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종성 초대 展
"꽃의 노래, 흙의 노래"
가을꽃_91x60.6cm_oil on canvas
장은선 갤러리
2010. 3. 3(수) ▶2010. 3. 13(토) Opening : 2010. 3. 3(수) PM 4:00~6:00 서울시 종로구 경운동 66-11 | 02-730-3533
깊은 봄_122x61cm_oil on canvas
서양화가 박종성 선생은 자연 풍경, 그 중에서도 발 아래 낮은 곳의 풍경을 물감을 두텁게쌓아 올려 풀어낸다. 그의 작품 속에서 주로 보여지는 것은 키 낮은 나무들이 이루는 작은 숲, 들풀과 들꽃들, 보리나 밀 같은 곡식들로, 땅에 붙어살다시피 하는 이들과 시선을 맞추다 보면 필연적으로 흙과 마주치게 된다. 꽃이나 풀을 겨냥하기보다는 이들 생명체를 존재하게 하는 터전으로서의 흙에 눈길을 보내는 것이다. 층층이 쌓아 올린 물감층과 거친 붓놀림은 흙의 질박함을 표현하는 한편, 흙 속에서 새싹을 틔워 자라나는 작은 식물의 끈질긴 생명력을 암시한다. 감각적인 터치와 세련된 기술을 강조하는 작품들이 유행하는 분위기 속에서, 그의 작품은 독특한 매력을 풍긴다. 서울 한가운데 존재하는 농사짓는 마을, 부암동에 그의 작업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생명에 대한 경외감과 그 근본에 대해 끊임 없이 연구하기 위함일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작업환경은 그의 작품 속에서 그대로 표출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잊혀진 흙의 정서를 찾아내, 메마른 현대인의 가슴에 향수와 같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신작 20여 점이 선보인다. 박종성 선생은 서울산업대학교를 졸업, 9회의 개인전과 중국 상하이의 한.중.일 초대작가전, 일본 나고야의 평화미술제, 예술의 전당의 평화미술제전 등을 비롯한 수십 회의 단체전을 열었다.
동백_100x100cm_oil on canvas
박종성 전 미술평론가 신항섭
한국화단에서 유화의 맛을 느낄 수 있는 그림을 만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유채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특유의 기름기가 만들어내는 진득하고 무겁고 깊은 맛이 느껴지는 유화를 찾아보기 어려운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한국 미술교육의 문제이던가, 아니면 화가 개개인의 정서적인 문제일 것이다. 한국의 유화는 대체로 붓의 터치가 부드럽게 전개된다. 다시 말해 그림의 표면이 매끄럽다. 이는 물감을 적게 사용하기 때문일 수 있다. 문론 화가에 따라서는 물감이 손끝에 묻어날 것 같이 두텁게 바르는 경우도 없지는 않다. 그런데 유화의 맛이란 반드시 물감을 두텁게 바름으로 얻어지는 것도 아니다. 아무리 두텁게 발라도 깊이가 느껴지지 않으면 유화의 맛이 반감하고 만다. 더구나 색채이미지와도 연관성이 있다. 아무래도 색채가 밝아지면 상대적으로 깊은 맛이 줄어든다. 한국유화의 색채이미지가 대체로 밝은 탓에 유화 특유의 깊이 및 질감에서 느끼는 맛이 덜한지 모른다. 지난5월5일부터 11일 까지 서울 공평동 공평아트센터에서 열린 박종성전은 단적으로 말해 유화다운 맛을 만끽할 수 있는 그림 이었다. 두텁게 처바른 진득한 물감이 엉겨 붙으면서 지어내는 그 묵직한 표정을 통해 불현듯 유화의 아름다움을 발견 하는 듯 싶은 기분이었다. 최근의 감각적인 터치와 세련된 기술을 강조하는 그림들이 유행하는 분위기에서는 확실히 새로운 체험이다. 아마도 물감을 쓰는 방법이나 색체이미지와도 관련이 있겠지만 어쩌면 소재에서 오는 느낌이 더 강렬했는지 모른다.‘남은 땅, 한 평의 땅’ 이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그림의 소재는 흙이었고, 그 흙을 일구어낸 밭이었으며, 그 밭에서 피어난 꽃이며 풀들이었다. 그의 시선은 아름다운 자연경치를 탐하는 대신에 그 자신의 발아래 낮은 곳에 가 닿고 있었다. 발아래 쪽으로 시선을 주면 거기에는 필연적으로 흙이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그 흙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존재들이 자리하게 된다. 키가 낮은 존재들은 대체로 들풀과 들꽃이거나 야채 또는 곡식을 꿈꾸는 보리나 밀 따위이다. 이들 존재는 흙과 붙어살다시피 한다. 이들 꽃이나 풀들에 시선을 주다보면 필연적으로 흙과 마주치게 된다. 흙은 땅의 다른 이름이다.
봄_91x60.5cm_oil on canvas
그가 ‘남은 땅, 한 평의 땅’ 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은 흙의 순수성과 원초성 그리고 땅의 사실성을 강조하기 위한 수사이다. 다시 말해 꽃이나 풀을 겨냥하기보다는 이들 생명체를 존재케 하는 터전으로 서의 땅에 눈길을 보내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증거는 ‘한 평의 땅’이 말하고 있듯이 정확히 한 평에 해당하는 캔버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 평의 땅’을 캔버스에 그대로 옮겨오는 셈이다. 그래서일까. 그의 그림을 보는 동안 줄곧 실제의 땅을 내려다보고 있다는 느낌에 사로잡혔다. 그렇다. 어쩌면 그의 그림에서 느낀 지득한 유화의 맛이란 다름 아닌 흙의 질박함과 동질의 것이었는지 모른다. 새로운 세상과 만나고 있는 듯싶은 신선함에 매료되었던 것은 그의 그림에 흙의 순수성이 그대로 살아나고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유채라는 재료에 대한 그의 이해는 흙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극렬하게 전개된다. 그 극렬함이란 사실성이다. 실재와 그림을 혼동하게 만드는 그 사실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그는 서울 부암동, 청와대 뒤편 산기슭에 있는 뒷골에 농가 주택에 화실을 마련하고 흙과 더불어 살고 있다고 한다. 서울 중심에 전통적인 방식으로 농사를 짓고 있는 마을이 존재하는 것도 경이로운 일이요, 거기에서 시골생활을 하고 있는 그 또한 특이하다. 그가 뒷골에서 흙의 참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우연이 아니다. 급변하는 세상과 절연 되다시피 살고 있는 뒷골이야말로 서울의 마지막 모습이자, 자연친화적인 삶의 본질을 말해주고 있는 곳인지모른다.
산벗_91x91cm_oil on canvas
물론 뒷골과 같은 삶의 방식이야 시골에 가면 아직도 흔히 볼 수 있으니 대수로운 일은 아니다. 그렇더라도 흙냄새와 거름냄새가 풀풀 풍기는, 투박하면서도 질박한 화면의 질감 및 그 정서를 획득하려는 것은 도심에서 불과 몇 백 미터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는 상징성과 무관하지 않다. 서울의 마지막 숨통이라고 하면 지나칠까. 그 숨통의 모습을 서울 도심한 복판으로 끌어내려는 것이다. 우리가 잊고 있는 흙의 정서, 그 진실한 삶의 원형을 찾아내 메마른 현대인의 가슴에 향수와 같은 감정의 불을 지피려는 것인지 모른다. 그의 그림에는 확실히 남다른 감동이 있다. 적어도 이전까지는 그처럼 진솔한 흙의 이미지, 땅의 힘을 느끼게 하는 그림과 만난 일이 없다. 땅에서 멀리 벗어나지 못한 채 납작하니 엎디어 있는 풀꽃들의 그 소박하면서도 강인한 이미지에서 아름다운 생명력을 읽게 된다. 무엇보다도 밭고랑에 피어 있는 키 낮은 꽃들의 아름다운 질서는 그의 그림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매력이다. 발 아래로 내려다보이는 낮은 세계의 풍경은 결코 화려하지는 않다. 그럼에도불구하고 감동의 물결이 크게 일렁인다. 흙의 실체를 잘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채화의 멋과 아름다움을 새삼 음미할 수 있는 기회였다.
앞산_72.7x53cm_oil on canvas
인간이 사유한다는 것은 그 삶 체가 녹녹치 않기 때문일 것이다. 더욱이 한 번에 기회만 주어지는 삶속에서 우리는 항상 선택의 문제에 서있게 된다. 작은 일상에서 평생을 결정하는 일들이 그러하다. 미술가의 길, 후회는 없지만 쉽지 않은 길이다. 서툴게 살아온 나로서는 안개 속과 같다. ‘길이 없다는 것은 사방이 길이 될 수도 있다’ 는 생각으로 위안을 삼는다. 모든 분야가 그렇지만 미술도 사람이 하는 일이라 그 사람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작가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세계를 열기위해 노력하고 자신의 삶을 가꾸어 간다. 나 또한 다르지 않다. 또한변화하는 시대에 귀는 기울이되 그것에 연연하지 않는다. 그저 한발 보고 또 한발 내디디면 된다고 본다. 우리는 어느 누구도 현재보다 앞 설순 없다. 존재 하는 순간들은 그것이 길든 짧든 모두 과거이기 때문이다. 삶은 항상 과거와 현재성만이 기억이 되고, 다가온다는 미래라는 것은 그때의 현재가 될 것이기에 그렇다.‘지금’ 나는 글을 쓰고 있는 과거를 보고 있다. 지금 내주위에 맴돌고 있는 시간들을 하나씩 채워 나가야 한다. 영겁의 역사에 한 점을 기록하기 위하여... 작가는 붓 한 자루를 의지하고 자신의 인생을 그려나간다. 보이는 형상뿐이 아니라 내면의 생각들 까지도. 내가 살아있을 때만이 살아있는 것이 보이고 소통할 수 있을 테니까. 오늘도 나에게 아름다움을 선물하기 위해 진실과 만나는 노력을 할 일이다. 작품도 진실만이 기억 될 테니까. 나는 모든 예술을 믿는다. 그것은 인간에 삶의 본향을 찾아가는 은밀한 통로 일수이기 때문이다. 작업노트 박 종 성
여름꽃_91x91cm_oil on canvas
|
|||
■ 박 종 성 국립 서울산업대학교 조형예술학과 졸업 개인전 9회- 2010 장은선갤러리, 기획초대전 | 2008 목인 갤러리, 기획초대전 | 2007 갤러리 빔, 기획초대전 | 2006 목인갤러리, 기획초대전 | 2006 알파갤러리, 기획초대전 | 2004 공평아트센터, 기획초대전 | 2001 공평아트센터, 기획초대전 | 1997 갤러리 보다, 기획초대전 | 1994 세계화랑, 개인전 단체전- 2009 한.중.일 초대작가전(중국 상하이) | 2009 봄 꽃(장은선 갤러리) | 2008 움직이는 풍경(모란미술관) | 2008 야! 꽃 이다(대안공간 충정각) | 2008 평화미술제(일본 나고야) | 2008 꺽여진 풍경(아르바자르) | 2007 초대 작가전(4Art Gallery) | 2007 골든아이 옥션(골든아이갤러리) | 2006 공주국제미술제(임립미술관) | 2002 청담미술제(갤러리 SP) | 2002 식물성의 사유(갤러리 라메르) | 2002 천개의 눈 천개의길(관 훈. 덕원갤러리) | 2000 세계평화미술제전(예술의전당) | 1998 민족예술대학 설립전(공평아트센터) | 1997 Images of Eden(New york)외 다수참여
|
|||
vol.20100303- 박종성 초대 展 |