해체하며, 다름과 차이가 공존, 수용, 변화하는 소통의 길로써의 실크로드의 역사적 상징성을 현재의 삶속에서 살피고, 그 문화적 점이와 중첩 그리고 혼성을 드러내려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우리의 과도한 소비문화와 우리의 문화적 과정의 단면을 잘 기록하고 있는 사물인 "폐현수막"을 각기 다른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여행루트 상의 주민들과 함께 재활용하여 새로운 사물로 만들어져서 사용되도록 하였다. 이것은 문화적 중첩이 이루어진 사물로 거듭나면서 재활용의 의미를 보다 넓게 확장하여 일상적인 일들이 창조적 활동으로 승화되게 하려는 의도이다. 그리고 창작과 감상의 소통구조를 양방향 역할혼합이 일어나도록 의도하는 형식 실험이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과정들의) 상호작용이 점층적으로 반복되는 수행적 작업이 되도록 의도하였다.
전달, 파수(파키스탄)_2005
제작, 바자르, 에르주름(터키)_2008
|
|
|
|
■ 정재철 (丁宰澈 | Jeoung, Jae-Choul)
1959 전남 순천 출생 | 198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 1990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졸업
개인전 | 2011 실크로드 프로젝트-이스탄불에서 런던까지, 쿤스트독갤러리, 서울 | 2010 3차 실크로드 프로젝트, wlth Artist gallery, 경기 | 2009 초대전-정재철 개인전, 앨렌킴 머피 갤러리, 경기 | 2009 TRAVELER, 지노스페이스, 서울 | 2008 바자르-뉴 실크로드 프로젝트, 금산갤러리, 경기 | 2007 나무조각.드로잉, 듀플렉스 갤러리, 서울 | 2007 FLOWRING LINE, 한전 아트 갤러리, 서울 | 2006 카이스트 초대전,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서울 | 2005 실크로드 프로젝트, 프로젝트 스페이스 집, 서울 | 2004 세탁.포장, 국립고양스튜디오, 경기 | 2002 금산갤러리, 서울 | 2000 엘렌킴 머피 갤러리, 서울 | 1998 원서 갤러리, 서울 | 1997 레드밀 갤러리, 버몬트, 미국 | 1996 토탈미술관, 경기 | 1994 갤러리 드 서울, 서울 | 1992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단체전 | 2010 한.몽골 예술교류축제.시간과공간, 제주현대미술관 | 아시아 아트 페어날레, 하슬라미술관 | 한국현대조각 2010, 서울시립미술관 | 산으로 간 펭귄, 백남준아트센터 | 경기도의 힘, 경기도미술관 | 과정을 묻다, 모란미술관 | 2009 메이드 인 코리아, 하노버, 독일 | Re-view, 경남도립미술관 | 아산 퍼블릭 아트, 지노스페이스, 서울 | 1CUP COFFE, 지노공간, 서울 | 태화강 국제설치미술제, 울산 | 히로시마전, 부동원, 일본 | 한국조각6인전, 사문각, 교토, 일본 | 오키나와전, 오키나와대학, 일본 | 2008 전북현대조각회 20주년 기념전, 우진문화공간, 전주 | Art in Busan 2008, 부산시립미술관 | 패션-쇼, 모란미술관 | Time & Space, 달란자드가드 뮤지엄, 몽골 | 히로시마 계동전-한.일 교류전, 지노 스페이스 | 한.일 미술 시대공간전, 사문각, 쿄토, 일본 | 물확전, 지노 스페이스 | 유달산 조각공원 재개장전, 유달산 조각공원, 목포 | 2007 우리의 미술문화.우리의 얼굴, 목암 미술관 | 공통경계, 국립현대미술관 | 남도사색, 광주시립미술관 | HUG, 부동원, 히로시마, 일본 | 분지의 바람, 대구시 국채보상공원 | 유클리드의 산책, 서울시립미술관 | 재활용 주식회사, 아르코 미술관 | 만화경-예술의 종말이후 10개의 프로젝트,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 창원2007 아시아미술제, 성산아트홀 | 관객을 찾아가는 조각전, 마나스 아트센터 | 이동-스펙트럼, 틈새갤러리 | 2006 부산비엔날레 현대미술전, 부산 온천천 | 부드러움, 소마미술관 | 한.몽 교류전, 모란미술관 | 김세중조각상 창립20주년기념전, 성곡미술관 | EHS 프로젝트, 청계공원 | 2005 포천 아시아미술제, 반월아트홀 | 허브, 국립고양스튜디오 | 만남과소통전, 일본문화원, 서울 | 2004-2005 국립창작미술스튜디오, 국립고양스튜디오 외 다수
레지던스 프로그램 | 2010 노마딕 아트레지던스 프로그램, 제주 | 2009 from'S 레지던스, 서울 | 2008 노마딕 아트레지던스 프로그램, 몽골 | 2004-2005 국립고양스튜디오, 서울 | 2002 아트오마이, 뉴욕.미국 | 1997 버몬트 스튜디오센타, 버몬트.미국 | 1996 에스칼레스튜디오 프로그램, 모리셔스)
수상 | 2011 오늘의 작가(김종영 미술관) | 2010 경기문화재단 우수창작지원선정 | 2008 문예진흥기금 지원선정 | 2005 문예진흥기금 지원 | 1997 Vermont Studio Center's Freeman Foundation Asian Award | 1996 김세중 청년조각상 | 1988 중앙미술대전 대상 | 1987 중앙미술대전 장려상
|
|
|
|
vol.20110513-정재철 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